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23,093)
  • 리포트(19,342)
  • 자기소개서(1,285)
  • 시험자료(857)
  • 논문(733)
  • 방송통신대(730)
  • 서식(78)
  • ppt테마(41)
  • 이력서(23)
  • 표지/속지(2)
  • 기업보고서(1)
  • 노하우(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검색결과 81-100 / 23,093건

  • 하드웨어의 과업 처리 방식에 따른 분류와 소프트웨어의 종류별 분류.
    하드웨어의 과업 처리 방식에 따른 분류와소프트웨어의 종류별 분류.목 차---------------1. 서론 ................................................... 031.1 서론1.2 과제내용2. 하드웨어 ............................................. 042.1 하드웨어의 정의와 종류2.2 직렬처리 방식과 병렬처리 방식 컴퓨터의 비교2.3 병렬 처리 방식3. 소프트웨어 .......................................... 073.1 시스템 소프트웨어3.2 응용 소프트웨어4. 결론 .................................................... 125. 참고문헌 .............................................. 121. 서론1.1 서론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는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기가 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회사 업무를 처리하고, 학교 교육에도 사용하며 가정에서는 정보를 검색한다. 이렇게 컴퓨터는 어느 곳에 가든 필요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컴퓨터를 다룰 줄 아는 능력도 사회생활을 하는 데 기본적인 능력이 되었다.그러나 일반 사용자들은 컴퓨터, 그 중에서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일부 알고 있을 뿐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하는 지, 자신이 어떤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의 과업 처리방식과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먼저 하드웨어를 과업처리 방식에 따라 직렬처리와 병렬처리로 나누었고 각각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쓰이는 직렬처리 방식에 대한 병렬 처리 방식의 특징을 설명하였다.그 다음으로는 소프트웨어를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프트웨어의 종류별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1.2 과제내용(1)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분류하는 방식과 기준은 다양하다. 술 논리 연산 장치(ALU; Arithmetic and Logic Unit)은 산술적인 연산과 논리적인 연산을 담당하는 장치로 가산기, 보수기, 누산기, 기억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Control Unit)은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동작하도록 지시, 감독,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레지스터(Register)는 중앙 처리 장치 내부의 임시 기억 장소로서 연산에 필요한 자료나 연산의 결과를 저장한다. 주기억 장치의 번지를 기억하는 번지 레지스터(MAR), 주기억 장치에서 연산에 필요한 자료를 호출하여 저장하는 기억 레지스터(MBR), 중앙 처리 장치에서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의 내용을 기억하는 명령 레지스터(IR),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명령 계수기(PC), 연산의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는 누산기(Accumulator)등이 있다.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설계 방식에 따라 CISC 프로세서와 RISC 프로세서로 구분된다.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는 여러 가지 주소 지정 모드를 지원하고 명령어의 종류가 많아 프로그래밍이 쉬운 반면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는 명령어의 종류가 적어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반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b. 기억장치(Memory)메모리란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 기기에서 중요한 장치인 디지털 기억 장치를 가리키는 용어를 말하며, 컴퓨터에서는 내부 기억 장치와 외부 기억 장치로 분류된다. 기억 장치의 종류에는 집적 회로(IC)를 이용한 반도체 기억 장치, 자기 기록 방식을 응용한 자기 기억 장치, 광디스크를 이용한 광기억 장치 등이 있다.RAM(Random Access Memory)은 기억된 정보를 읽어내기도 하고 다른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는 메모리로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응용 프로그램의 일시적 로딩(loading), 데이터의 일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로 인쇄시 충격을 가하는지에 따라 충격식과 비충격식으로 나뉜다. 충격식 프린터에는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와 활자식 프린터가 있으며, 비충격식 프린터에는 열전사 프린터와 감열 방식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레이져 빔 프린터가 있다.2.2 직렬처리 방식과 병렬처리 방식 컴퓨터의 비교직렬 처리방식을 사용한 데이터의 흐름은 한 번에 single stream of data를 전송 하는 것이다. 직렬 처리 방식의 특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a. 하드웨어는 CPU(중앙처리장치)와 주 메모리 장치, 입출력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b. stored-program 컴퓨터이다.c. 명령어는 순서대로 실행된다.d. CPU와 주 메모리 간에 통로는 하나이다.그리고 병렬처리 컴퓨터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머신이다. 직렬 처리를 사용할 때보다 병렬 처리를 할 때가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각 clock tick마다 데이터가 병렬 처리를 할 때보다 적게 전송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렬 처리를 할 때의 장점은 케이블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더 적은 pin이 필요하며 병렬 처리를 하는 것에 비해 비싸지 않다는 점이다.[3] 다음에서 병렬 처리 방식의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소개한다.2.3 병렬 처리 방식병렬 처리 방식은 동시에 여러 명령어를 실행하여 높은 성능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큰 문제들을 여러 작은 문제로 분할한 다음 한꺼번에 푸는 것이다. 이것은 가능한 계산을 모두 동시에 실행하여 프로그램이 전체 필요로 하는 실행 시간을 줄인다. 따라서 컴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처리 방식이 병렬 처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한 번에 하나의 명령어를 수행하도록 설계한 직렬 처리 방식에서 한 단계 기술적으로 발전한 처리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병렬 컴퓨팅은 여러 형태들이 있는데, bit-level, instruction level, data, and task parallelism이 있다. 컴퓨터의 효율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크게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다.[1]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어느 문제에나 공통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들로서 운영체제(UNIX ·DOS 등), 컴파일러(C ·FORTRAN 컴파일러 등),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 등이 여기에 속하며, 통상 컴퓨터를 제작하는 회사들이 만들어 공급한다.컴퓨터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그림 2]컴퓨터와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3.1 시스템 소프트웨어사용자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사이에 존재하며 사용자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요구에 따른 컴퓨터 하드웨어 자원의 제어 및 관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크게 운영체제, 유틸리티 장치 드라이버, 언어 처리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다. 시스템 프로그램의 가장 큰 기능은 컴퓨터 시스템의 개별 하드웨어 요소들을 직접 제어, 통합, 관리하는 것이다. [6] 프로그램 중에는 롬(ROM:read only memory)에 기록되어 변경하기가 어려운 것도 있는데 이러한 것은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하여 펌웨어(firmware)라고 한다.