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례문은 1912년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주변행각과 영제교 등이 철거되기 시작하여, 1915년 일제에 의해 경복궁에서 개최된 시정5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 조선의 정궁이었구나 하면서도 사라진 빈 터를 바라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1.경복궁의 배치 원리를 해석해보면 궁전은 회랑으로 둘러싸인 3개의 중정으로 구성되었고 남북 중심축 위 ... 대로이 궁은 선조 25년 전소되었으며, 그 후 왕궁으로서 불길하다는 이유로 조선의 정궁임에도 273년간이나 중건되지 못한 채 방치 되었다. 그 후 고종 2년에 착수한 경복궁 중건
하게 느껴졌다. 그 잔디밭은 경복궁 건물의 무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1915년 가을. 일인들은 통치 5주년기념으로 소위 조선물산공진회를 경복궁 내에서 개최하였다. 그 ... 들은 궁내 건물을 철거하였을 뿐 아니라 철거된 자리에 잔디를 심고 경내에 불교유물을 수집 전시함으로서 조선조 정궁으로서의 체면을 완전히 추락시켰던 것이었다. 유교국가의 궁궐에서 만나 ... 을 하나 보았는 데 광화문이 예전 조선총독부의 각도와 일치하는 장면이었다. 이것 역시 복원 시 생각을 안 했기 때문인 데 이는 정말 큰 문제이다. 조선역사의 중심지에 일제 잔재
년이었다. 일제는 우리의 의식을 왜곡시키기 위해 경복궁 내에 조선총독부를 짓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방편으로 1915년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始政午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를 열 ... 었다. 이를 통해 경복궁의 전각들을 헐어 없애고 그 자리에 조선총독부를 짓기 위한 전략이었다. 그리고 실제로 공진회가 끝나자 그 자리에 조선 총독부를 지었다. 지금의 잔디밭과 불상 ... 이백 년 전 만하여도 조선의 육조 거리였다고 한다. 길의 남에서 북으로 가면서 기로소, 호조 ,한성부, 이조, 의정부가 들어서 있고, 서편에는 장예원, 공조, 형조, 사헌부, 병조
일제는 1910년 한일 합방 이후 조직적으로 경복궁을 훼손하게 되는데 1914년에는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를 경복궁에서 개최하기 위해 수많은 전각들을 헐고 산업 박람회 ... 겠다는 생각이 들어 인터넷을 뒤져서 경복궁에 관한 자료를 찾고 어떤 순서로 답사할 것인지를 정하였다.1. 경복궁의 역사1) 경복궁은 1395년 조선 태조 때 건립되었고 궁궐 명칭과 주요 ... 중이었고 단지 공사장 앞에서 근정전의 외부와 내부 그리고 정 과 드므 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진열되어 있었다. 근정전 월대에 올라가 조선시대의 왕의 기분을 느끼고 싶었던 기대
속되었고, 그해 12월 다시 회장 이준(李儁)과 총무 나유석(羅裕錫) 등을 임원으로 한 공진회(共進會)의 통솔을 받았다. 보부상은 국가의 일정한 보호를 받는 대신 국가의 유사시 ... 일이었다. 정부가 이러한 일을 이들에게 위임하였다는 것은 곧 이들의 경제력이 그만큼 대단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그러면 조선시대 상인들의 조직과 활동에 대해 알아보자.★ 서울 ... , 약재객주, 직물객주, 지물객주, 피물객주 등이 있다. 과거의 객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物産客主(물산객주): 물상객주라고도 하며 객주의 원형으로서 가장 광범위한 업무에 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