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1,376)
  • 리포트(1,256)
  • 자기소개서(68)
  • 시험자료(21)
  • 방송통신대(21)
  • 논문(10)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자동차의 에너지효율성(연비)" 검색결과 161-180 / 1,376건

  • 친환경자동
    에너지를 거의 소비하지 않는 자동차 친환경자동차 = Green Car 배출가스 , CO 2 등이 발생하지 않는 무공해 동력시스템 활용 1) 친환경자동차의 정의 Eco-Friendly ... Car 1. 친환경자동차 기술 정의 및 개요 1. 2에너지 사용 절감의 필요성 증대 - 지구 자원 고갈 위기 : 석유 40 년 , 가스 58 년 , 구리 28 년의 가채 기한 ... -Fri경자동차의 발전과정 Eco-Friendly Car 1 16- 경유자동차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PM 과 NO X 저감기술은 완성단계 - 고압연료분사기술 , 고효율 터보 기술
    리포트 | 40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8.11.16 | 수정일 2018.11.26
  • 하이브리드 전기자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HEV)03 환경적 의미 Hybrid 하이브리드 자동연비 계산 - 가솔린 자동차 vs 하이브리드 자동차 100% 에너지 주입 시 12.6% 에너지만 주행 ... [ 하이브리드 자동차 ] 가속 시 엔진 출력 보조 - 에너지 이용효율 개선4. 파급 효과04 파급효과 ( 경제적 ) Hybrid 하이브리드 자동차 적용 사례 일반 차량과 하이브리드 자동차 ... 을 엔진 / 전동기에 적절히 분배 직렬 방식 엔진 , 발전기 , 전동기 직렬연결 전동기의 구동력 만으로 차를 주행시킴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증대시키는 목적 내연기관 자동차의 효율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02.29
  • 클린디젤과 하이브리드 자동
    목표를 세우고 주요 수단으로 연비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인 디젤 차량을 채택했다. 정부와 자동차 업계가 협력해 클린 디젤차 개발, 세제 지원 등을 통해 디젤차 보급에 앞장서고 있 ... 하이브리드카 (PHEV)의 구조와 종류51-4. 하이브리드 기술61) 하이브리드차 연비와 CO2 배출량62) 한국 하이브리드차 기술 로드맵61. 클린디젤과 하이브리드 자동차1-1 ... . 클린디젤 자동차 시장동향클린 디젤차란 가솔린에 비해 연비가 좋은 디젤 연료의 특성을 살리되 기존 디젤 엔진과 달리 소음과 배출가스를 대폭 줄인 차를 말한다. 최근에 의미하는 클린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10.29
  • 친환경 자동차,친환경자동차의 종류,친환경자동차 시장,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수소연료전지,하이브리드 자동차,연료전지차 시장
    자동차 종류 ` 고연비 친환경 소형화친환경자동차 종류 친환경자동차 환경친화적 자동차 란 규정에 따른 전기자동차 , 태양광자동차 , 하이브리드자동차 , 연료전지자동차 , 천연가스자동차 또는 ... 클린디젤자동차 로서 다음 각 목의 요건을 갖춘 자동차 중 지식경제부장관이 환경부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한 자동차 . “ 전기자동차 ” 란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받은 전기에너지 ... 를 동력원 ( 動力源 ) 으로 사용하는 자동차 . “ 연료전지자동차 ” 란 수소를 사용하여 발생시킨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 “ 하이브리드자동차 ” 란 휘발유
    리포트 | 49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0.03.25
  • 에너지 과정과 가격 동향
    을 파악, 전기자동연비측정방법기준 설정.다. 향후 계획소비자 공인연비 신뢰도 향상을 위해 양산차 및 연비표시 사후관리 대상 확대, 자동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대상 확대.(3 ... 제도.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 대상은 국내에서 제작되거나 수입되어 국내에 판매되는 자동차용 타이어로써, 승용자동차와 경트럭용 자동차에 장착되는 타이어.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 ... 는 2000년대 들어 절대 물량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수송부분의 에너지소비도 자동차 보급 증가세의 둔화와 고유가가 맞물려 2000년 이후 5년간의 연평균 증가율이 2.7%에 불과
    리포트 | 1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04.13
  • 그린IT의 이해 2019버전 2학기 중간고사 기출 문제+ 답 (A+족보)
    하는 자동차이다.: 주행 상태에 따라 두 동력장치를 적절히 동작시켜 연비를 향상시키고, 기존 자동차와 비교하여 유해가스 방출을 획기적으로 줄인 차세대 자동차로 기존 차량의 유해 가스 ... 방출의 90%까지 줄일 (______ car) 로 불린다.a. 하이브리드 카b. 전기 자동차c. 클린 디젤 자동차d.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5. 그린 IT에 관한 설명으로 옳 ... 그린 IT 2019년도 2학기 중간고사 기출 .그린 빌딩을 건축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건축 방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a. 건물은 에너지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실내
    시험자료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07.26
  • 저공해 차량기술의 현황과 미래
    저공해 차량 기술고효율 저공해 차량 - 기존 자동차 및 수송용 차량의 연비를 향상 - 새로운 동력원과 연료 기술을 활용하여 유해 배출가스를 최소화하고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 ... 만 자동차 구조상 좁은 공간에 대용량의 라디에이터를 탑재하기 어렵다 . 차체 대비 출력 ↓낮은 에너지 효율 연료전지가 내는 최대 효율 83% 전기차의 배터리 열효율 90% 40 ... 된 자동차의 첫 번째 변화 ” 내연 엔진과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여 일반 차량에 비해 유해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연비를 획기적으로 늘린 환경 자동차 저공해 차량
    리포트 | 2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9.06.15
  • 현대기아차 연비과장 사태의 원인, 공인연비 표시제도의 문제점 및 정책적 개선과제
    정도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연비 측정은 ?자동차의 에너지 소비효율 및 등급 표시에 관한 규정?(지식경제부고시 제2012-67호)에서 명시한 연비 산정 기준 ... . 국내Ⅲ. 사태에 대한 현대기아차의 대처1. 북미 / 2. 국내Ⅳ. 한미의 공인연비 표시제도 및 연비과장 사태 발생 원인1. 우리나라의 연비표시 제도가. 자동연비표시의 개요 ... / 나. 자동연비의 측정2. 미국의 자동연비표시 제도3. 미국과 한국의 공인연비 인증제도 차이점4. 현대?기아차 연비 과장 사태의 발생 원인Ⅴ. 연비표시제도의 문제점과 정책
    리포트 | 26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2.11.2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밭대학교 내연기관 Volov 자동차 관련 조사