[1] 시스템 소프트웨어로는 로더(Loader), 운영체제, 장치 드라이버, 프로그래밍 도구, 컴파일러, 링커(linker), 유틸리티 등이 있다. [8](1) 운영체제운영 체제(運營體制)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operating system)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일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a. 운영체제의 목적첫째, 응용 프로그램에게 그들이 실행될수 있는 실행 환경을 제공하며, 파일 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응용 프로그램들 서로간을 보호하여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침범할 수 없게 한다. 셋째, 하드웨어 등의 자원을 최대한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각 프로세스에 할당한다.b. 운영체제의 종류운영체제에는 DOS, UNIX, WINDOWS, MAC OS 등이 있다.DOS(Dis 유지하기 위해 오래된 장치 제어기(장치 드라이버)를 불러오는 데에 쓰이기도 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올바른 다중 작업과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오래된 드라이버의 사용을 자제하도록 했다. 제어판을 통해 MS-DOS의 어느 부분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으며, MS-DOS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때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었다.윈도 98(Windows 98)은 마이크로소프트가 1998년 6월 25일에 출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개인용 컴퓨터용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로, 윈도 95의 후속 버전이다. 개발시 사용된 코드네임은 멤피스(Memphis)였다. 1999년 5월 5일에는 윈도 98 Second Edition(윈도 98 SE)이 출시되었다.윈도 Me(Windows Me, IPA) 또는 윈도 밀레니엄 에디션은 16비트/32비트 하이브리드의 그래픽한 운영체제로 2000년 9월 14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발표했다. 코드네임은 '밀레니엄'(Millennium)이었다. 2006년 7월 11일부터 공식적인 지원이 중단된 상태다. 윈도 Me는 도스 기반인 윈도 중에서 마지막 버전이며, 또한 윈도 정품 인증을 하지 않는 마지막 윈도이다.윈도 비스타(Windows Vista)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PC용 운영 체제이다. 정식 제품이 발표되기까지 코드네임인 롱혼(Longhorn)으로 많이 불렸다. 개인용 버전은 2007년 1월 31일에, 기업용 버전은 2006년 11월 30일에 발매되었다. 윈도 비스타는 윈도 XP가 발매된 지 5년만에 새롭게 태어난 운영 체제이지만 그 전 윈도 2000과 크게 다를 바 없었던 윈도 XP라는 평가를 감안하면, 사실상 7년만의 업데이트이다. 본래 2004년도에 발매하기로 예정되었으나 2005년, 2006년 겨울로 계속 미뤄지다가 일반인을 위한 버전을 2007년 1월 31일로 연기했다.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해 한 대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만 설치할 수 있도록 했으나, 사용자들로부터 항의가 빗발치자 여러 대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쓸 수1]
    리포트 | 12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10.01.18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컴퓨터는 현대 사회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응용에 대해서 안다는 사실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컴퓨터의 사용이 현대 ... 라고 부르고, 말랑말랑한 아이스크림은 소프트 아이스크림이라고 한다. 컴퓨터도 컴퓨터 기계 자체는 하드웨어라고 부르고, 컴퓨터 기계 안에 넣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 . 사람에 비유한다면 외모는 하드웨어가 되겠고 마음은 소프트웨어가 되겠다.개인용 컴퓨터(PC)의 기계장치인 하드웨어는 입력 장치, 처리 장치, 출력 장치의 3가지 기계 장치로 구성
    리포트 | 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02.04.11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대하여조사
    제 목: H/W와 S/W에 대하여...과 목: 전자계산개론학 과: 띠리리학 번: 띠리리리이 름: 띠리리제 출 일: 2003. 3. 28담당교수: 띠리리H/W와 S/W에 대하여...컴퓨터는 현대 사회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일부터 수치계산, 컴퓨터 통신,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등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은 수없이 많다. 이제는 컴퓨터 없이 생활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컴퓨터의 쓰임은 다양하고 매우 중요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컴퓨터를 사용하기에 앞서, 이러한 컴퓨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먼저 컴퓨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컴퓨터 자체의 기계적인 부분을 지칭하는 하드웨어와, 이러한 하드웨어를 움직이게 하는 컴퓨터 속의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나눌수 있다. 인간이 육체와 정신의 결합이라고 말한다면, 컴퓨터에 있어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와의 관계는 그와 같이 불가분의 관계라고 말할수 있다.1. 하드웨어(H/W)'하드웨어(Hardware)'란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를 말한다. 시각적으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저울이나 자등을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거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구성 품들을 컴퓨터에서는 하드웨어로 구분하고 있다. 시각적으로 보이는 키보드, 본체, 모니터 등과 본체 내부 전자 기판과 여러 가지 칩(Chip) 모두를 포함한다. 하드웨어는 각각의 기능과 역할에 따라 크게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중앙처리장치(제어장치, 연산장치), 보조기억장치로 나눌 수 있다가. 입력장치(1) 키보드·개인용 컴퓨터나 단말기에서 원하는 문자의 키를 눌러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입력시킴 ·수정과 편집이 용이하나, 입력 속도가 느림(2) 트랙볼·키보드에 장착된 볼로서 볼을 손으로 굴려 도형이나 메뉴 등을 선택하여 입력하는장치(3) 마우스·평편한 테이블이나 마우스 패드 위로 마우스를 이동시키면서 화면의 위치를 잡아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하는 도구·작업하는 내용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 모양이 달라짐·종류 : 동작 방식에 따라 볼 마우스, 광 마우스, 레이저 마우스 등이 있음(4) 디지타이저·태블릿과 광펜으로 구성되며, 태블릿 위에 광펜을 움직여 그림이나 도형 등을 직접 입력하는 장치·설계 도면이나 서류 등을 작성하는데에 많이 이용됨나. 출력장치(1) 표시장치(display device)①영상표시장치(CRT)·표시장치의 대표적이고 일반적인 장치로, 모니터라고 함·LCD에 비해 처리 속도가 빠르고 선명도가 높으며 고해상도임②액정표시장치(LCD)·액상 결정을 이용하여 만든 장치로, 디지털 계산기나 노트북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전용기 등의 표시자어치로 사용됨·비발광체이기 때문에 눈의 피로가 적고, 소비전력이 적은 반면 CRT에 비해 표시속 도가 느리고, 보는 각도에 따라 선명도가 달라짐③플라즈마(PLASMA)· PDP라고 불리는 장치로, 네온 전구와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현상에 의해 정보를 표시(2) 프린터(printer)- 컴퓨터로 처리된 결과를 출력용지에 찍어내는 장치로, 충격식과 비충격식 프린터로 구분된다.▶충격식 프린터·리본과 활자를 종이에 때려서 인쇄하는 방식의 프린터·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활자식 프린터▶비충격식 프린터·열, 잉크, 레이저 빛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의 프린터·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열전사 프린터, 감열 방식 프린터① 도트 매트릭스 : 글자의 도트(점)와 각 도트에 해당하는 편이 존재하고, 프린터 헤드 가 이동하면서 핀을 때려 리본을 통해 종이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값이 싼 반면 소음 이 크고 인쇄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②잉크젯(inkjet) 프린터·가는 노즐을 통해 잉크가 나오면 이를 분사하여 글자를 인쇄하는 방식·소음이 적고, 컬러 인쇄가 가능한 반면 잉크가 번질 수 있고, 건조하면 노즐이 막힐 우려가 있음.③레이저(laser) 프린터·레이저 빛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프린터로, 복사기의 원리와 비슷한 원리로 인쇄됨·소음이 적고 출력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인쇄가 가능한 반면 다른 프린터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토너 가격도 비싸 유지 비용이 많이 듬(3) 플로터(plotter)- 펜을 상하좌우로 움직여가면서 단순 문자에서부터 그래프나 도형, 복잡한 설계 도 면까지 인쇄 용지에 출력할 때 사용하는 장치(4) COM(computer output microfilm)·컴퓨터의 출력결과를 축소하여 마이크로 필름으로 촬영 및 현상하는 기술·기록 품질이 좋고, 영구 보존이 가능하며, 고속 인쇄 및 대량 복사가 가능함(5) 디지타이저·태블릿과 광펜으로 구성되며, 태블릿 위에 광펜을 움직여 그림이나 도형 등을 직접 입력하는 장치·설계 도면이나 서류 등을 작성하는데에 많이 이용됨다.