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고대사적 가치를 지닌 길잡이요,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가치 규범일 것이라는데 대한 믿음으로 김기흥 교수님이 저자이신 『고구려건국사』를 읽었다. 저자 ... 는 것으로 저자는 설명하고 있다. 고구려의 건국신화에서는 주몽이 해모수와 유화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전한다.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가 강과 땅의 신인 하백의 딸인 유화와의 인연이 있
를 통해 많이 배워왔었다. 하지만 이번 우리역사의 이해에서 ‘고구려건국사’란 책의 감상문 레포트를 통해 고구려 건국에 대한 내 생각이 조금 새로워 졌다.요즘 역사학을 전공하지 않 ... 우리 역사의 이해(『고구려건국사』를 읽고)『고구려건국사』를 읽고4년 동안 대학에서 역사학을 배우며 고구려 건국에 대한 강의는 정말 많이 들었다. 한국사 교수님께서 고대사 전공 ... 이셨고 특히 고구려, 백제와 발해연안의 발굴을 많이 하신 분이였기 때문에 한국사 전공 수업의 대부분은 고구려, 부여의 강의가 많았다. 물론 건국 신화에 대한 것도 강의와 시험공부
다룹니다. 그 속에서 우리는 그 왕들의 평소 삶과 생각들은 알기 힘들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와는 동떨어진 사람처럼 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고구려건국사」에서 보이는 그 ... 습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3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왕 이름과 업적 등을 외우느라 아주 진땀을 뺐던 기억도 납니다. 열심히 가르쳐주시는 선생님 원망도 해 보았지요. 이제 와서 생각 ... 뿐만 아니라 신화에서 이야기 하는 주몽의 고구려 건국을 향한 행적 전반에 걸쳐서 말입니다. 아마 역사를 깊게 공부하지 않은 저 같은 학생이라면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