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洋 思想에 基礎한 初等 音樂敎育의 方向 摸索)Ⅰ. 序 論Ⅱ. 本 論1. 「樂記」에서 본 樂의 特徵2. 樂의 本質3. 樂의 倫理的?道德的 가치로서의 교육4. 自然과 音樂5. 몸 ... 만으로는 樂이 될 수 없으며 거기에 惡器의 연주와 춤이 곁들여져야만 하며, 그 音에 倫理的, 道德的 내용이 표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樂은 단지 사람에게 美的인 감동을 주는 音만이 아니 ... 라, 모종의 社會, 政治, 倫理, 道德 등의 내용이 담긴 音의 가사와 기악연주 그리고 춤이 표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술적 가치도 당연히 聲, 音, 樂의 순서를 지향하며, 이것
날 價値觀 倫理觀이 破壞되어지는 이 時點에서 새로운 次元에서 現代에 다시 살펴보는 것도 意味있는 作業이라고 하겠다. 그 作業을 儒家思想의 不變的 要所와 可變的要所와의 一元的 調和 ... , 倫理思想, 敎育등 現實的 側面에 있어서 그 主役을 擔當했다고 하면 道家思想은 宗敎的인 신앙과 繪畵, 詩文등 藝術的인 文化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할 것이다. 孔孟을 中心으로 하 ... 하지 않는다면 예는 무엇하며,사람으로서 仁하지 않는다면 樂은 해서 무엇하랴(禮 與其奢也 寧儉 人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등 예의 형식을 중요시하지 않은 것이 孔子의 思想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