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핵심부분으로서, 시스템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연산 및 논리적 판단을 하는 등, 컴퓨터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시스템 전체의 제어 및 자료의 모든 연산을 수행한다.·기억, 연산, 전달 제어 기능 등이 있다.·구성 : 제어장치와 연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1) 제어장치(CU : Control Unit)- 주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차례로 읽어 그내용을 행독하고, 해독된 의미에 따 라 필요한 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작동 시키며, 그결과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상치 않은 일이 발생하면 작동을 중단시킨 후 오류를 복구하여 실행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interrupt)▶제어장치의 구성①명령 계수기(IC : instruction counter)다음에 수행할 명령의 어드레스를 계산하여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제공한다.②어드레스 레지스터(MAR : memory address register)읽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주기억장치의 어드레스를 임시로 기억한다.③기억 레지스터(MBR : memory buffer register)어드레스 레지스터가 지정하는 주기억장치의 해당 어드레스에 기억된 내용을 임시로 보관한다.④명령 레지스터(IR : instruction register)실행할 명령문을 기억 레지스터로부터 받아 임시로 보관하는 레지스터로서, 명령부 와 어드레스부로 구성된다.⑤명령 해독기(ID : instruction decoder)명령 레지스터의 명령부에 기억된 명령을 해독한 다음, 이를 연산장치로 보내어 실 행하도록 한다.(2) 연산장치(ALU : Arithmetic Logical Unit)-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장치가 지시하는 순서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자료의 비교판단과 산술연산,논리연산, 관계연사, 이동 등을 수행▶연산장치의 구성①누산기(ACC : accumulator)연산장치에서 중심이 되는 레지스터로서 산술 및 논리연산 결과를 임시로 기억한다.②데이터 레지스터실행 대상이 두 개 필요한 경우, 주기억장치에서 읽어낸 데이터를 임시 보관한다.③가산기누산기와 기억 레지스터에 기억된 두 수를 가산하여 그 결과를 누산기에 저장한다.④상태 레지스터연산에 관계되는 상태와 외부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나타내 주는 레지스터이다.라. 보조기억장치- 주기억장치의 용량부족을 해경하기 위해 대용량 기억장치를 외부에 마련한 것으로 주 기억장치보다는 속도가 느리나 용량을 큼- 종류 :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자기드럼, 광디스크 등이 있음- 처리속도 : 자기드럼 > 자기디스크 > 자기테이프- 기억용량 : 자기테이프 > 자기디스크 > 자기드럼-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자기 드럼, 광디스크 등은 입출력 겸용장치이면서 보조기억장 치로 사용①자기디스크·대량의 대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 둥근 금속원판의 양면에 자성물질을 입 혀 몇 장을 겹쳐 놓은 후 기억매체로 이용하는 장치·자료가 기억된 곳에 접슨하기 위해 엑세스 암이 있으며, 엑세스 암 끝에는 읽고/쓰기 헤드(Read/Write Head)가 있어 데이터를 감지함·순차처리와 비순자처리 모두 가능②플로피디스크(Floppy Disk)·산화철로 코팅된 플라스틱 원판으로 플라스틱이나 비닐에 싸여진 보조기억장치·원판의 지금길이에 따라 8인지, 5.25.인치, 3.5인치 디스켓으로 구분하며 3.5인치 디스 켓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동심원 모양의 트랙(Track)과 트랙을 구분하는 섹터(Sector)로 구성됨③자기테이프(Magnetic Tape)·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자성물질을 입한 대용량의 저장매체·순차처리만 가능한 장치④자기드럼(Magnetic Drum)·직경 20∼30㎝인 금속 원통의 표면에 자성물질을 입힌 것으로, 수십에서 수백개의 읽 고/쓰기 헤드가 각 트랙마다 고정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데이터를 엑세스(Access)하 는데 자기디스크나 자기테이프보다 속도가 빠름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3.26
  • [분할][텍스트 분할][텍스트][코드 분할]텍스트 분할, 코드 분할, 공개키 암호 코프로세서 분할, 파티션 분할, HW/SW(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할, 파장 분할,시분할 분석
    텍스트 분할, 코드 분할, 공개키 암호 코프로세서 분할, 파티션 분할, HW/SW(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할, 파장 분할, 시분할 분석Ⅰ. 텍스트 분할1. 줄 분리2. 단어 분리Ⅱ. 코드 분할Ⅲ. 공개키 암호 코프로세서 분할Ⅳ. 파티션 분할Ⅴ. HW/SW(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할1. 프레임웍에 근거한 HW/SW 분할 시스템 구현2. Ptolemy를 이용한 통합 시뮬레이션Ⅵ. 파장 분할Ⅶ. 시분할참고문헌Ⅰ. 텍스트 분할시스템은 구조 분석을 통해 추출된 텍스트 영역을 단어 단위로 분할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텍스트 영역을 줄 단위로 분리하기 위해 수평방향 투영 프로파일을 구하여 분할 지점을 찾는다. 다음으로 텍스트 영역에 대해 8방향 연결요소 레이블링을 이용해 각각의 연결요소를 구분 짓는다. 각각의 8방향 연결요소 레이블링 객체에 대해 중심점을 찾고 각각의 중심점 사이의 간격 정보를 얻어낸다. 단어와 단어 사이의 공간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평균-결합 클러스터링을 이용한다.제안 시스템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텍스트 영역과 비 텍스트 영역을 정확하게 분리하는 작업과 기울어진 문서 교정의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미리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1. 줄 분리문서 영상의 구조분석을 통해 얻어진 텍스트 영역에 대해 줄 단위로 분할을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텍스트 영역의 수평 투영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각 텍스트 줄의 구분점을 찾는다. 구분점을 찾는 방법은 프로파일에서 얻어진 a와 b를 분리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텍스트 줄은 수평 투영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2. 단어 분리단어 단위 분리는 수평 투영 프로파일을 통해 분리된 텍스트 줄에 대해 8방향 연결요소, 중심점, 평균 결합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단어 단위 분할에 사용되는 중심점을 찾기 위한 과정으로 줄 단위로 분리된 텍스트 영역에 대해 8방향 연결 요소 레이블링을 수행한다.레이블링을 통해 얻어진 요소들에 대해 각각의 중심점을 줄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단어 단위 분류를 위해서는 2개의 클러스터가 남게 되면 종료하게 되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각각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 정보 {0,1,1,2,3,3,5,6,6,7,9,11,16,17,20,21,21,24,36,42}는 클러스터가 서로 묶여가면서 평균거리를 정의하게 되고 마지막 2개의 클러스터는 {0, 1, 1, 2, 3, 3, 5, 6, 6, 7, 9, 11, 16, 17, 20, 21,21, 24}, {36,42}와 같다.Ⅱ. 코드 분할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ess)을 FDMA나 TDMA와 비교해 보면, 어떤 모임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보여서 이야기를 한다고 가정하면, FDMA 방식은 모든 사람이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모임 장소를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 놓은 각각의 대화실에 차례를 기다렸다가 들어가서 이야기 하는 것이라면, TDMA 방식은 역시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FDMA 방식과는 다르게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 모여서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동시에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이야기 하는 시간을 정해서 자기에게 할당된 시간 동안에만 이야기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이야기를 하는 시간이 단절되어 대화에 지장이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전혀 대화하는데 지장이 없다. 여기에 비해서 CDMA 방식은 다른 두 방식과 비교해 보면, 여러 사람이 같은 장소에 모여서 동시에 이야기를 하는 것과 같다. 