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토리에 속하는 전북의 민요는 미, 라, 시의 3음이 주요음이며, 미는 소리를 떨어서 내는 떠는 목이며, 라는 그저 평평하게 내는 목이고, 시는 레나 도에서 꺾는 목으로 되 ... 게 구별된다. 또한 계면조를 주로 사용하여 비장한 느낌을 돋운다. 이와 함께 장단은 중모리, 중중모리인 것이 흔하고, 드물게는 진양조나 자진모리도 있어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육자
, 소리를 내는 발성법, 장식음의 사용법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방 사람들의 음악어법을 말한다. 이러한 토리의 차이에 따른 민요권은 대개 경서토리권·메나리토리권·육자배기토리권·제주 ... 을 갖는다.지역마다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를 토리(조)라고 한다. 음악적 특징은 민요를 구성하고 있는 음과 음의 기능, 음이 움직이는 방식 ... 도토리권으로 나뉜다.雜歌는 17~18세기에 발생하여 1920년대까지 성행했던 시가의 한 갈래이다. 잡가는 18세기말경 〈청구영언〉 등에서 12가사와 대별되는 명칭으로 태동
거나 흘러내리는 장식음을 많이 사용하여 슬픈 느낌이 드는 조인데, 육자배기토리의 민요와 같은 맛이 나는 것이다. 처량하고 슬픈 장면이 나 여자의 거동을 묘사하는 대목에 쓰인다 ... , 새타령, 화초사거리, 육자백이, 잦은육자백이 등이 있다.민요: 토속민요, 통속민요경기민요경기 민요는 서울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불리는 민요로서 장단은 주로 굿거리, 자진타령, 세
배기토리와 일정한 장단을 토대로 하여 각자 즉흥적인 음악을 만들어 간다. 그 결과로 각 악기들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은 다성적인 진행이 이루어진다.무대에서 연주하는 시나위 합주는 그 ... 는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며 오늘날 시나위라고 하면 흔히 감상용 시나위 또는 무용의 반주에 쓰이는 시나위를 말한다.시나위 합주에서는 연주자들의 즉흥성이 많이 요구된다. 각 악기들은 육자
된 기악곡 형태라는 점에서, 또한 육자배기토리라는 선율이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시나위는 무속음악에서 발전된 음악형태인 반면 산조는 종교음악과는 전혀 ... 을 사용한다.음악적으로 볼 때, 12잡가의 장단은 도드리나 세마치로 된 것이 많고, 선율은 경토리와 수심가토리가 섞여있다. 사설은 산천경개의 아룸다움이나 판소리의 한 대목을 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