    Volvo D4 turbocharged diesel Engine1. 서론1.1 Volvo D4 Engine을 선택한 이유자동차하면 보통 속도, 연비, 디자인 등을 보지만 저 ... 의 양이 많아지는 것이므로, 당연히 출력은 크게 향상한다. 더욱이 과급기는 원래 대기 중에 버리던 배기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의 효율은 개선되어 연비 성능도 향상 ... 는 자동차는 사람이 타는 것이고, 여러 사람이 함께 타기 때문에 안전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전한 외제차를 검색해보니 ‘안전=볼보’ 라는 글들과 볼보의 위엄이라는 여러 영상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12.20
  • 에너지산업 분류 및 관련 산업
    17조 제2항에 의거, 평균에너지소비효율 개선명령 조치하고 제3항에 의거, 기준평균연비 미달현황 및 추후 개선명령 불이행시 이에 대한 내용을 공표할 수 있음.가. 현황자동연비 ... 및 온실가스 규제방안으로 강화 발표. 평균에너지소비효율제도 적용 대상 확대. 국내 자동차 판매 수입사도 기준평균연비를 준수토록 제도 개선. 고시의 수입사 적용 유예조치에 따라 ... 이 높은 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연비 및 등급 정보를 표시하는 제도. 자동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도 대상은 차량 총 중량이 3.5톤 미만인 차량 중 승용자동차(일반
    리포트 | 1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8.05.30
  • 효율적인 전기자동차 설계
    효율적인 전기자동차 열역학 4 조 목차 1 주제 소개 3 효율적인 설계 2 전기자동차 소개 4 고찰 및 결론 1 ST 주제 소개 1 ST 주제 소개 EV 어떻게 더 효율적 인 ... 배터리 에너지 (kWh) 30 엔진 성능 및 표준연비 기아 소울 차 SPEC 참조 3 RD 효율적인 설계 기본설계조건 엔진 성능 및 표준연비 표준연비 및 등급 구분 쏘울 EV 복합 ... 전기자동차를 만들 것인가 ? 2 ND 전기자동차 소개 EV 2 ND 전기자동차 소개 모터 (Motor) : 회전운동의 힘을 얻는 부분 . 감속기를 연결해 회전력 조절 인버터
    리포트 | 2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8.06.25
  • 2018 경북대학교 기계공학실험 내연기관 A+보고서
    을 가지고 고찰을 하였다. 여기서 물의 유무는 조교님께서 설명해주셨는데 자동차의 기어와 관련이 있다. 물이 있으면 1단기어로 생각할 수 있고, 물이 없다면 5단기어로 생각할 수 있 ... 다. 자동차가 평지에서 오르막길로 운행하다고 했을 때 오르막길을 운행하려면 평지에서보다 더 큰 토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오르막길을 오르면 Mgsin@(M:질량,@:오르막길 각도 ... 한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적은 연료를 사용해도 큰 폭팔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만큼 열효율이 높고 연비가 좋다.큰힘으로 압축하고 폭발하기 때문에 엔진에서 발생하는 회전력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03.04
  • 볼보 마케팅,볼보 기업분석,볼보 자동차,볼보 안전 혁신
    고려했다 I-See 시스템은 볼보트럭의 연비를 더욱 향상시켜준다 유로 -6 엔진의 효율성 뛰어난 핸들링 , 트럭 중에 독보적 인체공학적 설계와 직관적 디자인볼보 자동차 T6 엔진 ... 볼 보 안전장치 측면에서 매우 훌륭한 혁신을 이룸 자동차에 삼점식 안전벨트 개발 충격 흡수식 범퍼 , 사이드 에어백 , 커튼형 에어백 볼보에서 개발 예방차원에서의 안전성볼보 ... Beam Control Ⅱ) 액티브 밴딩 라이트 ( Active Bending Lights ) 코너링 라이트 ( Cornering Light)자동차 차체 배터리 배터리 패널은 탄소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03.12
  • 경영혁신 사례(현대 자동차)
    개발은 하이브리드 최적 구조 설계 및 연비최적화 기법 개발, 신개념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 효율에너지 분배 특성 분석 이라는 3개의 주요 과제 ... REPORT「 경영혁신 성공 사례 」목차Ⅰ. 서론1. 경영혁신의 의의Ⅱ. 본론1. 경영혁신이란2. 성공 사례(현대자동차)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과거 기업성공의 핵심은 운영 ... 시키는 새로운 계획이나 프로그램을 의도적으로 실햄함으로써 기업의 중요한 부분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2. 경영혁신 성공사례-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는 과거 해외 업체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12.26 | 수정일 2020.11.27
  • 도요타 TOYOTA 마케팅전략과 STP분석
    도요타 TOYOTA마케팅전략과 STP분석CONTENTS1. 도요타 TOYOTA 기업소개2. 도요타 기업 경쟁우위3. 도요타 마케팅 STP분석(1) Segmentation(2) Targeting(3) Positioning4. 도요타 마케팅전략 사례연구(1) 내부마케팅(2) 이미지마케팅(3) 친환경 마케팅(4) 마케팅믹스 4P전략-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5. 도요타 미래방향제언1. 도요타 TOYOTA 기업소개도요타 TOYOTA는 1937년 8월 28일에 설립되었다. 1938년 Honsha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한지 20년만인 1957년 도요타 자동차는 미국 시장에 최초로 진출하게 된다. 이후 1984년 도요타 자동차는 제너럴 모터스와 합작 투자를 통해 미국에서 생산을 시작한다. 국내(일본)에선 1999년 누적 생산량 100만대를 돌파하게 되었고 이루 중국,프랑스에서도 생산을 시작하며, 도요타 자동차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다.도요타의 경영철학은 신뢰받는 기업 지향. 모든 소비자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경영을 중요시 하였고 살기 좋은 지구와 풍요로운 사회 만들기. 자연과 인간사회의 공생을 모색하며 지속적인 경영이 가능하게 만들었다.마지막으로 개인의 창조력과 팀웍 중요시. 개개인의 생각을 모두 수용하여 조직 내 최고의 팀웍을 꿰하였다. 넷째, 뛰어난 상품과 서비스 제공. 기업이 존속해야 하는 목적을 달성시켜주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2. 도요타 기업 경쟁우위도요타는 1970년대 전세계적인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상대적으로 연비가 좋고 가격이 싸다는 장점을 가지고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미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초기 질좋은 소형차 위주의 저가 정책을 폈지만 이후 렉서스라는 뛰어난 품질과 기술력을 장착한 최고급 브랜드를 발매함으로써 수익성과 브랜드의 이미지를 높였다.또한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을 장착해 연비를 향상시킨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최초로 상용화하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어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3. 도요타 마케팅 STP분석(1) Segmentation1)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분류* 소비자들의 브랜드 애호도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a. 친구(WOW)- 브랜드를 친구로 생각, 완전히 고객의 마음속에 자리 잡음 으로써 다른 브랜드가 차지할 자리가 없음.b. 충성고객(LOYAL)- 미래 구매를 약속함c. 만족한 고객(SATISFED)- 재 구매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음d. 