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 이는 광주항쟁을 듣기만 한 어린 딸(작가 한 강)의 마음에 아로새겨진 그 상흔이 이 이야기를 쓰지 않을 수 없게 만든 원동력이라고 생각된다. 채식주의자가 개인(가족)의 폭력 ... 지 말았어야 했다. 읽는 동안에도 묵직하게 마음을 울리고, 이 독후감을 쓰는 순간에도 정처 없이 손가락을 방황하게 만드는 책, 바로 이다. 책의 처음 부분 몇 페이지 읽고 나서 ...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발포 명령자와 책임자가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곧 역사 바로 세우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며칠 전 작가 한강이 유서 깊은 맨
삶과 죽음. 자유의 삼각관계-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읽고-인간은 잡식동물이다. 식물과 동물을 모두 에너지의 근원으로 삼아 살아간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우리 부모님의 어린 시절 ... 에는 고기라면 달려들어 먹었다지만, 요즘에는 채식주의자라 하여 육식을 금하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채식주의자들이 육식을 멀리하는 데에는 명백한 이유들이 존재한다. 살을 빼야한다 ... 그들도 평범한 인간이다.1. 나무가 되고픈 여인한강의 『채식주의자』는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불꽃의 세 단편소설이 이어져있는 연작소설이다. 그리고 세 소설의 가운데에 주인공
를 정신병자, 채식주의자 라는 성격으로 규정했을까? 일단 정신병자는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외눈박이 나라에서 두 눈을 가진 자가 구경거리가 되듯이 순수를 잃어버린 우리 ... 에게 자연 또는 순수한 곳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처제의 모습은 정신병자의 모습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채식주의자. 이것역시 일반인들과 조금 다른 모습일 수도 있지만 후반부 ... 에 처제는 자신의 뱃속에서 올라오는 얼굴들 때문에 채식주의자가 됐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과연 그 뱃속의 얼굴들은 과연 무엇일까? 그녀는 자신에게 몽고반점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