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미친 것으로, 『삼보회(三寶會)』(984), 『금석물어집(今昔物語集)』(1120~40), 『우치습유물어(宇治拾遺物語)』(가마쿠라 초기 설화집) 등이 있으며, 대체로 본생담이 다수 ... 다양한 신앙 체험을 반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위난 극복보다는 구체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일본 역시 불교설화집을 다수 편찬하였다. 이 역시 불전설화가 영향 ... , 1188~1260)의 『보한집(補閑集)』(1254), 일연(一然, 1206~1289)의 『삼국유사』 등이 있다. 이상의 문헌에 수록된 불교설화는 대부분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