불만족한(비 충성)고객(DIS-SATISFED)- 다를 선택대안을 찾음2) 나이에 따른 선호차종으로 분류a. 20~30대: BMW의 미드럭셔리세단 선호b. 40~50대: 벤츠의 럭셔리세세단 선호c. 60대이상: 전통적인 미국 고급차인 캐딜락, 링컨 선호.(2) Targeting소비자 표적시장결정럭셔리 세단 소비자들 중 브랜드 충성심이 비교적 약하여 감성적인 아닌 합리적으로 차를 고를 수 있는 소비자들이고, 연령적으로 브랜드 애호도가 굳어진 60대가 아닌 30~50대 중반 이하의 중상류층들을 표적시장으로 선택하였다.(3) Positioning“The Renlentless Pursuit Of Perpection”“완벽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이는 품질의 완벽성과 서비스의 완벽성에 도전하고자 하는 도요타의 표현이다.그동안 최고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어 온 독일 차에 버금가는 성능, 미국 차의 안락한 승차감, 그리고 도요타 특유의 빈틈없는 끝마무리와 경제성을 더해 완벽한 자동차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문구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자동차 서비스의 개념을 확장하여 “고객이 감동” 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려고 한다.4. 도요타 마케팅전략 사례연구(1) 내부마케팅패전으로 폐허가 된 일본 내에서 도요타 또한 위기를 맞음은 당연한 것이었다. 구조조정과 폐업 중 하나를 택해야 하는 위기에 빠졌다.이 때 나선 이가 창업자인 도요타 기이치로이다.그는 직원 1600여명을 퇴직 시키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했다.그리고 그 자신도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이를 계기로 사람을 존중하고 키우는 도요타 식 ‘인간 중심 경영’으로 이어졌다.앞에서 언급된 생산 방식 또한 인간 중심인 이유가 이것이다.도요타의 자동화는 기계의 자동화가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일하는 자동화를 의미 한다는 것이다.경쟁사인 닛산은 보통 도쿄대 등 명문대 출신을 주로 채용했다면,지방에서 출발한 도요타는 지방대 졸업생에게 문을 활짝 열었다.얼핏 봐서는 인재를 모으는 것에 닛산에 패한 것처럼 보이지만 결과는 반대였다.도요타는 위기를 몇 차례 맞기도 했지만 결국 세계 제일의 자동차 기업이 된 반면 닛산은 부진 끝에 결국 프랑스 르노사에 넘어갔다.이는 인재를 뽑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키우고 활용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도요타는 실제로 회사 내에 운전자 학교를 만들었는데 이는 직원이 운전을 할 줄 알아야 판매도 잘 한다는 판단이었다.이 같은 예시 외에도 여러 사내 교육프로그램과 기관을 설립 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2) 이미지마케팅도요타는 마케팅 부분에 있어서 자사의 기존의 강력한 역량들을 활용하여 미래형 자동차를 제시하고 이에 스마트 시스템 부분을 부수적으로 알리고 있다. 첫 번째로 도요타는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으로써 ‘YOU ARE SO SMART’을 제시, 이는 도요타가 지향하는 아이덴티티와 고객의 스마트한 삶을 위해 스마트 솔루션을 제안하겠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이러한 슬로건은 도요타의 모토쇼 모습을 통해 볼 수 있는데, 도요타는 모토쇼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시티’ 전시관을 만들어 고객들의 체험을 통해 자동차가 사용자의 일상에서 새로운 역할을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또한 자사의 강력한 기술력을 통해, 선두적으로 안전기술 개발하여 차세대 자동차 시장에 있어서 선점적으로 고객들에게 ‘도요타는 안전한 차’라는 이미지를 느끼게 하는 강력한 이미지 마케팅을 하고 있다.(3) 친환경 마케팅도요타는 1990년대부터 중점전략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프리우스를 기반으로 하는 친환경전략을 강화하면서 단순히 자동차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각종 소재와 에너지 원 등 여러 분야에서의 친환경 사업으로 다각화 전략을 가져가고 있다. 기존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자동차 산업은 석유 생산량의 감소와 지구 온난화, 환경 오염의 압박으로 인해 친환경적 자동차를 생산하지 못한 다면 자연스럽게 도태 될수 밖에 업는 구조로 변화 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유럽쪽에서는 디젤엔진의 효율성 강화에 미주지역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브라질로 대표되는 남미 지역에서는 바이오 에탄올에 중점을 두면서 기존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던 자동차 산업이 변화 하고 있다. 도요타 역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친환경 산업에 기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많은 포션을 차지하고 있는 미주 시장과 남미 시장 공략을 위해서 친환경 자동차의 에너지 원인 태양열 전지와 바이오 에탄올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현재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태양열이 아닌 기존 전기로 충전하여 일정 속도구간 내에서는 전기로 이후에는 휘발유로 가는 방식 이지만 이러한 태양열 연구의 성공은 후에 기존 전기 충전식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아닌 태양열 기반 자동차를 만들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또한 바이오 연료 연구 역시 남미 시장에서 타 지역 보다 상대적으로 밀리는 도요타의 생산량 증가를 뒷받침하는 좋은 힘이 될것이다.도요타는 연료 분야뿐 아니라 소재분야에서의 연구와 사업 다각화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있는데, 이러한 사업의 예로써 도요타는 현재 친환경 주택 건설 업체인 '그린홈'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도요타의 '그린홈'은 기존의 주택 건설업채와는 달리 조립식 집을 건축하며 기존의 조립식 건축에 소요되는 시간의 절반 수준의 시간이 소요되며 집안의 에너지 원을 재활용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설계가 적용되어 있다.이러한 연구와 사업의 수직적이며 수평적인 다각화는 더 치열해질 미래 경쟁에서 도요타에게 타 경쟁기업에 비해서 우월적 위치를 가져다 줄것이 분명하다. 또한 이미 치열할 대로 치열해진 레드오션의 자동차 산업에서 아직은 블루 오션이라고 할 수 있는 친환경 사업으로의 무게중심의 이동은 미래의 기업의 수익원으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도요타의 친환경 중심의 사업 이동에 있어서 이러한 도요타의 친환경적 행보를 대중에게 알리는 마케팅 부분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에 있다. 대중들은 도요타의 친환경 주택산업이나 바이오 에탄올을 비롯한 저탄소 산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모르며 낯선 상태이다. 기존의 '자동차' 기업으로써의 '도요타'가 아닌 '친환경' 제품 생산 기업으로써의 '도요타'의 대중의 인식 변화는 분명이 다가올 기업간의 친환경 전투에서 도요타에게 타 경쟁기업 대비 우위를 제공할 것이다. 이미 도요타로써는 어느정도의 친환경기술의 진보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기에 대중에게 꾸준하게 친환경적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기술의 실제적용에 있어서 가격적 부분만 성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현재의 자동차 업계에서의 선두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연료원과 소재산업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산업에서 기업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리포트 | 9페이지 | 3,800원 | 등록일 2020.03.31
