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베이터의 조건을 읽고-새로운 사회의 역사적 뿌리는 무엇인가? 어떠한 혁신이 새로운 사회를 탄생시키고 있는가? 20세기의 역사적 추세들 가운데 21세기 새로운 사회의 등장 ... 경영학의 인사관리가 관련이 있고 화학과 물리를 묶은 물리화학을 배우고 있다. 각 학문들의 연관성은 더 깊이 들어갈수록 더 많아지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 ... 었다. 또한 각 학문은 묶어 응용할 때 더 빛이 나는 것 같다. 드러커 역시 이점을 파악하고 있다. 그는 내가 느낀 연관성보다는 더 나아가 학문과 학문, 그 경계선이 없어진다고 말
당초 아마추어이다. 한국의 교육관료는 거의 대부분 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에 종사한 경험이 없다. 그러한 그들이 대학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은, 자신이 대학생으로서 경험한 것과 대학 ... 는 교육 정책에서 바로 그러한 잘못된 선택과 집중 정책을 택한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BK21 사업이다.)지구화가 관철되는 세계 현실 속에서도 오로지 경쟁만 있는 것은 아니 ... 와 전문영역에 뿌리를 두고 이를 뛰어넘는 통합형 이노베이터이다. 21세기의 이노베이터는 평생학습자·혁신창조자·커뮤니케이터·네트워커이다. 그리고 이론과 실천, 구상과 실행의 발전적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