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424)
  • 리포트(391)
  • 논문(28)
  • 시험자료(5)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조공(朝貢)" 검색결과 101-120 / 424건

  • 명청대 조공체제
    동가홍상(同價紅裳)의 조선의 조공체제)명(明)?청(淸)시대의 조공체제(朝貢體制)는 당시의 동아시아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공체제에 대한 여러 시각 ... 권(朝貢圈)이란 중국의 권력이 미치는 국제 판도라기 보다는 물류와 교역이라는 경제적 행위가 이루어지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불과했고, 주변국이 그 네트워크, 즉 조공권에 참가한 유인 ... 이 존재하는 것 같다. 중국학계에서는 조공체제를 종주국과 속국의 관계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중국의 동북변강 연구』라는 책에서 중국학자 劉爲의 ‘宗藩關係하의 貢賜 무역-淸代 中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1.03
  • 속일본기를 통해본 신라와 일본의 외교관계(냉각기를 중심으로)-
    朝貢(조공)하였다2월에 사신을 唐(당)에 보내어 朝貢(조공)하였다)… 唐玄宗(당현종)이 蜀[촉:지금의 四川省(사천성)]에 있음을 듣고, 사신을 당에 보내어 [揚子(양자)]江(강 ... )을 遡上(소상)하여 成都(성도)에 이르러 朝貢(조공)하였다.)1)-② 이에 대한 고찰기록들이 너무 단편적이긴 하지만, 분명한 것은 당에 대한 대외 기록에 있어서는 이런 조공에 대한 ... 기록이 자주 등장하지만, 대 일본 외교에 대해서는 결코 조공이라는 표현은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상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 두 단어의 차이는 무엇일까? 진상의 사전적인 의미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0.06.26
  • 사라진 비문을 찾아서를 읽고
    한 ‘사코 카게노부’의 ‘쌍국가묵본(雙鉤加墨本)’에 근거한 신묘년(서기 391년)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백제와 신라 ... 는 예로부터 고구려의 속민(屬民)이었다. 그래서 줄곧 조공을 해왔다. 그런데 일본이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와 신라를 깨부수어 (일본의) 신민(臣民)으로 삼았다”논란의 핵심 ... 기사가 설득력 있게 재해석되면서 일본의 사기에 능욕을 당했던 비문의 참뜻이 되살아난다.“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入貢于百殘○○新羅以爲臣民”복원한 신묘년 기사는 “백제와 신라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11.05 | 수정일 2013.12.20
  • 만들어진 고대 - 한국고대사 비평문
    적 상황과 연관관계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광개토왕릉비에서 논쟁의 핵심이 되는 구절은 아래와 같다.)百殘新羅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來渡(海), 破百殘□□新羅 以爲臣民 ... 이 32자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일본과 대한민국의 역사학계가 논쟁하고 있다. 이 구절에 대해 일본은 아래와 같이 해석하였다.백잔, 신라는 본디 속민이었으므로 원래 조공을 하 ... 으로 한 문장으로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비문 곳곳에서는 조공)이라는 단어가 확인되는데 조공이 중국의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단어임을 주지한다면 고구려가 고구려 왕을 중심으로 하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11.06
  • 명청시기의 한중관계
    때 한반도의 삼국은 유가사상을 수용하였고 제도를 본받았다. 마침 이 시기에 한·중 두 나라는 정식으로 ‘책봉조공(冊封朝貢)’ 관계를 수립하고 정식으로 상호 왕래하였다. 서로 간 ... ) 6세기 전후 한반도의 삼국은 계속 중국과의 조공관계를 유지하였다. 고구려는 육로를 이용해 북위(北魏)와의 관계를 맺었고 신라와 백제는 해로를 통해 남북조와의 교류 관계를 맺었다.수 ... 지만, 여전히 양국은 책봉조공 관계를 유지하였다.반면 이 시기에 송나라와 고려의 민간 왕래는 더욱 성행하였는데, 특히 해상운수를 이용한 상인들의 무역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정상적인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2.05.29 | 수정일 2019.03.05
  • 중세를 관류한 동아시아의 시스템,조공체제의 의의와 한계
    '사대산물인 '조공(朝貢)'을 구분하지 않고 일원적으로 파악하여 동아시아 역사 형성의 다양한 요소를 간과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서구중심주의는 근대의 조약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조공 ... 중세를 관류한 동아시아의 시스템, 조공체제의 의의와 한계Ⅰ. 머리말 - 조공체제에 대한 통념인터넷 용어 중에 ‘조공을 바치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게시물을 올릴 때 쓰는 말인데 ... 어떤 특정한 집단의 관심을 끌려는 의도로 사진이라든가 영상을 올리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조공’이라는 것의 통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볼 수 있다. 즉 조공이라는 것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03.27