  • [에너지환경재료] necar 미래자동
    NECAR DREAM CAR:: 목차 서론 구조 장단점 시장성 작동 원리 개발 현황 보급화를 위한 노력:: 서론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한 자동차 BUT…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 주행 중 소음 공해 사회 문제 ☞ GREEN CAR 필요성 ! 자동차 배기가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가속 및 자연 재해 유발:: 구조 수소 저장 시스템 에너지 공급 원 수소 저장 장치 고전압 배터 리 차량 가속 시 에너지 공급을 통해 연료전지를 보조 , 감속 시에는 회생제동 에너지를 저장해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장치 전기구동 모터 및 감축기 스택에서 공급받은 전기에너지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토크를 제어하는 장치 연료 전지 스택 공급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전력 변환장치 연료전지 스택 및 고전압 배터리에서 공급된 직류 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 시켜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장치:: 원리 ▼ 연료 전지의 구조 ▼ 연료 전지 작동 원리:: 원리 메탄올 ( 가솔린 ) 탱 크 연료 변환 기 연료 전지 부스터 인버 터 모터 공기 압축 기 물탱크 니켈 - 수소 배터리 공 기 수 소 ▲작동원리 개념도:: 장점 무공해 차량 CO ₂ 같은 공해물질 배출이 전혀 없음 짧은 충전시간 5 분 내외의 짧은 1 회 수소 충전으로 최대 약 600km 주행 가능 유럽연비 시험기준 및 휘발유 기준 27.8km/l 의 고연비로 유지비 절감 효과 미래형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를 뛰어넘는 미래형 자동차:: 단 점 충전소 부족 인프라 구축 미비 . 우리나라 2014 년 기준 ( 용인 , 화성 , 울산 등 ) 16 곳 . 1 개 충전소 건설 비용 약 30~50 억 높은 가격 억대에 달하는 가격에 서민들의 금액 부담이 큼 ( 연료 전지의 원가 절감의 필요성이 절실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처럼 정부 보조금 같은 정책적인 제도도입이 필요함 ) 위험성 LPG 보다 폭발 가능성이 높기에 위험함 ( 폭발 가능성이 높기에 차량 충돌 , 전복 시 수소 가스의 누출 차단 장치 작동 )▼ 전국 수소 충전소 현황 (2014 년 기준 ):: 주요 브랜드 개발 현황 지금은 대부분 실험용이지만 이 외에도 메르세데스벤츠 ‘F 셀 ’ 등 친환경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 투싼 연료전지모형:: 시장성 세계시장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는 전망을 보임:: 세계에서 보급화를 위한 노력 “ 국가 수소 및 연료전지 혁신프로그램 ” 을 발표해 10 억 유로 투자 Germany 캘리포니아 주에서 2003 년부터 완전 무공해 , 저공해 차 비율을 10% 제조 판매하도록 의무화 U.S.A 과학기술부는 중국 중장기 에너지 분야 7 대 최고 우선 정책 (2006~2020) 으로 ‘ 대규모 신 재생 에너지 이용기술 ’ 및 ‘ 수소 및 연료전지기술 ’ 을 선정해 NECAR 확대 계획을 밝힘 ChinaThank you for watching my presentation.{nameOfApplication=Show}
    리포트 | 1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7.01.08
  • 에너지 소비와 관련 산업
    1. 에너지 소비와 관련 산업11-1.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11-2. 에너지 관련 산업21) 수송 에너지22) 건물 에너지53) 산업 에너지71-7. 에너지산업의 변화131) 1차 석유파동 이전132) 2차 석유파동 이전153) 2차 석유파동 이후154) 상대적 저유가시기의 경제와 에너지수급165) 2000년 이후 신고유가시기171. 에너지 소비와 관련 산업1-1. 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2016년 상반기 총에너지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45.2백만 toe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o 석탄 소비가 감소했으나 석유 소비와 원자력 발전이 증가하며 총에너지 소비가 증가함- 분기별로는 2016년 2분기 광공업생산지수가 7분기만에 전년 동기 대비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하고 국내총생산도 회복세를 보였지만, 총에너지 소비는 석탄 소비의 감소세 확대로 증가세가 1분기 대비로는 둔화됨- 석유 소비는 저유가와 설비 증설 효과로 2분기 연속 총에너지 증가율의 2%p 이상을 기여했으며, 원자력도 신규 원전 진입의 효과 등으로 10% 이상 증가하며 총에너지 소비 증가를 견인함o 원료용 에너지(비에너지유 및 제철용 유연탄 등) 소비는 납사의 증가세 둔화와 제철용 유연탄의 급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함- 이에 따라 총에너지에서 원료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1.1%p 하락한 26.8%을 기록했으며, 원료용 에너지를 제외할 경우 2016년 상반기 총에너지 소비는 3.5% 증가함□ 2016년 상반기 에너지원별 소비 증가율은 석탄을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o 석유는 납사 소비가 2014년의 벤젠 및 파라자일렌 설비 증설 효과 소멸과 프로판으로의 대체로 둔화했으나, 2015년 8월 프로필렌 설비 증설 효과에 따른 LPG 소비 급등과 저유가에 따른 수송 연료유 소비 증가로 2015년 상반기 3%대의 증가에서 2016년 상반기 6%대 증가로 증가세가 빨라짐o 석탄 소비 증가율은 철강경기 부진 지속으로 제철용 유연탄 소비가 급감(-10.2비 및 등급 정보를 표시토록 함. 승용차 연비표시를 시작으로 연비에 따른 등급표시제도 실시. '11년 고시 개정을 통하여 자동차의 연비측정 방법을 개정. 기존 도심주행모드로만 측정하던 방식에서 복합연비(도심주행모드+고속도로주행모드)로 변경. 연비등급기준구 분1등급2등급3등급4등급5등급Km/ℓ16.0 이상15.9~13.813.7~11.611.5~9.49.3이하자료 : 국토해양부나. 주요 실적가) 연비향상 신기술 적용 차량을 반영한 연비제도 개선공회전제한장치(ISG) 장착 자동차의 연비 측정방법 설계 및 고시 반영.나) 양산 자동연비 사후관리 강화양산 자동연비 사후관리 확대로 시장 감시 기능 강화, '10년 대비 사후관리 대상기업, 대상차종 및 시험 대수를 확대.다) 그린카(전기차, 저속전기차) 분야로 연비관리제도 진입국내외 전기차 실차시험을 통한 연비측정 시험 방법론 검증, 조건별 시험을 통하여 전기차의 저온 주행특성, 에어컨 주행특성 및 저속전기차의 운전모드 주행특성 등을 파악, 전기자동연비측정방법기준 설정.다. 향후 계획소비자 공인연비 신뢰도 향상을 위해 양산차 및 연비표시 사후관리 대상 확대, 자동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대상 확대.(3) 타이어 효율·등급제소비자가 타이어 구입 시 에너지효율이 좋은 타이어를 쉽게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타이어 제작자가 고효율 제품을 경쟁적으로 생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도.