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맞춰 법원의 구조와 운용도 크게 바꾼다는 내용이다. 대법원은 상고심사부 설치와 판결문 전면 공개 등의 방안도 발표했다. 그대로 되면 100년 넘게 지속돼온 기존 사법체계의 대변혁 ... . 대법원의 사법개선안 주요내용주 요 쟁 점한나라 개선안 (0318 발표)대법원 개선안 (0326발표)상고심 기능정상화 대책◆ 대법관 증원(대법원장과 법원행정처장을 포함한 대법관 ... 의 정도는 미흡ⅲ. 사법부 판결에 대한 불신◆ 급증하는 항소율과 상고율★ 2009년, 전국 지방법원 합의부가 판결한 형사 피고인 60.2%가 1심 판결에 불복, 항소구분항소율(%)상고
에 대해 여당은 대법관의 수를 현행 14명에서 24명으로 증원할 것을 제안했지만 대법원에서는 추가적인 대법관의 증원 없이 고등법원에 상고심사부를 설치하여 상고되는 소송건수를 줄이 ... 업무 경감 효과가 없다고 했다. 따라서 대법관의 수를 조정하기 보다는 하급심을 강화하여 대법원으로 상고되는 소송건수를 줄이는 것이 근본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증원되는 대 ... 강렬한 열망이 있기 때문에 상고 심사를 강화한다 하더라도 불만족하는 사람들은 결국 대법원 재판을 요구할 것이고 따라서 상고심사에 변호사 선임비 등 오히려 비용만 더 추가될 것이
를 채택하고 있고, 상급심에서는 합의제에 의하여 양자의 장, 단점을 서로 보완하고 있다.IV. 법원의 종류1. 개설통상재판기관으로서 대법원 , 고등법원, 지방법원 및 가정법원, 행정 ... 재판기관 등 여러개의 재판부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재판사부의 분장을 정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것을 사무분담이라고 한다.2. 合議制와 單獨制1) 지방법원은 단독제 ... 음에 반하여, 합의제에서는 각 법관의 능력이 상승됨과 아울러 그 주관성이 배제되므로 충실한 심리를 하여 공정타당한 재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대법원과 고등법원의 경우는 어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