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원칙은 국제관계의 분석과 실제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본다.2) 골드만첫째, 전통적 현실주의 이론은 국제 정치의 근원, 결정요인, 혹은 조건에 관한 이론이다.둘째, 이러한 근원, 결정 ... ) 차이세력균형의 개념을 과학화하여 이론화 하려는 노력이 체계이론이다. 전통적 현실주의 와는 달리 인간성에 의존하지 않고 대신에 국제정치의 경쟁적이고 무정부적인 성격에 중점을 두 ... 과 구성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배제해야 함을 강조하는 경우로 구분할수 있다.2) 체계이론의 예: 카플란의 체계이론(1) 차이카플란은 모겐소에 있어서 관찰할 수 없고 입증할 수 없
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서 양자의 통합을 강조했다.Ⅲ. H. J. Morgenthau의 현대 현실주의의 확립1948년 모겐소에 의해 전통적 현실주의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 ... 하는 이들의 견해와 국제정치를 설명하는데 있어, 권력을 최상위 개념으로 자각한다는 점에서 현실주의학파라고 부르기로 합의한다. 이들 중 대표적인 학자로는 카( E. H. Carr ... ), 특히 투키디데스는 20세기 정치학자들이 자신들의 사상적 비조로서 고찰되어지고 있다.현실주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국가의 대외적 행동원칙을 어떤 기준에 맞추어 설정할 것인가 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현실주의인 한스 모겐쏘(Hans J. Morgenthau) 학파는 힘의 균형을 ① 특정한 힘의 분포를 가져오기 위한 정책 ② 국제정치에서의 어떤 실재 ... Ⅰ. Balance of Power (힘의 균형)1. 힘의 균형의 개념힘의 균형은 일반적으로 세력균형이라고 불리며 현실주의에서의 국제분쟁 갈등의 해소 즉 평화정착과 유지를 위한 ... 의 상태에 대한 서술 ③ 국가간의 대체로 동등한 힘의 분포 ④ 국제관계에 있어서 어떤 정치권력의 분포라도 서술하는 용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힘의 균형은 '하나의 국가 또는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