다만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가 알 수 있는 언어로 이야기 하는 내용만 알아들을 뿐이고,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하는 것은 단지 잡음으로만 느끼는 것과 같다. CDMA 기술은 기본적으로 오래전부터 사용해왔던 대역확산 통신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대역확산 기술이 가지고 있는 모든 장점에 주파수 이용효율을 크게 증가시킨 것이다. 위의 예를 기술적으로 표현해 보면,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기 때단위인 모듈로 곱셈을 처리하는 모듈을 구현하는데 있어, 하드웨어 리소스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입력값 A와 B를 m비트와 n비트로 분할하여 2m x 2n 곱셈기를 구현한 후, 전체 k 비트에 대하여 모듈로 멱승을 처리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k = 128비트라 하고, A와 B를 동일하게 32비트로 분할하였을 경우의 하이래딕스 몽고메리 알고리즘의 데이터 종속 그래프(DG : Dependence Graph)는 다음과 같다. 동그라미 부분이 32비트 곱셈을 처리하는 PE(Processing Element)로서, 각 데이터의 흐름을 번호의 순서대로 스케쥴링하여 하나의 PE로 연속적인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체 k비트에 대하여 모듈로 곱셈을 수행하도록 하였다.3개의 PE가 추가된 것은 멱승시에 중간 곱셈 과정에서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boundary를 맞추기 위함이다.각 PE간에 전달되는 데이터는 호스트 프로세서 내의 RAM이나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입출력 순서를 가지게 된다. 모듈로 곱셈에 대한 순서를 알고리즘으로 나타내면 식 2와 같다.function~ MonPro(A,~B,~N)S_0 = 0 ~, ~Q_0 ~ = ~ 0~;For~ i = 0~ t o ~i= s ~doFor~ j = 0~ t o ~j= s ~doS_i+1,j = S_i,j+1 ~ + ~ Q_i~ N_j + B_i ~A_j~ ;Q_i+1 = S_i+1 ~ m o d ~2^m ~;E n d~ ;(2)Si,j : i번째 stage의 j번째 m-bit 디지트기본이 되는 모듈인 PE의 구조는 두 개의 입력 A, B와 N'와 Q의 곱셈 결과값을 이전 스테이지에서 나온 Sum값과 더하는 구조로 되어있다.지금까지 설명한 모듈로 곱셈 방식을 이용한 모듈로 멱승은 지수 E 또는 D값을 비트별로 스캔하여 제곱과 곱셈을 반복하는 LR-method[9]를 사용하였으며, 멱승시 전처리와 후처리를 포함한 전체 프로세스 과정을 식 3에 알고리즘으로 표현하였다./*(z =r^2 ~(m o d ~N))~_i =1 ~then~ C = C * M^* ~m o d~ n ~~C = MonPro(C ,`` 1)return~C(3)Ⅳ. 파티션 분할어느 날 당신이 새로운 운영체계를 받았다고 생각해보라. 그런데 이 운영체계를 깔기 위해서는 파티션의 분할이 거의 필수적이다. 하다못해 자동으로 설치가 되는 윈도우 95의 경우도 파티션을 분할하여(약 75메가 정도) 작동시키는 것이 나중에 이 운영체계를 지우는 것에 도움을 준다. 자신이 도스에 자신이 없을 경우 분명히 지우는 중에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일반적인 유틸리티를 사용한다면. 또한 os/2나 unix를 깔려고 한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fips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필자 역시 처음에는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데, 정말 귀찮음을 느꼈다. 까다로운 이 프로그램의 안정성 때문이다.이것을 개선해 보고자 이 프로그램의 소스를 분해해 보았고, 다시 예전에 8비트 시절에 배운 지식들을 동원하여 프로그램의 동원없이 파티션을 분할하는 묘수를 알아내었다. 여기서 일반적인 테크닉만을 기술하겠다. 하드나 운영체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너무나 방대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필요한 프로그램: Norton의 diskedit.Norton의 복구 프로그램(자동으로 시스템 디스켓을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 8.0에는 있다)우선은 안전하게 하드를 정리한다. 그리고 남아 있는 메가수를 dir등을 사용하여 확인한다.노턴의 복구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한 장의 시스템 디스켓을 만든다.(최악의 경우 이것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복구가 가능하다.)이제 모든 준비는 끝났다. 다시 Norton을 구동시켜서 Diskedit를 작동시킨다. 그런 후, Boot-sector를 읽는다. 이제 사용된 메가수와 남아 있는 메가수를 확인하여, 다음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부트트랙의 정보를 고친다.(고친후 반드시 저장, 그리고 원래의 수치는 따로 적어둔다.)(제 1파티션의 메가수(현재 사용된 부분)+10에서 20메가 정도의 템프 영역)*2048템프는 나중에 mem나누어 진 것이 확인 될 것이다.PS. 참고로 위의 식은 간단하다. 만일 여러분의 하드 중 완전히 포맷 된 후 사용 가능 영역이 가 정확히 329M라면(실제는 340메가) 하드의 마지막 클러스트 넘버는 329*2048이 된다. 또한 실린더의 넘버는 NC=integer{ (NN*2048)/1008) } ; NN은 위의 메가수로 구해진다.Ⅴ. HW/SW(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할1. 프레임웍에 근거한 HW/SW 분할 시스템 구현제안된 알고리즘을 근거로 구현한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확장된 Greedy 알고리즘의 효과적인 실험을 위해 X-Windows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을 이용하면, 제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전 단계로 피드백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전문가가 직접 구현을 수정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모듈을 계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현재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으며,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이 완성되면 기존의 Greedy 알고리즘 외에 Simulated Annealing이나 Group Migration 방법과도 분할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2. Ptolemy를 이용한 통합 시뮬레이션Ptolemy10)는 디지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과 합성을 위한 통합 환경으로, 전체 시스템을 통일되고 일반적인 언어로 기술하지 않고, 각 서브시스템에 적합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고, 각각의 이질적인 표현 방식들 간에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특히 Ptolemy는 이질적 기술들간의 막강한 변환 기능을 갖추고 있어, 제안한 Greedy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결과인 CDFG를 C와 VHDL로 변환한 다음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Ptolemy를 이용해서 통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현재까지 HW/SW 자동 분할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관계로 여준다.
    리포트 | 7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3.07.29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서론컴퓨터로 무엇을 ?컴퓨터는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기계덩어리(하드웨어)에 불과하다.그러나 이 기계에다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집어 넣으면 뭐든지 할 수 있는만능 기계 ... 은 수없이 많다. 그러나 이런 일들은 반드시 그런 일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있어야지만 가능 한 것이다.본론1. 하드웨어딱딱하게 얼어 있는 아이스크림을 하드 ... 은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사람에 비유한다면 외모는 하드웨어가 되겠고 마음은 소프트웨어가 되겠다.개인용 컴퓨터(PC)의 기계장치인 하드웨어는 입력 장치, 처리 장치, 출력 장치의 3가지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3.28
  • [PC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신의 PC청소와 조립 및 OS설치