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 대상은 국내에서 제작되거나 수입되어 국내에 판매되는 자동차용 타이어로써, 승용자동차와 경트럭용 자동차에 장착되는 타이어.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제도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와 최저에너지 소비효율기준제로 구성. 원천적 국가 에너지절감을 위하여 타이어에 최저소비효율 기준을 제시하는 최저에너지소비효율 기준제를 제도 초기에 적용.가. 효율등급 항목 및 시험방법가) 타이어 효율등급 항목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제도의 효율등급 항목은 회전저항과 젖은 노면제동력으로 구성.나) 타이어 효율등급 시험방법및 설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국내 건물 에너지특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벤치마크 기준 개발 및 기술 진보에 따른 고도화 추진.관리업체의 비용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지원. 온실가스감축 기술·정보 교육 사업(멘토링제도운영, 기술세미나, 우수사례공유, 현장견학 등), 신규 지정 관리업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배출량보고서작성 지원, 시범사업 조기감축실적 검증 지원. 관리업체의 온실가스 감축요소 발굴 능력 제고를 위한 지원. 에너지 사용 모니터링 가시(可視)화 및 관리능력 제고를 위한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 시범사업 전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시뮬레이터 개발·보급. 부문별 관리업체 수구 분산업·발전건물교통농업·축산폐기물합 계관리업체수4*************비중(%)77.39.22.65.15.8100%자료 : 에너지관리공단나. 향후 계획12년 지정·고시된 관리업체 중 신규 지정 관리업체 지원, 온실가스·에너지 사용에 대한 목표설정,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이행계획서 작성, 온실가스감축 기술·정보 및 우수사례 공유를 위한 세미나 및 워크숍 개최.(3) 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에너지 절약형으로 설계·시공한 건축물에 대해 등급별 인증을 부여하여 고효율에너지 건축물 보급·확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 대상은 신축공동주택과 신축업무용 건축물이 대상.가. 인증취득 인센티브 확대용적률, 조경면적, 건축물 최대높이 등 건축 기준 완화, 취득세 등 지방세 감면 시행, 재산세 등 지방세 감면 시행, 조달청 입찰참가자격 심사 가점부여.나. 향후 계획국내 건설 수준 향상 및 인프라 확충을 위해 인증 평가 프로그램 보급 및 교육과정 개설·운영,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적용대상 단계적 확대, 건물에너지효율향상 정책 소개 및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안내를 위한 설명회 개최.(4) 친환경주택 평가주택사업승인을 받는 주택은 사업승인 신청 시, 친환경 주택(그린홈) 성능 평가서 및 증빙자료를 승인권자(지자체장)에게 의무 제출. 을 체결한 ESCO사업자 또는 ESCO사업자와 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에너지사용자.(다) 목표관리업체 투자사업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제42제에 따른 온실가스·에너지감축 관리업체로 지정된 기업.나) 자금지원대상사업(가) 목표관리업체 투자사업자금지원 대상설비로 지정된 설비로 교체하는 사업. 기타 공정개선, 연료전환사업 등 에너지이용합리화 및 이를 통한 온실가스감축사업.(나) ESCO투자사업자금지원 대상설비로 지정된 설비로 교체하는 사업. 준공된지 10년 이상된 건축물의 단열 개·보수사업. 에너지진단결과 온실가스감축효과 또는 에너지절감효과가 5%이상 가능하다고 평가되는 사업. 자가용으로 설치하는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사업.(다) 자금지원 지침의 융자지원 대상설비로 교체하는 사업.다) '12년도 자금지원 지침 주요 개정사항(가)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촉진을 위한 지원한도 상향사업자당 지원한도액을 '11년도 100억원에서 '12년도 150억원으로 상향.(나)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본격시행에 따른 지원예산 확대목표관리업체로 지정예정인 중소기업의 선 투자도 지정업체에 준하여 지원. 전년대비 155% 늘어난 1698억원 예산 배정.(다) 전력수급 안정을 위한 전력수요관리사업 지원 강화최대 수요관리 감시 제어장치, 전기대체 냉·난방설비 등 중소기업에 한정 지원하던 전력수요관리 설비 설치사업을 비영리법인까지 지원.나.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세제지원에너지절약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법인이나 개인이 법에서 정한 에너지절약시설에 투자한 경우에는 조세특례제한법(이하“조특법”) 규정에 따라 투자금액의 일정비율을 세액에서 공제하여 주는 제도. 내국인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절약시설에 2013년 12월 31일까지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 투자금액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금액을 소득세(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만 해당한다) 또는 법인세에서 공제.(3) 에너지경영시스템최고경영자를 포함한 조직 구성원 전체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에너지절약 및 효율개선 활동을 규정하는 표준화된 에 온실가스 감축기여. 통합 수요관리개념에서의 집단에너지 역할 검토. 집단에너지사업 경쟁여건 조성 및 사업 활성화 유도.다. 지역냉방 보급확대를 통한 전력수요관리지역냉방 보급실적은 '10년말 기준 총 554개 빌딩에 333,722 usRT가 보급됨. '11년도 지역냉방보조금 지원사업 실시. 향후계획은 지역냉방 냉동기의 성능 등을 고려한 보조금의 합리적 지급방안 마련, 지역냉방 냉동기의 성능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촉진, 지역냉방 요금단가의 인하방안 추진, 공동주택의 지역냉방도입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 마련. 기대효과로는 열병합발전, 소각로 등을 활용하여 에너지절감 및 환경개선, 난방 위주 공급에서 냉·난방 일괄 공급 및 여름철 열병합발전소 가동률 제고로 집단에너지사업 활용가치 증대.(7)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연간 온실가스 감축 및 화석에너지 절약 목표를 정하고, 이행계획,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해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제도. 정부는 관리업체와 온실가스·에너지 목표를 상호협의하고, 인센티브(이행지원)와 페널티(개선명령, 과태료 등)를 통해 목표달성을 지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은 3년간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이「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일정기준 이상인 업체 및 사업장. 관리업체 지정기준구 분11.12.31 까지12.01.01 부터2014.01.01 부터업체 기준사업장 기준업체 기준사업장 기준업체 기준사업장 기준온실가스125,00025,00087,50020,00050,00015,000에너지5001003509020080자료 : 에너지관리공단환경부가 제도 운영 및 총괄 기능을 담당하고, 국가 온실가스 종합정보관리체계구축을 맡은‘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를 운영. 관리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명세서를 제출하고, 차년도 목표를 정부와 협의하여 설정한 다음,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1년간 목표를 이행하고, 이행실적을 정부에 제출하는 의무 부담.가.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추진 현황가)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목표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7.12.29
