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에서도 수준별로 심도 깊은 고려가 필요하다.구체적으로 김중섭 외(2016)에서는 국제통용한국어표준모형 1단계, 2단계 연구를 바탕으로 내용의 기준을 일상생활과 가치관 ... 는 세계인들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며 더불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도 최근 몇 년 간 양적, 질적으로 모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제는 한국 문화 ... 는 한국어교육은 대부분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 문법과 어휘, 발음을 가르치는 것에 상당히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 한국 문화 교육은 그다지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는 경향
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2) '국제통용한국어교육표준모형'의 필요성이 제기된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해보자.국내외의 한국어 학습자 수와 한국어교육기관은 해 ... '국제통용한국어교육표준모형'은 필요하다고 제기된 것이다.4. 재외동포/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수요목1)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교수요목 및 교수내용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1. 교육과정 전개 모형의 이해 / 교육 내용의 선정과 배열1)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장점을 설명해보자.학생과 교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