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그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동음(東音)은 대체로 신라 통일기(8?9세기)에 唐代의 長安音을 母胎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東音의 특징: 舌內 入聲韻尾-舌內 入聲韻尾 ... (*t)가 ‘ㄹ’로 나타남. 지명표기에서 ‘勿’를 ‘믈(水’), 향가에서 대격어미로 ‘乙’자를 사용한 사실 등은 이 특징이 신라시대에 소급함을 명시-舌內 入聲韻尾(*t)은 중국 ... 에서 唐代 이전에 이미 설내 입성 운미가 [r]로 약화된 북방 방언이 존재, 이것이 동음에 반영 됨.-중국 북방 언어에서는 喉內 입성 운미 [*k]도 [g]>[r]로 약화 됨. 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