  • 수소자동차 자료
    수소 자동차 Fuel Cell Electric Vehicle20141743 박정근 1. 수소연료전지차 현황 , 2. 수소연료전지차 전망 및 원리 조사 20141739 김준엽 1. 현대 - 기아차 개발현황 조사 2. 발표 20141733 김도환 1. 해외 및 국내 개발동향 조사 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agenda 수소연료전지차 소개 수소연료 전지차 출현배경 수소연료전지와 내연기관 비교 수소연료전지차 구성 및 원리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효과 친환경자동차 시장 전망 해외 및 국내 개발동향 각국 정책과 연료전지 산업화 로드맵 사례 : 일본 수소연료전지차 산업화 전략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전망 ( 미국 ) 한국 수소경제 비젼 2030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현황 및 계획 현대 - 기아차 개발 현황 현대 - 기아 연료전지차 개발 이력 현대 - 기아 집중기술개발 현대 - 기아 기술 성과 수소전지차의 문제점 및 전망 차량용 연료전지시스템 개발 이슈 수소충전 인프라 자동차산업의 변화와 기회 수소연료전지차 실용화 시나리오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 효과북미 배기가스 규제 무공해차 의무 판매 석유자원고갈 대체 에너지 개발 유럽 이산화탄소 규제 지구 온난화 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 출현배경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 성장 신 성장 동력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와 내연기관 비교 + + 전기 연료전지 :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일종의 발전기 – 물 전기분해의 반대 Carnot 내연기관 ( 화석연료 연소 반응 ) 연료전지 (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 ) CxHySz + O 2 + N 2 → CO + CO 2 + NOx + SOx + H 2 O 2 H 2 → 4 H + + 4 e - O 2 + 4 e - + 4 H + → 2 H 2 O 내연기관차 연료전지차 동력기관 엔진 , 트렌스미션 연료전지 , 모터 연료 화석연료 수소 효율 20~ / km 140 ~ 240 연료전지 60 원 / km 25 원 / km 0 1) 중형차 : 2008 년 1,500 원 /L, 2015 년 1,580 원 /L, 10km/L) 기준 , 2) 수소가격 : 2008 년 5,000 원 /kg, 2015 년 1,580 원 /kg, 세전 ) 기준Fuel Cell Electric Vehicle 자동차 시장 전망 100% 2000 2010 2020 2030 전세계차량 판매비율 ( 자료 : Holden Advanced Engineering) ``2005 ( 총 6 천 6 백만대 ) 가솔린 : 76.8% (5 천 1 백만대 ) 디젤 : 22.7% (1 천 5 백만대 ) 하이브리드 : 0.5% (30 만대 ) 연료전지 : 시범운행 (3 백대 ) 연료전지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디젤 엔진 가솔린 엔진 Plug-in HEV 환경 규제 강화 및 에너지 문제 등으로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친환경차 시장 급속 성장 하이브리드 가솔린엔진 전기차 / 연료전지 디젤 엔진Fuel Cell Electric Vehicle 각국 정책과 연료전지 산업화 로드맵 - 온실가스감축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로드맵 구축 - 2020 년 본격 상용화를 목표로 지원정책 추진중 CCTP (Climate Change Technology Program, ’07.11) 에너지에 대한 강력한 정부 리더십 + CA 의 확고한 환경정책 → 수소연료전지차의 상용화를 선도 Cool Earth – Innovative Energy Technology Programme (’08.04) 정부의 적극적 , 체계적인 육성 정책 + 민간의 조직적 대응 (FCCJ 등 ) → 수소연료전지차 초기시장 및 기술표준 선도 SET Plan (Strategic Energy Technology Plan, ’07.11) 수소연료전지차 기술플랫폼 발표 (2005) → 대형 정부 / 민간 공동협력프로그램을 통한 상용화 추진 (JTI 프로그팸 )Fuel Cell Electric Vehicle 사례 : 일본 수소연료전지차 산y Sources and Reduce CO 2 Emissions Period of accelerated station building ※ Note: Vertical axis indicates the relative scale between vehicle number and station number. 2008 년 5 월 , 현재 충전소 12 개 Phase 3 중반 , 충전소 500 개 Phase 4, 충전소와 차량 수 최적화 기술적 실증 사회경제적 실증 상용화 초기 보급 본격 상용화 2015 년 , 차량원가 현재의 1/10 Phase 3, FCEV 판매개시 Phase 4, 양산 착수 (1 만대 / 年 / 社 )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전망 ( 미국 ) HEV 시장 규모의 12 년 후행 시나리오로 각종 인센티브 정책 검토 中 ( 美 에너지부 ) ■ 2015 년 성능 및 설계원가 목표 달성 후 , 2020 년 전후 본격 판매 예상 2012 년 수천대 / 년 2015 년 수만대 / 년 2018 년 수십만대 / 년 2025 년 누적 500 만대 정부 주도 시장 육성 ( 수소 인프라 구축 , 차량 보급 정책 , 기술 개발 지원 ) 민간 주도 시장 확대 자료 : 美 에너지부 (Department of Energy)Fuel Cell Electric Vehicle 한국 수소경제 비젼 2030 2003 ~ 2012 연구개발 및 초기보급 2013 ~ 2020 2021 ~ 2030 2031 ~ 2040 시장형성 시장확대 수소경제 진입 1. 정부정책 지원하의 실증 / 보급시기 기술개발의 완성 , 수소 인프라 확대 , 자발적 시장형성 2. 국내 수소에너지 점유율 ▶ 0.03% ’ 03- ’ 05 ’ 06- ’ 08 ’ 09- ’ 12 기술개발 실증적용 시장진입 및 확대 ▶ 분산발전 (250-1000kW) 400MW 보급 상업용 (10-50kW) 80 기 가정용 (3kW 이하 ) 10,000 기 수소충전소 10 기 연료전지차 (FCV) 500(80 kw 독자개발 ) - 초저상 FC-BUS (160KW 독자개발 ) 2004~2005 - 투싼 fcev , 스포티지 fcev (80 Kw) 2000~2002 - 싼타페 fcev (75 Kw) - 스포티지 (10kW) 2017~2018 -NEXO fcev (113 Kw) ( 자료 : 현대기아자동차 )Fuel Cell Electric Vehicle 현대 - 기아 집중기술개발 2018 nexo 2002 싼타페 연료 전지 시스템 75KW 수소저장시스템 350 bar 압축가스 최대속도 124km/h 가속성능 17.5s 항속거리 160km 연비 19km/L 연료 전지 시스템 113KW 수소저장시스템 700 bar 압축가스 최대속도 Max 150km/h 가속성능 9.7s 항속거리 595km 연비 93.7km/kg 연료 전지 시스템 100KW 수소저장시스템 700 bar 압축가스 최대속도 160km/h 가속성능 12.5s 항속거리 594km 연비 27.8km/L 2013 투싼Fuel Cell Electric Vehicle 현대 - 기아 기술 성과 수소전기버스 -2018 평창올림픽 시범운행 -2018 울산 시내버스 투입Fuel Cell Electric Vehicle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이슈 차량용 품질 확보 성능 및 내구성 가격 부피 및 중량 안전성 ( 충돌 , 수소 ) 상품성 품질 및 신뢰성 모듈화 , 조립성 우주항공용 전력발생장치 연료전지차량용 엔진 미국 에너지국 목표 구 분 [2008] [2015] 연료전지시스템 내구성 3,000 hr 5,000 hr 연료전지시스템 가격 $80/kW (8 백만원 / 대 ) $30/kW (3 백만원 / 대 ) 냉시동성 ~ 120 sec 30 sec 귀금속 전극촉매 함량 0.7 g/kW (70g/ 대 ) 0.2 g/kW (20g/ 대 ) 100KW 시스템 기준 : 환율 - \ 1.,000/$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 충전 인프라 선진국에서는 수소경제를 위해 단계별 수소 인프라 구축 사업 추진 중 미국축 인력육성 초기시장 육성정책 연료전지 자동차 실용화 수소 인프라 구축 법규 / 표준 정비 공공부문 민간부문 연료전지자동차 실용화는 공공 / 민간 부문의 긴밀한 협력 체제 구축 필요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 실용화 시나리오 ※ 기본자료 : 신 · 재생에너지 RD D 전략 2030 ( 에너지관리공단 신 · 재생에너지센터 , 2007. 