    PC하드웨어 중간고사 대체 REPORT먼저 PC를 청소하고 조립하기에 앞서서 기왕 이번에 청소하고 조립하는 김에 대대적인 집에 있는 PC의 점검을 들어가려고 맘을 먹고 금요일 저녁 집에 와서 작업을 시작했다.우리 집의 PC는 두 대 이다. 어머니의 인터넷 겸 고스톱용 호스트PC와 내 개인공부용도로 쓰는 데스크탑 PC로 구성되어 있다.어머니의 PC는 너무 낡아서 업그레이드용 PC(10만원 대)를 사서 메인보드와 CPU를 교체하고 내 PC는 DVD-RW기능이 없는 DVD-ROM을 빼고 삼성 DVD-COMBO(2만원 대)를 바꾸고 나서 나의 DVD-ROM은 어머니 PC에 장착할 예정이다. 그리고 양쪽 PC모두 포맷을 하고 OS를 다시 설치하여 복구 DVD까지 만들면 오늘의 작업은 끝난다.1. 하드웨어 청소 및 교체먼저 PC를 뜯어 보았다.맨 왼쪽은 내 PC 중앙은 새로 산 어머니업그레이드용 PC이다. 제일 오른쪽 사진은 어머니의 PC본체를 연 내부 모습이다. 한 10년정도 계속 업그레이드를 해오면서 써온 PC라 구조가 좀 복잡하다. 요즘은 메인보드일체형으로 나와 그래픽 카드와 사운드 카드가 따로 필요없지만 이 PC에는 아직도 사운드카드와 그래픽 카드가 달려있다. 먼저 본체를 열고 부품들을 모두 분리해 보겠다.리얼텍 랜카드 RD-RAM(256*2) 그래픽카드 사운드블레스터5.1 인터넷공유렌카드3.5플로피드라이브 씨게이트하드(40G) 맥스타하드(40G) LG CD-RW 삼성DVD-COMBO부품들을 모두 분리하여 나열해 보았다. 부품 사이 사이에 있는 먼지들을 제거하고 LG CD-RW ROM은 새로 산 삼성 DVD-COMBO로 교체할 예정이다.컴퓨터를 빼고 나니 라인들이 엉켜있고 먼지도 장난이 아니었다.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제거하고 라인들을 깔끔히 정리하고 나니 한결 보기가 좋았다.부품을 제거한 내부의 모습들이다. 내부에 먼지가 상당히 많이 쌓여 있었고(청소한지 거의 일년 정도 되었음) 특히 CPU쿨러에 먼지가 잔뜩 끼어 있었다. 붓으로 조심스럽게 먼지를 제거하고 전면부와 후면부도 청소를 하였다.CPU도 분리 하여 보았다. 제일 오른쪽 사진은 펜티엄Ⅲ CPU와 쿨링펜이고 두번째사진은 메인보드에서 CPU를 분리한 모습이다. 세번째는 메인보드를 몸체에서 분리한 모습이고 네번째는 몸체와 메인보드와 파워 서플라이의 모습이다. 메인보드와 파워 서플라이의 냉각펜을 붓으로 조심스럽게 청소하였다. 여기는 자칫 잘못하면 먼지가 끼어서 화재의 위험이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본체의 앞면과 뒷면 그리고 메인보드 판넬과 메인 프레임을 분리하여 붓과 진공청소기로 각각 청소하였다깨끗하게 청소를 마치고 모든 부품들을 다시 조립하여 다시 완성된 PC를 만들었다. 깨끗하게 청소된 CPU 냉각 팬과 본체 내부의 모습 그리고 청소와 조립이 완료된 전면과 후면의 모습이다. 한가지 재미있었던 점은 앞면 CD-ROM 버튼이 하나 없어져서 미관상 상당히 보기 안 좋게 보였었는데 내부를 청소하다가 버튼을 발견해서 다시 장착을 해 미관상 보기가 좋아졌고 기분도 굉장히 좋았다. ^^앞에 두 사진은 없어졌던 CD-ROM 버튼과 다시 장착한 CD-ROM 버튼이다. 뒤에 사진은 청소 때 발견한 나사와 부품들 그리고 수북이 쌓인 먼지들이다. 이 먼지들이 PC의 성능들을 저하시켰을 지도 모른다.2. OS(WINDOWS) 및 소프트웨어 설치이제 하드웨어 설치는 마무리가 되었어 소프트웨어 설치가 남았다. 하드웨어 작업을 마치고 나니 시간이 새벽 5시가 되었다. 소프트웨어 설치 작업은 내일 일어나서 해야겠다.일요일 점심에 일어나서 점심을 먹고 바로 PC설치작업의 마무리단계인 소프트웨어 작업을 시작했다. 먼저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기 전에 파티션 C드라이브(우리 집의 내 PC의 파티션은 240GB를 셋으로 나눈 80GB씩이다)에 있는 데이터 중 중요한 데이터는 모두 D드라이브에 (BACKUP)폴더로 모두 이동시키고 윈도우XP2 CD를 이용하여 포맷을 하였다.그전에 바탕화면에 있던 정리되지 않은 프로그램들이다. D드라이브로 백업을 시키고 CMOS셋업으로 CD/DVD를 FIRST BOOT DEVICE로 바꾼 다음 윈도우 CD로 부팅하였다.먼저 윈도우 CD로 파티션 C드라이브를 포맷하여 깨끗하게 만들었다.포맷이 완료 된 후 C드라이브에 윈도우를 설치하였다. 국가언어설정과 컴퓨터 사용자 이름과 기관을 설정하였다.그리고 나서 사용자 이름 등록과(이건 왜 한번 더 하는지 모르겠다) 네트워크 연결설정과 시각 설정을 하였다.마지막으로 윈도우를 시작하기 전 인터넷 연결방법과 사용자 이름입력, 업데이트 설정 등을 하고 나면 드디어 윈도우 설치가 완료가 된다. 이제는 윈도우를 최적화 시키고 내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만 하면 소프트웨어설치 작업이 끝난다.이제 윈도우 최적화 작업을 할 차례다.윈도우를 처음 시작하면 휴지통을 제외하고는 바탕화면이 깨끗하다. 먼저 작업표시줄 설정을 하여 시작 메뉴프로그램에 있는 메뉴를 내가 쓰는 메뉴로만 최소화 시키고 작업표시줄에 빠른 실행 아이콘을 추가한다. 그리고 걸리적거리는 작업표시줄의 한/영 변환 메뉴를 제어판의 언어옵션에서 제거를 한다. 그 다음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와 내문서만 바로가기를 만들어 준다. 내 컴퓨터의 속성메뉴에서 오류보고를 치명적인 오류만 보내도록 설정(오류보고 은근 짜증남)하고 윈도우의 시작페이지를 가장 많이 쓰는 네이버로 바꾸고 윈도우 자체 내에서 쓰는 디스크 복구설정을 하지 않음으로 바꾼다.(제대로 복구도 안되면서 컴퓨터가 느려지기 때문)자 이제 최적화가 완료 되었다. 물론 윈도우XP최적화는 80가지가 넘지만 오늘은 간단하게 이 정도만 최적화를 하겠다. 다음 단계로 내가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해야한다. 설치를 하기 전에 준비물이 필요하다. 그것은 컴퓨터를 살 때 받았던 드라이버 CD들과 내가 전에 CD로 구워놓았던 각종 프로그램들을 준비해 놓아야 한다.지금 현재 내컴퓨터의 장치관리자에서 하드웨어를 보면 드라이브가 안잡혀 있는 상태이다. 우선 하드웨어드라이브를 잡아주고 각종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한다.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프린터기 드라이버 네로버닝룸(DVD-RW)기본적인 드라이버를 설치가 끝났으면 재부팅을 한번 한후에(드라이버 인식때문)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한다.한글2005, 오피스2003, 포토샵 8.0(CS)를 설치한다. 이제는 각종유틸리티 설치만 남았다.바탕화면에 각종 유틸리티들의 설치파일을 복사한 후 하나씩 설치한다.알씨리즈(알씨, 알집, 알쏭, 알쑈), 언락커블, 아드레날린, 통합코덱, 곰플레이어, 폴더플러스, 한가이드(한영번역기), 인가이드(영한번역기), 데이터매니져(핸드폰연결), 네이트온(메신져)그 다음에는 각종 보안프로그램(V3 2007, 울타리, 네이버툴바무료치료)를 설치하여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악성코드제거프로그램(이지클린, PC버그닥터)를 설치하여 레지스터리와 불필요한 파일을 정리한다.이런 프로그램으로 자주 바이러스와 악성코드를 검사하지 않으면 컴퓨터 성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자신의 PC성능을 체크해볼 수 있는 아이다32와 산드라도 설치해 보았다.마지막으로 윈도우 업데이트를 설치하여 최신 버전의 보안업데이트를 하면 설치가 마무리 된다.업데이트 패치를 받은 모습과 각종 프로그램들이 윈도우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다.마지막으로 노턴 고스트 20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C가 이상이 생기더라도 30분만에 복구할 수 있는 복구 디스크를 만들어 보겠다.우선 고스트 CD원본을 이용해 MS-DOS부팅을 한 후 고스트CD내에 있는 GHOST를 실행시키면 두번째처럼 그림이 뜬다. 그 중에 나의 PC는 파티션이므로 TO PARTITION으로 D드라이브에 BACKUP.GHO라는 이름으로 저장을 시키면 D 드라이브에 저장이 된다. 이 파일을 DVD-RW를 이용하여 DVD로 복구 디스크를 만들어 놓으면 나중에 시스템 디스크에 손상이 가더라도 간편하게 고스트 복구 DVD를 이용하여 30분만에 다시 지금 상태로 복구 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바탕화면도 깜찍한 걸로 바꿔보았다.(기분전환으로 ^^)3. 마치면서..어머니의 PC도 동일한 작업을 거쳐서 최적화와 복구 디스크까지 완성이 되었는데 소프트웨어는 어짜피 중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나의 PC작업만 기술하려 한다.레포트도 쓰는 겸 PC도 완전히 싹 고칠 겸 해서 시작한 작업인데 꼬박 이틀이 소요되었다. 첫날 밤새고 내일 금방 하겠지 라고 생각했는데 벌써 새벽 2시이다. 하지만 힘들게 작업한 만큼 당분간은 PC 고장 날 걱정은 없겠다 라고 생각한다. 방학 때 여자친구 컴퓨터가 고장이 나서 한번 해본 작업이기는 하지만 사진 찍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설치하느라고 조금 정신 없었던 것 같지만 다 해놓고 나니 내가 정말 이걸 다 했구나 하면서 뿌듯했다. 이제는 컴퓨터 고장에 관해서는 웬만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긴다. 어머니 PC도 이번 작업을 통하여 성능이 아마도 3배 이상(체감으로는 10배정도?!) 상승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조금 힘들고 고된 작업이었지만 보람 있었고 재미있었다.이상으로 PC하드웨어 를 마칩니다.-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10.25
  • [컴퓨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DMA & Interrupt
    1. Interrupt 에 관한 모든 것인터럽의 기능은 하드웨어적이며 목적은 system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특히 real time(실시간 처리)을 주목적으로 하는 컴퓨터의 설계에서 인터럽은 가장 중요한 부분에 속한다.인터럽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컴퓨터 내부 혹은 컴퓨터 주변에서 응급(예외적인) 사태가 발생했다.?명령어의 수행이 완료되면 fetch state로 변천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어떤 장치가 다른 장치의 일을 잠시 중단시키고 자신의 상태 변환을 CPU에게 알리는 것이다.?입출력 장치가 CPU의 서비스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이다.인터럽체제는 interrupt의 발생을 알리는 인터럽 요청 신호(interrupt request)와 interrupt의 발생부터 interrupt에 대한 조치를 끝낼 때까지를 제어하는 인터럽 처리 기능(interrupt processing routine), 그리고 인터럽에 대한 실질적 조치를 취해주는 일종의 부 프로그램인 인터럽 취급 루틴(interrupt service routine), 또 인터럽이 동시에 발생할 때 어느 인터럽트로부터 처리해 줄 것인지를 정하는 인터럽 우선 순위(interrupt priority) 등으로 되어 있다.인터럽 요청을 할 수 있는 회선은 1개 또는 여러 개이며 인터럽 처리기능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며 인터럽 취급 루틴은 각 장치마다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여러 개 있다.소프트웨어적 인터럽 처리기능 루틴을 interrupt handler(인터럽 조정기)라고 한다. 