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23일 교육계와 학계의 권위자 100명을 초청하여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하였다. 이들 100명 가운데 28명이 韓國民主黨 소속이었으며, 7명이 民族靑年團에 소속, 그리고 31 ... . 요인은 해방이후 한국 교육주도세력의 형성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교육심의위원회 구성에서 잘 나타나듯이 이 심의위원회는 보수주의 정치노선과 미국식 민주주의
과 대한국민당이 통합하여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이 창당되자 그 최고위원이 되었다.1951년 5월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이 되었으나, 정부의 국회탄압사건에 항거하여 이듬해 5월 그 ... 고문회의 의장에 취임하였고, 1946년 1월에는 복간된 『동아일보』의 사장을 다시 맡았으며, 같은 달에 송진우의 뒤를 이어 한국민주당의 수석총무(당수)가 되었다. 또, 같은 해 ... 8월에는 보성전문학교를 기초로 고려대학교를 창립하였다. 1947년에는 반탁독립투쟁위원회(反託獨立鬪爭委員會)의 부위원장으로 신탁통치반대운동을 지도하였고, 1949년 2월에 한국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