11) P1. 기반기술개발 / 실증 P2. 사회경제적실증 P3. 초기시장형성 P4. 시장확대 / 양산 모니터링 1 단계 모니터링 2 단계 시범보급 1 단계 시범보급 2 단계 연료전지차 30 대 연료전지버스 4 대 수소충전소 10 기 전문기관 중심 운행 수도권 , 대전 , 울산 , 여수 , 제주 연료전지차 200 대 연료전지버스 20 대 수소충전소 20 여기 공공기관 중심 운행 Carbon Neutral 단지조성 연료전지차 1,000 대 / 년 연료전지버스 100 대 / 년 수소충전소 ( 상용화수준 ) 공공기관 중심 운행 주요 대도시 연료전지차 10,000 대 / 년 연료전지버스 100 대 / 년 수소충전소 ( 상용화수준 ) 일반인 운행 주요 도시 확대 ( 네트워크화 ) - 2009 - 2010 - - 2011 - 2012 - - 2015 - 2016 - 기술개발 기반구축 핵심부품 국산화 생산 기반구축 사용자의 기술수용성 평가 대규모 실증사업 초기 시장 육성 산업 성장모델 구체화 일반인 대상 한정보급 시장 확대 보급정책 본격 추진 민간 중심 개발 체제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사업 효과 (2010 년 이후 ) - Carbon Neutral 사회로의 진입 → 에너지 자립 가능성 확인 -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시범 보급 지역 육성 → 국가 위상 제고 2012 년 2015 년 2018 년 2025 년 비 고 차량 규모 ( 대 / 년 ) 1,000 10,000 10,000 120,000 매출액 증가 ( 억원 ) 176 1,417 3,860 5 조 4,9w}
    리포트 | 2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10.14 | 수정일 2021.05.12
  • 1. 수소연료전지차
    1. 수소연료전지차11-1. 수소연료전지 현황11) 전기자동차의 장점12) 전기자동차의 단점21-2. 국가별 수소연료전지 보급21) 영국22) 중국23) 일본21-3. 국내동향31) 주요 관련기업 동향32) 모니터링 사업43) 기술개발 로드맵51-4. 해외동향91) 닛산 자동차와 프랑스 르노SA가 합작으로 연료전지 차량을 개발.92) 도요타모토(TMC)93) 혼다94) BMW95) 제너럴모터스(GM)106) 포드, 연료전지車 모니터링 지속 / 美에너지부·포드 107) 日닛산, 런던에서 신형 연료전지車 발표 108) 상해 폭스바겐119) 메르세데스 벤츠1110) 프랑스 , 르노 - 테스트 트랙을 통해 연료전지로 가동되는 시닉 모델 시승111. 수소연료전지차1-1. 수소연료전지 현황친환경 자동차 중에서 장기적으로는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이 주목되고 있다. 유수의 자동차 회사들이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2010년에서 2012년 사이를 기점으로 연료전지 자동차 세계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기술규정이 마무리되는 2010년이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기적으로는 연료전지 기술 및 수소 생산 및 저장 표준화, 매머드급 업무인 수소 인프라 설립 등에 있어서 많은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프로스트 앤 설리번이 발표한 ‘전 세계 연료전지차 시장 전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까지 수소연료보급소가 확장되고 2016년 이후부터 연료전지차가 대량생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오는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약 12만대의 연료전지자동차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연료전지자동차 시장은 일본의 혼다가 소비자에게 FCX 리스를 시작하며 단계를 밟아나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수소 인프라가 풍부한 지역에만 제한된 상태다. 수소연료보급소는 2015년경에 확장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시기에 상용화 전단계의 기술개량 및 소량생산 등이 유발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2016년 이후에야 비로소 생산이 증가하면서 대량생산을 이끌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전 세계 정부가 연료전지기자동차는 휘발유 자동차와는 다르게 운전중에 기어를 바꿔줄 필요가 없어 운전조작이 간편하다. 내연기관이 없어 고장이 적은 편이다.2) 전기자동차의 단점낼 수 있는 에너지당 중량이, 석유 계 연료에 비해서 매우 크다. 차량 총 중량 20t 트럭일 경우, 현재 기술에서는 전지만으로도 5t정도 되고, 따라서 대형차에 맞지 않는다. 고가의 전지가 필요하다. 자동차 수명보다 전지 수명이 짧고, 전지를 몇번씩 교환해야만 한다.장거리 주행을 위해서는 급속 충전 스탠드의 전국 규모로 충전해야한다. 차량 가격이 비싸다. (그러나 기술 개발을 통해 배터리 생산단가를 절감하면 향후 가격 경쟁력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일반 가솔린차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배터리 1회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항속거리)가 짧다.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 전지 수명이 짧고, 전지의 잔존시간 확인이 어렵다. 별도의 충전 시설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선행돼야 함. 때문에 정부와 전력공급 기관·업체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의 경우 전기차의 도로주행이 현행법에 금지돼 있는 만큼, 관련법 보완도 시급하다.1-2. 국가별 수소연료전지 보급1) 영국영국도 2012년 개최될 차기 런던 올림픽에서 도심을 다니는 택시들을 수소연료전지 차량으로 대거 교체할 계획이다.2) 중국상해 폭스바겐이 운해하는 연료전지차량 포함해 베이징 올림픽 내에 수소연료전지 승용차 30여대와 승합차 3대를 운행했다.3) 일본일본의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지난해 ‘연료전지·수소기술개발로드맵 2008’을 수립했다. 연료전지의 성능, 시스템가격, 보급대수 등 목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번에는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PEFC)를 定置用 및 자동차용으로 정해 수소저장, 수소스테이션 등의 항목으로 나눠 보다 이미지를 구분하기 쉽게 정리했다. 