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사명○ 사비니는 법은 언어와 같이 민족정신의 발현으로서, 추상적 이성이 아니라 역사 속에서 발전하는 것이라고 주장○ 로마니스텐과 게르마니스텐○ 방법론적 기여 : 개념법학 형성 ... 의 사법적 전통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 2명의 학자, 8명의 실무가로 구성된 10명의 상임위원과 경제계의 12명의 비상임위원으로 제2차 위원회를 조직하여 2차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수정.
가 되었다. 그는 역사법학파의 계통에 속해 있었다. F.K.사비니가 주창한 역사법학파는 이후에 로마법(法)을 중시하는 로마니스텐과 게르만법을 중시하는 게르마니스텐으로 나누어졌 ... 세기와 18세기의 자연권론자들은 모든 규범의 원천을 추상적인 인간이성에서 연역해 내려고 하는데 비하여 역사주의는 이러한 규범들이 역사 속에서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본다.역사 ... 법학을 살펴보는 이유는 법실증주의가 탄생하는데는 자연과학의 영향을 받은 실증주의의 사고가 큰 몫을 하였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법실증주의 내지 순수법론이 급조된 이론이 아니라 자연법
스텐과 게르마니스텐으로 구별되는데, 전자는 그 전통을 로마법에서 찾았으며 사비니, 푸흐타가 대표자이고, 후자는 게르만 고유의 관습법에서 찾았으며 베젤러, 기이르케가 대표자이다.2 ... I. 서론독일의 법률실증주의는 자연법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되었다. 즉 자연법은 도리어 정의롭지 못한 내용을 담을 수도 있다는 자연법의 폭력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 ... 는 국가가 제정한 법을 정당한 법으로 여기고, 그 법의 내용에 대해서는 문제 삼지 않는 입장이다. 또한 사회적 이해관계나 도덕적 평가들을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실정법적인 개념으로 전환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이 있다.연구가를 뜻하기도 한다.(2) 게르마니스텐게르마니스트(게르만주의자)의 복수(複數)로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로마니스트와 같은 로마법의 계승이 독일인 ... 에서 만들어진 『독일 민법전(BGB)』 제1초안은 게르마니스텐의 반대에 의해 개정되었으며, 또 나치스의 로마법 배격운동에는 후자의 주장이 그 배경으로 이용되었다. 게르마니스트 ... (BGB) 편찬의 주도적 역할 을 하게 되는데 주로 빈트샤이트에 의하여 편찬작업이 주도되고 기르케를 위시한 게르마니스텐은 빈트샤이 트(Windscheid)와 대립하다가 결국 독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