인터럽 우선 순위는 대개 속도가 빠른 장치가 높고 속도가 느린장치가 낮다. 또 CPU가 어떤 인터럽트를 취급중일 때 더 높은 우선 순위의 인터럽이 들어오면 먼저 처리 해 줄 수 있어야 한다.▶ machine check interrupt정전, 자료 전달 과정에서의 에러가 발생 등 하드웨어 자체에서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program interrupt수행중인 프로그램상에서 에생한 program interrupt으로 특별히 ?trapping?이라고도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신호가 발생한다.trap은 재현이 가능한데 수정하지 않고 수행시키면 매번 같은장소에서 에러가 발생한다.▶소프트웨어적 인터럽소프트웨어적 인터럽은 프로그램 내에서 프로그래머에 의해 의도적으로 인터럽을 일으킨다. 따라서 인터럽 신호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발생한다.수행중인 programprocessing routineservice routine::→좌측의 현재 프로그램을일단 중지시키고 상태 저장→실질적인 조치를취해준다.:어느 장치에서 인터럽이발생하였는지를 확인…‥현재 명령어 수행중다른 어떤 장치에서인터럽 발생.…‥그 장치에 해당하는 인터럽취급 루틴을 호출하여 수행계속 수행.:←…‥…‥…‥취급 루틴에서 제어가 넘어오면 조금전 중지시켰던프로그램을 수행시킴←▶ CPU가 인터럽 요청을 받는다. 즉 어느 장치에서 인터럽이 발생하였다.▶ interrupt processing routine(처리 루틴)이 동작한다.현재 수행중인 명령어 수행을 일단 끝내고 프로그램을 중단시킨후 PSWR와 PC의 내용을 저장하는데 이 과정은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인터럽 요청장치를 판별한 후 그 장치의 인터럽 취급루 틴을 호출하여 수행시킨다.PC는 주로 주소 0번지, 스택, 특별한 레지스터 등에 기억하고 PSW는 old PSW에 기억한다.▶ interrupt service routine(취급 루틴)이 동작한다.인터럽에 대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주는 것으로 조치의 내용은 인터럽의 종류 및 장치의 종류에따라 다르다. 조치가 끝나면 제어가 처리 루틴으로 돌아간다.▶ interrupt processing routine이 동작한다.앞에서 중단시켜 놓은 프로그램의 상태를 복구하고 중단된 곳에서부터 다시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조치를 취하고 있는 도중 또 다른 인터럽이 발생하면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그것부터 먼저 처리해 줄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스택이 사용된다.▶소프트웨어적 방법인터럽 신호 요청 회선이 단 값은 각 장치의 취급(service)루틴 내에 기억시켜 놓는다. polling 방식은 융통성이 있고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없어 경제적인 방법이나 속도가 느리다.▶하드웨어적 방법인터럽 요청 신호 회선은 단일 회선이지만 요청장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회선은 여러 개 있어 인터럽 발생 즉시 요청 장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으로 daisy chain 방식 또는 인터럽 우선 순위 체인(interrupt priority chain)이라고도 하며 인터럽 처리 루틴이 없어도 된다. 즉 장치 번호 버스(device code bus)가 여러 개 있어 인터럽이 발생하면 interrupt vector에 의하여 바로 요청 장치가 확인되고 vector내에는 해당 장치의 취급 루틴이 있어 이를 바로 수행시키기 때문인데 이 기능은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된다.daisy chain방식에서 PC의 값은 특정 번지(주로 0번지),스택,인터럽벡터 등에 보관한다.CPU는 인터럽 인정 신호(interrupt acknowledge)를, 인터럽을 요청한 장치에게 보낸다. 만일 두 개의 장치가 동시에 인터럽을 요청 했다면 CPU에 가까운 장치에 인정 신호(intack)가 먼저 도달되고 우선 순위가 높은 결과가 된다. 장치별로 우선 순위가 정해진 경우에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가 인터 럽 중이면 다른 장치는 인터럽 요청이 무시된다. 즉, 우선 순위가 높은 장치가 ?장치 번호 버스?를 이용중 일때 다른 장치는 ?장치 번호 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병렬 우선 순위(다중 회선)인터럽 요청 신호 회선이 각 장치마다 있고 각 회선마다 고유의 우선 순위를 갖고 있어 priority encoder라는 논리 회로에 의해서 우선 순위의 회선을 찾아내어 해당 service 루틴을 수행시키는 방식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IRQ는 PC 하드웨어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위한 메커니즘이다. 컴퓨터에 장착된 각각의 장치는 IRQ로 할당된다. 중앙 연산 장치(CPU)로부터 서비스를 원할 때 장치는 이 IRQ 라인에 신호를 보내고 기다린다. 특upt 라인으로 여러 개 Device 사용가능▶ request_irq()- Interrupt 요청 함수▶/proc/interrupts- 하드웨어 interrupt 발생시 내부 카운터 증가▶ Autodetecting the IRQ Number? 프로그래머가 정의? autodetecting- Kernel-assisted probing? Kernel 이 정의하는 함수에서 만들어줌? 인터럽터 번호 probing 하기위해 사용하는 번호 이용? 공유되지 않는 경우만 사용- Do it yourself probing? Kernel 의 도움 없이 자기가 직접 프로그래밍▶ Fast and Slow Handlers? Fast Handler- 빠르게 처리하는 Interrupt Handler? Slow Handler- Interrupt Handler 에서 처리할 일이 많을 경우 사용? 차이점 ( 거의 없음)- Fast Handler 경우?Process 는 enable 상태, 디바이스가 Interrupt 걸면 자동?Disable. 끝나면 enable 상태- Slow Handler 경우?Interrupt 에서 할 일이 많아서 오래 걸리는 Interupt? 수행 중 다른 Interrupt 가 또 걸릴 수 있다.▶Interrupt Handler 제약- 사용자 공간과 데이터 교환 불과- 기억장치 할당 시 GFP_ATOMIC 사용- Schedule 불가능▶ Interrupt Handler 역할- Interrupt 를 요청한 Deivce 에게 도착했다고 알림- Interrupt 목적에 맞게 데이터 읽거나 기록- sleep 하는 프로세서를 깨워 데이터 도착 알림▶ 가능하면 짧은 시간에 모든 동작 수행▶Top-half- 실제로 Interrupt 신호에 반응하는 부분- request_irq() 로 등록한 인터럽트 핸들러- 현재 시간 읽고 Bottom-half를 스케줄▶ Bottom-half- Top-half 에서 차후에 수행하도록 스케줄 된 루틴- mechanism(BH) 로 구현- 시간을 encod이스 드라이버는 주로 IMMEDIATE_BH 를 사용▶Installing a Shared Handler- Shared 일 경우 request_irq() 설치 방법 다름? flags 값은 반드시 SA_SHIRQ 사용? dev_id 값 유일한 값 사용, NULL set 안함- Kernel 은 공유 Handler 목록 관리, dev_id 로 구분- Interrupt Sharing 요청시 request_irq 성공?? Interrupt line 이 free? 이미 등록된 Handler 가 그 line 공유하는 것으로 등록? 공유하는 Handler 은 모두 fast 이거나 slow- Interrupt line 공유시 Kernel 동작? line 에 등록된 모든 Handler 에게 dev_id 전달? 공유 Handler 는 dev_id 를 검사, 자기의 요청 아님 종료▶Installing a Shared Handler- IRQ 요청시 device Interrupt 요청 probe? Kernel 도움 못받음, Do-it-yourself-probing- Handler 해제? release_irq 로 실행? dev_id 를 사용, 올바른 Interrupt Handler 라인 해제- 공유 Interrupt Handler 사용시 주의 사항? enable_irq or disable_irq 사용 불가? 공유된 다른 Device 에게 영향▶ Running the Handler- Interrupt 요청 발생시 등록된 모든 Handler 호출- Handler 은 자신의 Interrupt 인지 구분2. DMA 에 관한 모든 것▶ DMA의 개념- 자기 디스크와 같은 고속 저장장치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타 전송은 CPU에 의해 속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이 데이타 경로에서 CPU를 제거하고 주변장치가 직접 메모리 버스를 관리하여 전송속도 향상- DMA 전송 수행동안 CPU는 메모리 버스를 제어하지 못하고 쉬게 된다▶ CPU를 Idle 상태에 있도록하는 방법? 특별한 제어신호를 통하여 버스를 Dis앗긴다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4.11.05
  • [IT와경영정보시스템]하드웨어의 직렬처리 방식에 비해 병렬처리 방식의 특징 분석과 소프트웨어의 분류
    3. 직렬처리방식과 병렬처리방식의 비교Ⅴ.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종류별 분류1. 프로그래밍 언어2. 운영체제3.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4. 컴파일러5 ... - 목 차 -Ⅰ. 서 론Ⅱ.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1.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2. 정보처리 시스템3. 하드웨어Ⅲ. 직렬처리, 병렬처리 방식1. 직렬처리방식(Serial
    리포트 | 27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09.09.16
  • [마이크로프로세서] atmega 128을 이용한 설정 가능한 시계, 밝기조절, 온도표시 설계(도트매트릭스 하드웨어설계, 소프트웨어 코드 포함)
    제출 20091126Micro processorClock & Temperature sensing systemDepartment of Electronics & Information, SNUT2009.11.26Clock & Temperature sensing systemC..