  • [양때구름]중국문명의 특징과 동아시아의 영향
    영역이 조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체제, 즉 조공(朝貢)?책봉체제(冊封體制)를 바탕으로 중화사상이 형성되었다.중화사상의 영향력은 중국 내 뿐만 아니라 주변국에도 영향을 끼쳤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2.18
  • 벽란도와 국제무역
    다.조공무역은 조공품(朝貢品)과 회사품(廻賜品)의 형식으로 교역이 이루어졌다. 양국간에 교역되었던 국신물(國信物)은 그 품목이 30가지를 넘고, 물량면에서도 막대하여 국교를 상징 ... 벽란도와 국제무역고려시기에 국제교역은 매우 활발하였다. 고려 정부에서도 장려하였고 가장 활발한 교역국인 송(宋)측에서도 적극적인 통상책을 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조공무역 ... (朝貢貿易) 이외의 사상(私商)의 활동도 크게 활기를 띠었다. 개경에는 송상(宋商)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상인들이 내왕하였는데, 그 개경에 이르는 예성강 입구에벽란도(碧瀾渡)가 자리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6.24
  • 한국과 일본의 논쟁 임나일본부설
    중 소위 신묘년조(辛卯年條)의 기록은 그 해석에 있어 많은 견해가 제기되었다.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羅以爲臣民.(백잔신라,구시속민유래조공.이왜이신묘년 ... ,)의 조(調)를 폐지한다”는 것 이다. 이러한 『일본서기』의 기록을 살펴보면 숭신천황 65년부터 조공을 받고 신공황후(神功皇后)대에 이르러서 가야 7국 평정기사가 보인다(562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11.07 | 수정일 2023.03.03
  • 황제 지배체제에 따른 조공·책봉론을 통해 알아본 동북공정의 허구성.
    는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1.조공제도의 기원본래 조공(朝貢)이란 서주(西周)의 종법적 봉건제도내에서 제후가 정기적으로 방물을 바치고 직접 천자(天子)를 배알하고 신례를 행하 ... 주제:황제 지배체제에 따른 조공·책봉론을 통해 알아본 동북공정의 허구성.목차Ⅰ서론Ⅱ본론(1)고대 동아시아 세계질서인 조공·책봉을 통해 바라본 구조적 특성(2)중국이 주장하는 조공 ... 지배체제에 따른 고대중국의 이민족에 관한 책봉·조공문제를 알아야한다. 따라서 조공·책봉에 대하여 알아보고 중국이 주장의 허구성을 밝혀보고자 한다.Ⅱ본론고대 동아시아의 세계적 질서인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12.12
  • 고대한일관계사를 통한 일본인들의 의식탐구
    조공(朝貢)의 대상이 아니라 단지 백제에게 협력하는 군사작전의 대상이었을 뿐이다. - 서영수, 「광개토태왕비문의 高句麗와 倭」· 『동아시아 속에서의 高句麗와 倭』, 경인문화사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4.11.12
  • [현대 동아시아사] 강화도 조약의 역사적 배경과 국제적 환경
    없이 폐쇄된 자급자족사회임과 동시에 중국 중심의 ‘화이(華夷)’의 질서와 ‘조공·책봉(朝貢·冊封)’의 관계에 의해 유지되고 있었다. 7세기 무렵 한반도의 삼국이 당에 입공하여 조공 ... 체제에 편입된 이후로, 중국과의 책봉관계를 맺는 것은 한반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의무처럼 자리 잡았다. 이에 비해 일본은 섬나라라는 지리적 상황으로 조공체제에 속해 있었지만 보다 ... 들과 근대적인 조약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동아시아 국가들과는 여전히 전통적인 조공 및 종속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아시아 국가인 일본과 평등원칙에 입각한 서구식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01.06
  •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속 백제와 왜의 조공·헌상 관계
    「삼국사기」와「일본서기」비교-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속 백제와 왜의 조공·헌상 관계들어가는 말고대 삼국과 일본에서의 조공·헌상 관계는 일본서기에서는 주로 일본이 상대국인 한반도 3 ... 국의 나라로부터 조공 받은 흔적이 많이 기록되어져 있으며, 그중 백제국으로부터 조공 받은 기사내용이 많다. 조공물로는 직물, 공물, 상조, 조, 양, 꿩, 노새, 낙타 등이 ... 었다. 고구려는 7회, 신라는 14회로 주로 신보, 배, 악공, 공물, 불상 등을 조공했으며, 나머지는 주로 임나국에 의해서 조공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한편 삼국사기에서는 총 3회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광개토대왕비문 해석
