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지(?て字)와 숙자훈(熟字訓)◑목차◐☞ 들어가는 말☞ 본론1. 아테지(?て字)와 숙자훈(熟字訓)2. 종류2.1. 히라가나 순(順)2.2. 世界の??2.3. 草花2.4. 食べ物 ... (?て字)와 숙자훈(熟字訓)이다.이러한 일본한자읽기의 특수한 부분인 아테지(?て字)와 숙자훈(熟字訓)에 대해 알아보고, 그 종류로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본론1. 아테지 ... (?て字)와 숙자훈(熟字訓)? 아테지(て)란?- 한자 본래의 뜻과는 관계없이, 그 음이나 훈을 빌려서 어떤 말을 표기하는 한자(例: , (프랑스 ‘파리’))? 숙자훈()이란?- 2자
Ⅰ. 熟字訓이란?2字以上の熟字を訓?みすること。뜻으로 읽는 훈독의 경우 한자 하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두자 이상의 한자에 하나의 훈을 부여하는 것으로 뜻과 한자가 상관이 있는 것 ... 이다. 和語의 의미를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한자를 조합해서 오랜 시간동안 관용적으로 고정된 표기법이다.Ⅱ. 熟字訓의 예시1. 常用漢子表 付表에 나타나 있는 熟字訓熟字訓중에서 특히 ...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熟字訓을 常用漢子表 付表에 게재하고 있다. 常用漢子表 付表에는 熟字訓과 ?て字가 함께 게재되어 있으며, 그 110자 중에 79자가 熟字訓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