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결성하는 날이기도 했다. 하지만 건준은 미군이 인천을 상륙하기 3일전 자진 해산하고 조선 인민공화국을 수립한다. 일본을 대신하여 한반도의 새로운 지배자가 될 미국의 인정을 받 ... 에는 휴전예비회담이 개성에서 열렸는데 군사대치선과 외국군의 철수 문제로 첨예한 대립을 하게 되고 성과 없이 종결되고 만다. 10월 25일에 휴전회담협상이 판문점에서 재개되나 역시 군사 ... , 마산에서 시위가 일어나고 김주열시신의 발견이 촉매가 되어 4월19일에 출근한 직장인과 시민들까지 합세하여 전국적 규모의 항쟁이 일어난다. 시민들을 향한 총기발포 비상계엄령선포
충분한 평가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10.19사건’이나 ‘4.3항쟁) 제주4·3사건 특별법은 제주 4·3사건을‘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 과 여순사건의 배경전남 동부지방 (특히 여수, 순천, 광양, 구례, 곡성)은 46년 10월의 ‘추수봉기) 해남군에서 펴낸 역사책 '해남군사'에 의하면, 1946년 11월 11일 해남 ... 관계도 48년 봄을 기점으로 와해되기 시작했다. 계속되는 인플레이션, 강제적인 미곡공출등으로 민중의 삶은 극도로 악화되어가고 있었고, 동시에 ‘2·7 구국투쟁’과 ‘5·10 선거
되는 민생문제 등으로 출범 직후부터 휘청거리고 있었다. 한편 공산주의자 들은 2?7구국투쟁, 제주 4?3민중항쟁, 5?10단독선거 반대투쟁 등의 좌절을 겪으면서 새로운 투쟁을 모색 ... 하고 있었다.이러한 당시의 일반적인 정세 속에서 여수?순천?여천?승주?보성?구례?광양?곡성?고흥 등 전남 동부지역은 해방 후 인민위원회가 온건하였고, 1948년 초까지도 도내 다른 지방 ... 까지 낙안 군수는 순천진관병마동첨절제사를 겸했다.순종 1년 (융희 2년) 1908년 10월 15일 칙령 제72호로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순천군 낙안면이 되었고, 1949년 8월 14일 순천
( 의 합당은 내부분열을 일으켰다.북한 지도부는 또 나름대로 남쪽의 공산당이 9월 총파업을 「제 2 차 미소 공동위원회의 재개와 인민구국항쟁의 토대」로 삼아줄 것을 채근해왔 ... 다. 그래서 박헌영은 10월 6일 입북한다. 당시 북로당은 박헌영을 호되게 비판하면서 「10월인민항쟁이 무모한 좌경모험주의적 편향」이라고 몰아붙이고 북에서처럼 3당합동 추진을 강력히 ... 의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가하였고, 4월 국내공산당 조직을 위하여 귀국하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1924년 출옥 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