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덕망이 있는 신하들을 받들고 가까이 하여 왕이 되기 위한 제왕학(帝王學)을 공부하기 위한 장소가 된다. 그러던 곳이 정조가 즉위하고(1776년) 주합루를 창덕궁(昌德宮) 후원(後苑 ... 의 하나경희궁(慶熙宮) 동궁전에서 동궁 생활을 하면서 2층 건물을 지어 위층을 주합루(宙合樓), 아래층을 존현각(尊賢閣)이라고 이름 붙여 강학(講學)의 중심지로 삼았다. 동궁이 학식 ... 속칭 秘苑,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이 궁에 순종(純宗)을 가두어놓고 총독부 고관들만 드나들면서 비원이라 낮추어 부르기 시작해 지금까지 잘못 알려져 옴)으로 옮겨 짓고, 1층은 존
과 달리 2006년 현재 창경궁의 모습은 허전하고 쓸쓸하기까지 하다.여기 19세기에 창경궁(昌慶宮)과 창덕궁(昌德宮)을 그린 지도가 있다. ‘장독대까지 그려 세세하게 궁궐 곳곳 ... 亭)21) 주자소(鑄字所)와 내의원(內醫院)4. 결론동궐도(東闕圖)로 바라본 창경궁(昌慶宮)의 과거와 현재1. 서론어떤 것도 세월의 흐름에 거스를 수 없다. 특히 목조건축인 경우에 화재 ... (貞憙王后), 예종비 안순왕후(安順王后), 덕종비 소혜왕후(昭惠王后) 세 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壽康宮) 자리에 지어진 궁이다. 이 때 새로 지은 건축물로는 명정전(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