    리포트 | 18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1.03.29
  • pc구조 용어 설명(하드웨어를 다루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
    를 기반으로 개발된 일반적인 화면을 처리하게 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DirectDraw 에는 Page Flipping, Hardware Blitter, Hardware ... 에서 핵심이라고 할수 있는 Page Flipping은 비디오 메모리의 남는 부분에 다음에 표현할 화면을 저장함으로써 그래픽 전환 속도를 높이는 기술입니다.다음으로 Hardware Blitt됩니다.
    리포트 | 1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4.15
  • [컴퓨터일반] 컴퓨터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전산 실습< 컴퓨터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컴퓨터 하드웨어 >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또한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로 나눌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주기억장치, 연산장치, 제어장치로 구성되고, 주변장치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보조기억장치로 구성된다.중앙처리장치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에서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된 데이터의 연산을 수행한다.1) 제어장치제어장치는 프로그램에 의해 주어지는 데이터의 처리 순서를 차례대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업장치, 연산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등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또한 이들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아 다음에 처리해야 할 동작을 결정한다.< 제어장치 구성요소 >프로그램 계수기명령 레지스터명령 해독기< 제어장치의 동작 >제어장치의 명령 수행과정은 명령호출 단계와 명령실행 단계로 구분되며, 이 두 단계를 반복 수행함으로서 제어장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명령호출 단계는 프로그램 계수기의 주소에 의해 주기억장치로부터 명령을 추출해서 명령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명령실행 단계는 명령 레지스터의 내용을 해석하고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켜 실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이다.2) 연산장치연산장치는 산술연산 및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다.사칙연산데이터의 이동논리적인 비교 및 판단데이터의 편집< 누산기 >연산할 데이터를 제공받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다시 기억하는 핵심인 레지스터이다.데이터 레지스터가산기상태 레지스터기억장치중앙처리장치에서 컴퓨터 시스템 관리,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명령어들이나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에 미리 기억시켜 놓아야 한다. 이와 같은 명령들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억장치라 한다. 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눈다.1) 주기억장치주기억장치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과 데이터 그리고 처리결과를 기억하는 장소이다.< 주기억장치의 특징 >주기억장치 내에 기억된 정보의 위치는 주소그램이나 데이터를 입 출력시키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즉 MBR을 통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이 이루어진다.2) 반도체 기억장치주기억장치는 기억소지에 따라 자기코어 기억장치나 반도체 기억장치로 나눌 수 있다.반도체 기억장치는 데이터의 기억을 위한 전자회로를 고밀도로 집적한 IC(integrated circuit) 기억장치이며, 접근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높다. 이와 같은 반도체 기억장치는 그 성질에 따라 크게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ROM >ROM은 읽을 수는 있으나 쓸 수 없는 읽기 전용 기억장치이다. 즉, ROM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해 놓으면 그 ROM의 데이터는 사용자 임의로 변경할 수 없고 오직 읽어서 수행만 할 수 있다. 또한 ROM은 RAM과는 달리 전원이 꺼져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RAM >RAM은 읽을 수도 있고 쓸 수도 있는 임의접근 기억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는 이 RAM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이 RAM에 저장되며, 일단 전원이 차단되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지워지기 때문에 주위해야 된다.보조기억장치주기억장치는 처리속도는 빠르지만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는 임시저장 장소이고 기억용량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많은 용량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보조기억장치가 필요하다.< 보조기억장치 특징 >주기억장치에 비해 기억용량이 매우 크며 접근시간은 상대적으로 느리다.기계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기 때문에 구동장치인 드라이버가 필요하다.보조기억장치에 기억되어있는 프로그램들은 주기억장치로 얽혀진 다음 실행시킬 수있다.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내용은 지워지지 않는다.데이터의 기억위치에 따라 접근시간이 달라진다.주기억장치에 비해 가격이 싸다.(1) 플로피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작은 원반 위에 자성재료를 입혀서 디스켓이라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0과1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가 필요하고, 반대로 컴퓨터가 처리한 정보를 인간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사용하는 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필요하다. 즉,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1) 입력장치컴퓨터로 처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읽어 들여서 주기억장치로 보내는 장치이다.< 키보드 >키보드는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입력장치로서 원하는 키를 눌러서 컴퓨터에 데이터를 직접 입력시킨다.< 광학 문자 판독기(OCR : 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 문자 판독기는 원시 문서에 빛을 비추고 그 반사광으로 OCR문자를 인식하여 직접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장치이다.< 자기 잉크 문자 판독기(MICR :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자기 잉크 문자 판독기는 자기적으로 인쇄된 특수한 형태의 문자를 인삭하여 컴퓨터에 직접 입력시키는 장치이다.< 바 코드 판독기 >바코드 판독기는 어떤 물품의 표면에 인쇄된 특정 형식의 바 코드나 광학 문자를 읽어서 물품의 종류, 가격 등을 즉시 파악하여 판매 관리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영상 입력 장치 >영상 입력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입력된 영상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 패턴과 결합하므로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 >인간의 음성을 인식하여 직접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문자 입력 장치>문자를 인식하여 직접 컴퓨터에 입력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스캐너 >스캐너는 그림이나 시진을 컴퓨터에 입력가능 하도록 디지털 정보로 바꾸어주는 장치이다.< 마우스 >마우스는 손으로 쥐어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윈도우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 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필수적이다.< 터치 스크린 >터치 스크린은 화면에 나타난 메뉴를 직접 손가락으로>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총칭하며, 시스템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시스템 프로그램 사용자가 컴퓨터 하드웨어의 동작과 구조를 모르더라도 그것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응용 프로그램이란 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해서 컴퓨터 사용자의 특정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프로그램이다.시스템 소프트웨어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 언어 처리기, 유틸리티 프로그램 등으로 나눌 수 있다.운영체제란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하드웨어를 제어,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들의 집합이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에서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일들을 수행한다.< 운영체제 목적 >운영체제의 목적은 생산성 향상에 있으며,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측면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이 최대한 편리해야 하며, 시스템 측면에서는 시스템 성능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운영체제의 구성 >▪제어프로그램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 작동상태를 제어, 운영, 감시하고 기타 모든 프로그램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감시 프로그램컴퓨터 시스템의 작동상태와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감독하는 프로그램이다.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컴퓨터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여러가지 파일과 데이터 표준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작업 프로그램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위한 일의 단위인 작업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처리 프로그램언어 번역 프로그램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원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어주는 프로그램이다.서비스 프로그램서비스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을 경감시켜 주고 업무 처리 효율성을 위하여 컴퓨터 제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다.문제처리 프로그램컴퓨터 사용자가 어떤 문제를 컴퓨터로서 처리하기 위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운영체제의 종류 >DOCDOC는 마이크로소용하고 있다.응용 소프트웨어응용 소프트웨어란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운영체제 이외의 모든 프로그램을 말하며 사용자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워드프로세서워드프로세서는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문서를 작성하여 수정, 편집 등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란 어느 한 조직의 다수 응용 시스템 등이 사용하기 위해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스프레드시트스프레드시트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식 계산표를 말하며, 웍시트라고도 한다.