    조공청명함이 없었다. 광개토경호태왕에 이르러 이사금은...寐錦* : 중원고구려비에도 보인다. 이사금 또는 마립간의 뜻일 것.論事* : = 朝貢##* : 뒤에 寐錦이 있는 것으로 보아 ... 했다고 주장. 385년 고국양왕이 요동 점령, 같은 해에 연의 모용농이 회복했다고. 그러나 광개토왕 14년에 연 모용희가 요동성 공격에 실패하고 있음.1면 9행由來朝貢, 而倭*以辛卯 ... *年來, 渡海破百殘##*#羅, 以爲臣民, 以六年*丙申, 王躬率水軍, 討伐*殘國. 軍至과*南,조공을 바쳐왔다. 그러나 신묘년 이래로 왜가 바다를 건너 백잔과 신라를 쳐 신민으로 삼
    리포트 | 1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6.24
  • 상인의 역사 - 고대, 고려, 조선 전기 및 후기
    에는 큰 시장이 성행 나라 안의 각종 세금과 특산물도 벽란도를 통해서 개경으로 운반고려의 상인 I 여진 ( 금 ) 과의 교역 조공 ( 朝貢 ) 무역 , 공 , 사적 무역 , 각장
    리포트 | 4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7.08 | 수정일 2014.12.24
  • 중국의 역사왜곡과 우리의 대응
    에서 압록강 지역으로 이동했다는 근거는 어떤 사료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고구려가 고이족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중국측은 고구려가 자국에 조공(朝貢)을 바치고 책봉 ... 었음을 내세운다.물론 고구려가 때때로 중국에 조공을 바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조공과 책봉이라는 사실만으로 지방 정권으로 규정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당시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속국 ... 이 아닌 나라가 없었기 때문이다. 백제와 신라는 문론, 일본과 베트남도 중국에 조공을 바쳤다. 그런데도 다른 나라는 빼놓고 고구려만 골라내 속국이니 지방정권이니 하는 것은 전혀 이치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12.15
  • 호우명 그릇을 통해 보는, 5세기경 고구려와 신라 관계
    上廣開土境好太王*寐錦*家僕句請***朝貢(지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매금*가복구청***조공)- 광개토왕대에 이르러 신라왕이 (家僕句請) 조공하였다동아시아 역사상, 대외관계에서 친조(親朝 ... )은 호우명 그릇을 가져온 사람에 대해서 장수왕이 선왕인 광개토왕에게 제사를 올릴 때, 신라가 제사에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을 하고 그 답례로 이 그릇을 가져왔을 것이라 주장한다.호우명 ... )는 가장 강한 예속관계를 의미한다. 조공에는 여러 단계가 있는데, 사신을 통한 조공이라든가 왕자나 인질을 보내는 단계와 달리 왕이 직접 조공하는 것은 국왕이 상국)(上國)의 신하임을 장한다.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백제 교육제도의 성립과 특징
    으며, 성왕19년 (541년)에, 왕께서 사신을 양나라로 파견하여 조공하고, 겸하여 글을 보내 모시박사(毛詩博士)와 열반(涅槃) 등의 경의(經議)와 아울러 공장(工匠), 화사(師) 등 ... 을 청하니, 이 청을 받아 주었다. ‘十九年, 王遣使入梁朝貢, 兼表請毛詩博士, 涅槃等經議, 幷工匠師, 從之’ (『三國史記』 百濟本紀 聖王)는 기록과 중통천 6년, 대동7년에『열반경
    리포트 | 12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9.25
  • 일본교과서,임나일본부,한일관계,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국을 평정하고 한반도에 임나일본부를 두었으며 , 신라와 백제는 왜에 조공을 바쳤다 .” 신공황후 49 년 ” 백제의 사신이 칠지도 ( 七枝刀 ) ㆍ칠자경 ( 七子鏡 ) 을 비롯 ... 으로 규정 지음 .ⅲ)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측 주장의 한계 六十五年秋七月 ( 육십오년추칠월 ) 任那國遣蕭那曷叱知 ( 임나국견소나갈질지 ) 令朝貢也 ( 영조공야 ) 任那者 去筑紫 ... 개의 소국으로 형성 , 협의의 가야와 광의의 가야로 구분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ⅲ)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측 주장의 한계 百殘新羅 , 舊是屬民由來朝貢 . 而倭以辛卯年 , 來
    리포트 | 32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06.21
  • 임나일본부설
    므로 임나일본부의 증거로는 미흡하다.3) 신묘년기사의 문제일본제국주의 자들은 광개토대왕릉비의 신묘년기사를 가지고 임나일본부설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百殘新羅舊是屬民, 由來朝貢 ; 而倭以辛卯 ... 年來渡海, 破百殘□□□〔補入;(加/任)(羅/那)(新)〕羅, 以爲臣民이 기록에 대한 일본제국주의자들은 대개 “백잔, 신라는 원래 고구려의 속민으로서 조공을 해왔다. 그런데 왜가 신 ... 는 옛부터 (고구려 대왕의) 속민으로 조공을 바쳐왔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에 오자(즉 왜가 고구려를 침략하자) (대왕은) 바다를 건너 (왜를) 물리쳤다. 백제가 (왜와 통하여)신라를 치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2.12.05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