가정용 PEFC에 대해서는 2020~2030년경 시스템가격을 40만엔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연료전지자동차, 수소인프라의 전망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2004년 9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주관하는 수소 연료전지 차 시범사업자로 선정돼 현재 미국 전역에서 수소 연료전지 차 32대를 시범운행하고 있으며 오는 2010년부터 수소 연료전지 차의 시범운행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소량 생산체제를 구축해 2012년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2) 프로파워연료전지 전문기업인 프로파워가 수소를 비롯해 메탄올을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을 공개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한 하이브리드시스템 스쿠터(컨셉트카)는 ‘2008 하노버 국제모터쇼’에 전시했다. 프로파워의 하이브리드시스템 스쿠터는 리튬이차전지 1.6㎾h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800W가 적용된 차량으로 연속운전이 5시간 가능한 차량이다. 아울러 130㎞ 주행이 가능하며 시속 60㎞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하이브리드시스템 스쿠터는 지난 2006년 8월부터 내년 7월까지 56억원의 사업비가 지원되는 국책과제로 프로파워가 주관기관이며 참여기관인 SNT모터스에서 차체를 제작했다. 이밖에도 에너지기술연구원, KIST, KAIST, 진우엔진니어링, 전북테크노파크 등이 위탁, 참여기관으로 기술개발을 협력하고 있다.?이와 함께 프로파워는 수소탱크를 적용한 수소연료전지 골프카를 선보였다. 수소탱크 10ℓ(120bar)가 장착된 연료전지 골프카는 발라드社의 1.2㎾급 NEXA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돼 있다. 1회 충전으로 63㎞를 주행할 수 있다.(3) 퓨얼셀파워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인 퓨얼셀파워는 한 번 충전으로 180㎞를 달릴 수 있는 수송용 파워모듈(Power Module)을 개발했다. 특히 퓨얼셀파워는 이번 수송용 파워모듈을 국내 전기자동차 전문회사인 CT&T의 전기자동차에 직접 장착했다. 최고 50㎞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60ℓ수소 충전을 2분 안에 해결했으며, 최대 180㎞까지 운행할 수 있어 기존 전기배터리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가정용 연료전지 모니터링 사업 등 건물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작하고 있는 퓨얼셀파워는 이번 수송용 파워모듈을 통해 연료전 미국 47만 4천km, 국내 22만 6천km 등 총 70만km로 지구를 17바퀴 반을 주행한 것과 비슷하다. 현대기아차는 2010년부터 연료전지차의 시범운행을 총 500대 규모로 확대한 후, 소량생산체제를 구축해 2012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실용화 할 계획이다.3) 기술개발 로드맵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기술 로드맵분야목표연료전지시스템스팩연료전지자동차 구동용 발전 모듈 기술출력밀도[kW/L]2007년 0.8, 2009년 1.02014년 1.4, 2020년 1.8연료전지버스용 구동용 발전 모듈 기술출력밀도[kW/L]2007년 0.8, 2010년 1.02014년 1.4, 2020년 1.8스택/시스템 냉시동 및 동결 대응 기술저온시동[℃]2007년 -10.0, 2012년 -20.02020년 -30.0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용 MEA 전해질막 설계 기술이온전도도 [S/㎝]2009년 0.1 @65℃2015년 0.1 @90~100℃2020년 0.1 @100℃ 이상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용 MEA 촉매 설계 기술함량[mg/㎠]2010년 0.4, 2015년 0.3,2020년 0.1고분자 연료전지 스택용 GDL용 MPL 기술전류밀도 [A/cm2]2007년 1.0, 2009년 1.22015년 1.4, 2020년 1.6고분자 연료전지 스택 GDL용 탄소구조체 설계기술전류밀도 [A/cm2]2007년 1.0, 2009년 1.22015년 1.4, 2020년 1.6고성능 연료전지 분리판 설계 및 소재개발웹 두께 [mm]2007년 0.4, 2009년 0.22014년 0.1, 2020년 0.075이하연료전지 스택 생산기술[대수/년]2009년 수백, 2012년 수천,2015년 수만운전장치80kW급 승용차용 고분자 연료전지 운전장치 개발시스템 효율 [%]2007년 45, 2008년 52, 2010년 55, 2015년 57, 2020년 60연료전지버스용 고분자 연료전지 운전장치부품 효율[%]2007년 50, 2010년 522013년 55, 2020년 60친환경 연료전지 자동차 핵심부품 및시스템 기술 개발010년 0.9, 2013년 1.1, 2016년 1.3, 2020년 1.5고전압 컨넥터 및 마그네틱 릴레이 설계 기술수명[cycle]]2007년 1k, 2010년 5k, 2015년 10k, 2020년 20k고전압 대전류 전력반도체 기술전류밀도 [A/cm2]2007년 150, 2009년 200, 2012년 250, 2015년 300, 2020년 500전기동력시스템용 센서 (전류 / 회전속도 센서) 및영구자석 재료 기술최대동작온도 [℃]2007년 120, 2012년 150 2016년 180, 2020년 200보조전원평가연료전지자동차용 리튬이온 전지 안전성 평가 기술-2009년 완료차세대 혁신 배터리차세대 혁신 배터리용 전지 시스템 (全고체/불연)에너지밀도 [Wh/kg]2013년 100, 2015년 150,2020년 250차세대 혁신 배터리용 유기화합물/고분자계 양극재에너지밀도 [Wh/kg]2013년 100, 2015년 150,2020년 250차세대 혁신 배터리용 리튬금속/합금계 음극재에너지밀도 [Wh/kg]2013년 100, 2015년 150,2020년 250차세대 혁신 배터리용 全고체상 전해질에너지밀도 [Wh/kg]2013년 100, 2015년 150,2020년 250차세대 혁신 배터리용 전극표면/계면 제어기술 및전극증착법에너지밀도 [Wh/kg]2013년 100, 2015년 150,2020년 250차세대 혁신 배터리용 전지구조 및 조립기술(Bipolar cell design)에너지밀도 [Wh/kg]2013년 100, 2015년 150,2020년 250수퍼캡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장수명 및 고출력화 기술에너지밀도 [Wh/kg]2007년 9, 2008년 11,2010년 13, 2012년 15하이브리드 초고용량 커패시터시스템 응용 및활용 기술차량연비 [%-동급 AT 차량 대비]2008년 20분야목표제어시스템운전기술차량제어 및 하이브리드 운전 기술연비향상률 (베이스차량대비, %)2010년 100, 2015년 130,2020년 150연료전지 시스템제어 기술효율 [%]2009획이다.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10.29
  •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의류, 자동차, 전자제품 중 한 제품을 선정하여, 해당 제품의 시장세분화, 표적시장 선정, 포지셔닝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빠르게 시장에 내놓은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3. 표적시장현대 아이오닉의 표적시장은 비싼 연료비에 지친 기존의 자동차 오너들이다. 소형차보다도 전기 에너지 차량이 훨씬 더 효율 ... 때만 하더라도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는 매우 생소한 부분이었다. 하지만 전기차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전기차 활성화 방안으로 전기차 소비가 촉구 되면서 이러 ... 목 차서론본론1. 기업과 제품선정2. 해당 제품의 세분화 전략3. 표적시장4. 포지셔닝결론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의류, 자동차, 전자제품 중 한 제품을 선정하여, 해당 제품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02.16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