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특징2) 요가의 인간관Ⅲ.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thayogapradipika) 성립의 역사적 이해1.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thayogapradipika)의 성립 배경Ⅳ. 하 ... 다. 다만 고전요가의 용어법에서는 경험적.현상적 자아를 쁘라끄리띠로, 본질적 자아를 뿌루샤로 바꾸어 표현하고 있고, 또한 딴뜨리즘과 하타요가의 용어법에서는 전자를 쉬바로, 후자를 샤끄 ... 의 기법은 여러가지 체위법들을 동반하는데, 이러한 체위법들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행법이 하타요가의 네번째, 단계의 수행법인 무드라(mudra)와 반다(bandha)이다. 경전은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