어 호국의 일념으로 시작한 대장경 조성 사업은 워낙 대규모의 국가적 사업인지라 大藏都監과 分司都監을 설치하여 판각을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는 고려대장경이 강화도 선원사에서 판각 ... 高麗大藏經 경판의 조성이 그 핵심에 있다.Ⅱ. 대장경 판각 연대고려는 高麗大藏經 외에 初潮大藏經, 敎藏도 편찬했다.초조대장경은 1011년(현종2, 신해년)부터 1087년(선종2, 정 ... 었지만 한 개인의 발원으로 사업이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국가적 사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경판에 새겨져 있는 간기를 살펴보면 고려국 대장도감에서 황제의 명을 받들어 판각한다는 내용
)를 더하였고, 49년 정안(鄭晏)의 청을 받고 남해의 정림사(定林社)로 옮겨와 이 절을 주재하며 대장경을 주조하던 중 남해의 분사대장도감(分司大藏都監)의 작업에 참여하였다. 56년 ... )가 一千九百八歲(1천9백8세)이었다 한다. 唐(당)의 裵矩傳(배구전)에는 高麗(고려)는 본시 孤竹國(고죽국)【지금 海州(해주)】인데 周(주)가 箕子(기자)를 봉하여 朝鮮(조선)이라 하 ... . 그 밖의 저서로는 《화록(話錄)》 《게송잡저(偈頌雜著)》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조정사원(祖庭事苑)》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등이 있다. 시호는 보각(普覺), 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