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며고려시대의 경기체가로 오늘날 전하는 것은 1216년(고종3)경 한림제유(翰林諸儒)가 지었다고 하는 과 안축(安軸 1282~1348)이 지은 등 3편에 불과하다. 남 ... 작품이라고 알려진 은 악지에 속악가사의 하나로 들어있으며, 에 전문이 실려있다.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어서 언제나 논의의 중심으로 등장한다. 이황은 한림별곡
및 소멸과정1 고려 고종3년 당시 한림제유들의 한림별곡 이 처음 불리어진 뒤 안축의 관동별곡 죽계별곡 이 창작 됨으로 해서 한 시가 장르로 성립2 그 뒤 경기체가는 조선조 명종 ... 했는 서정장르에 속하며, 한림별곡류 시가는 교술장르에 속한다.4 청산별곡류 시가는 정형을 이루는 것이 아니나 한림별곡류 시가는 전반적으로 엄격한 정형시라 볼 수 있다.5 XX별곡 ... 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3 특히 이황은 도산십이곡 발문에서 한림별곡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혹평을 가했다. "한림별곡의 류는 문인의 입에서 나왔으나 긍호하고 방탕하며 아울러 설
가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창작순서제명작자구성장수창작연대수록문헌형식1한림별곡(翰林別曲)한림제유(翰林諸儒)8고종조(1216∼1259)『고려사(高麗史)』『악장가사(樂章 ... 되었다. 여기에 이 기록되어 있다.의 작자는 한림제유(翰林諸儒)로 한 연을 한 사람이 맡아서 부르고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형태로 작품이 진행 되었다고 본다. 의 내용은 좌주문생연 ... 부터 편찬하기 시작하여 세종 13(1431) 3월에 완성된 『태종실록』이다. 태종 13년(1413) 7월 18일에 임금이 예문관에 술과 고기를 내려 주고 명하기를 “너희들은 한림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