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 내용에서 경어법의 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우리말은 명시적인 대우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극소수 언어들 가운데 하나로 대우법이 발달되어 있 ... 여 상대방이 기대하는 대우법보다 낮은 단계의 대우법을 사용하면 청자의 기분이 상하게 되고, 높은 단계의 대우법을 사용하면 불편함을 느낀다.그만큼 상대방의 나이, 성, 지위와 발화상황 ... 을 존비법, 공손법, 주체를 높이는 법을 존경법, 객체를 높이거나 자신을 낮추어 말하는 법을 겸손법, 겸양법이라고 하기도 하며, 이 모든 높임법을 경어법, 존대법, 대우법이
드러내지 않는 높임법이다. 이 때문에 상대높임법은 앞의 두 가지 높임법과 다른 특성을 몇 가지 보인다. 이 높임법은 여러 등급으로 갈려 훨씬 복잡한 높임법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 높임, 두루낮춤의 여섯 가지 분류방법이 무난할 것이다.1) 상대높임법의 등급여기서는 위의 표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등급 체계를 따른다. 각 등급은 흔히 하다 의 명령형에서 이름 ... 기 어려운, 해라체와 거의 동등한 등급의 상대높임법이다.그러나, 해체는 해라체보다는 상대방에 대하여 덜 권위적이고, 상대방를 얼마간이라도 더 조심스러워하는 말투다. 이 점에서 해체
있다.2. 상대높임법1) 상대높임법 : 말하는 이(화자)가 말 듣는 이(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종결 어미에 의해 실현된다.2) 높임의 등급가. 아주높임, 예사높임 ... 높임법1) 언어행위에는 여러 인물이 등장한다. 문장 밖에는 말하는 이(화자) 와 듣는 이 또는 상대방(청자) 이 있고, 문장의 안에는 주어로 등장하는 인물(주체)과 목적어나 부사 ... 명칭으로 불리어 왔다.존비법, 공손법, 대우법-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방법 (상대높임법)존경법 - 주체를 높이는 방법 (주체높임법)겸손법, 겸양법 -객체를 높이거나 자기
차 례Ⅰ. 높임법 1Ⅱ. 고대 국어 높임법 11. 상대 높임법 12. 주체 높임법 53. 객체 높임법 7Ⅲ. 중세 국어 높임법 91. 들을이 높임법 92. 주체 높임법133 ... . 객체 높임법144. 높임법의 겹침155.「--」의 쓰임이 달라짐15Ⅳ. 현재의 높임법 161. 주체 높임법162. 상대 높임법193.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법 22Ⅴ. 대우법(높임법 ... 인물들 상호간의 나이나 신분의 높낮이에 따라 여러 가지 높임의 표현법이 있다. 첫째 번의 관계는 말할이가 자신을 낮추면서 들을이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이고, 둘째 번의 관계
았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점들이다.2.3 문장의 특성한국어의 문장은 종결어미에 의해 경어법의 등급과 서법이 결정된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종결어미 중 자녀와의 대화에서 ‘해라체 ... ’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된 경어법의 등급은 ‘해요체’와 ‘해체’이다. 이 두 등급에서 사용된 종결어미의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담화에 나타난 종결어미 ... 으면 머리 자르지.ㅂ. 아, ××아, 왜 그래?이 경우 담화 상대자가 자녀이거나 남편으로, ㄱ과 ㄴ처럼 금지의 의도에 의한 것이거나 ㄷ과 ㄹ에서와 같이 요청, 그리고 ㅁ가 ㅂ에서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