- 통신 프로그램통신 프로그램은 모뎀을 통한 컴퓨터의 연결 데이터의 송수신, 컴퓨터 통신을 통한 같은 통신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준다.프로그램밍 언어컴퓨터는 하나의 기계 장치에 불과해서 스스로 어떤 일을 생각하여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일정한 언어로 명령을 해야만 컴퓨터는 일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컴퓨터로 어떤 업무를 처리하고자 할 때는 업무 처리 순서대로 지시해 주어야 한다.프로그램의 개념프로그램이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작성한 명령의 집합체를 말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을 프로그래밍이라고 하고,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를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한다.프로그래밍 언어의 분류프로그래밍 언어는 저급언어와 고급언어로 나눌 수 있다.저급언어는 기계중심의 언어로 컴퓨터 사이에 호환성이 없고 프로그램 작성 및 수정이 어렵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저급언어에는 기계어와 어셈블리어가 있다.고급언어는 인간 중심의 언어로 자연어와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가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련된 사항을 알지 못하더라도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 고급 언어에는 컴파일러 방식과 인터프리터 방식이 있다.< 기계어 >기계어는 직접 명령을 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빠른 장정이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머 입장에서는 명령이 2징수 코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SP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1.10
  • [경영정보시스템] about 컴퓨터하드웨어 &소프트웨어
    7장 컴퓨터의 하드웨어1. 컴퓨터의 개념1) 컴퓨터의 구성요소1 컴퓨터는 본체와 주변 장치로 구성된다.2 본체 -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주변장치 -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 는 통신기능 등을 수행한다.3 자원관리(resource management)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해야 하며, 관리해야 할 하드웨어자원에는 CPU,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에서 파일의 위치를 파악한다.5 데이터 관리(data management)데이터의 입출력, 저장위치 검색 등을 통제하는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소프트웨어
    리포트 | 2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3.11.11
  • [컴퓨터]하드웨어소프트웨어 그리고 컴퓨터 처리 속도
    ,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높다.컴퓨터의 처리능력을 극대화하도록 한다.PC의처리어떤 문제를 컴퓨터로 처리할 경우Hardware및 Software의 기능을 사용장인에 비유하여도구인 ... reportHardwareand SoftwareComputer구성요소: Hardware,SoftwareHardware와Software의 비교 : Hardware는 외형적인 회로 ... 나 장치를뜻하고 Software는 Hardware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응용기술을 뜻한다.Hardware의 정의 :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실제 물리적인 부품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7.26
  • [IT와경영정보시스템]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직렬처리방식 및 병렬처리방식의 분석과 소프트웨어의 종류별 분류
    으므로 소프트웨어하드웨어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또한 컴퓨터는 완제품이 아니라 부분품의 집합임으로 각각의 부분품에 대한 이해와 조합으로 필요부분에 대한 성능 발휘가 가능 ... 적인 컴퓨터의 처리 방식인 직렬처리 방식에 비해 병렬처리 방식의 특징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종류별로 분류해 보고자 한다.Ⅱ. 컴퓨터 하드웨어1. 컴퓨터시스템 ... 을 처리하지만 직렬은 느리고 병렬은 빠르다. 병렬은 하드웨어(기계)로 구현하지만 직렬은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구현한다. 사람 머리 속의 뉴런 연결도 병렬 처리에 속한다. 직렬은 순서
    리포트 | 21페이지 | 3,800원 | 등록일 2008.09.28
  • (IT와경영정보시스템1)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분류하는 방식 직렬처리방식과 병렬처리 방식의 특징 소프트웨어를 종류별로 분류0k
    (IT와경영정보시스템1)컴퓨터시스템의 하드웨어분류 직렬처리방식과 병렬처리 방식의 특징 소프트웨어를 종류별분류0k1.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분류하는 방식과 기준은 다양 ... , 사운드카드 드라이버가 있다. 드라이브 : 하드웨어 이고 CD-ROM 드라이브 이고, CD를 읽을 수 있는장치이다.3. 소프트웨어의 종류1) 소트트 웨어의 개념컴퓨터 소프트웨어(computer ... software, 혹은 간단히 소프트웨어, 문화어: 쏘프트웨어, 순화 용어: 무른모)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특정한 목적의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뜻
    리포트 | 10페이지 | 4,300원 | 등록일 2009.10.06
  • [공학]컴퓨터의 구조(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웨어(Software)》1.시스템 소프트웨어(System program)2.응용 소프트웨어 (Application program){하드웨어(Hardware)하드웨어(Hardware ... )♧ 목차 ♧《하드웨어(Hardware)》1.중앙 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 g Unit)2.기억장치(MEMORY)3.입력 장치4.출력 장치5.프로그램《소프트 ... , FDD, CD_ROM, …Software.Operating System : H/W를 움직이는데 필요(Unix, Dos, Windows).System program : 개발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06.29
  • [IT와경영정보시스템]하드웨어 분류 방식 중 직렬처리 방식과의 비교를 통한 병렬처리 방식의 특징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종류별 분류
    하다.데이.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있어야만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하드웨어의 작동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 ... ) 시스템 소프트웨어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래머에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저장 데이터를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여 컴퓨터의 효율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 필요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총칭이다.특히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컴퓨터 작동에 직접적인 영향
    리포트 | 10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9.09.30
  • [건축] CAD에 이용되는 Software, Hardware 종류와 활용
    한 컬러 표현, 다양한 하드웨어를 사용할수 있다. CAD 사용의 효율적 자원과 설계 자동화를 추구한 전문 디자인 캐드 소프트웨어라고 할수 있다. ... CAD에 이용되는 Software, Hardware 종류와 활용CAD란 "Computer Aided Design" 의 약자로서 "컴퓨터를 이용한 제도 및 설계"를 의미 ... ,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발전에 따른 작업속도로 인해 2차원 단순한 설계도면 작성에서 벗어나 3차원 설계 작업은 물론 역학적, 화학적, 음향 등 다양한 시물레이션이 가능해졌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0.19
  • [정보통신] 이동통신의 원리와 그과정에서 쓰이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종류,기능
    정통전개론레포트과제레포트 주제 :핸드폰 인터넷수신자에서송신자까지의 과정 및그과정에서쓰이는소프트웨어하드웨어1>이동통신의 원리아날로그 시스템의 제한된 용량 및 낮은 서비스 품질과 성능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시스템의 출현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날로그 시스템으로는 AMPS, TACS, NMT등이 있고 디지탈 시스템으로는 GSM, CDMA, TDMA, PDC, DAMPS등이 있다.디지탈 시스템은 음성이 모두 코드화 되므로 보안성이 높고 에러 정정이 용이 하며(음성 품질이 높음) 간섭에 강하고 아날로그에 비해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탈 방식에서 사용되는 다중 접속 방법으로는 CDMA와 TDMA가 있으며 각 채널의 용량은 주파수 대역폭과 할당된 시간에 의해 제한된다.디지탈 방식의 셀룰라 이동 통신에도 Multipath와 Fading, 주파수 재사용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CDMA는 주파수 재사용의 제약을 받지 않지만 TDMA의 경우 주파수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간의 거리가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충분히 멀어야 한다.①GSMGSM은 1928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최초의 GSM(Group Special Mobile)은 CEPT(Conference of European Posts and Telegraph)가 구성한 개발 그룹의 명칭이었다. GSM은 범유럽에서 사용 가능한 900MHz 대역에서 운용되는 셀룰라 시스템으로 특징은 아래와 같다.- 높은 음성 품질- 저렴한 서비스 비용- International Roaming 지원- 주파수 대역 사용 효율 향상- ISDN 호환GSM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가 1989년에 승인하여 이후 크게 상용화 되었다. GSM은 MS(Mobile Station), BSS(Base Station Subsystem), NSS(Network & Switching Subsystem), OSS(Operation Subsystem)으로 구성된다.1) MS는 단말기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로 구성되며 SIM에는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SIM을 이용하면 자신의 단말기가 아니더라도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2) BSS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BTS(Base Transceiver System)으로 구성되며 NSS에 연결된다.3) NSS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HLR(Home Location Register),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로 구성되며 가입자의 통화를 위한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한다. HLR과 VLR은 모두 데이타 베이스이지만 HLR은 홈교환국의 가입자용이고 VLR은 타교환국의 임시 방문 가입자용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24) OSS의 기능은 Network Operation and Maintenance, Subscription Management, Charging and Billing Management로 요약된다.GSM은 TDMA 방식을 사용하며 통화를 Time Slot 단위로 분리한다. GSM 한 채널은 200KHz의 대역폭을 가지며 8개의 Time Slot으로 분할된다. GSM을 Upbanded시킨 PCN은 DCS1800으로 불리기도 하며 1800MHz 대역에서 운용된다. 기본적으로는 GSM방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DCS1800과 프로토콜은 같지만 운용 주파수 대역만 다른 DCS1900도 있다. DCS1800도 SIM을 사용하므로 이론적으로는 GSM과 로밍이 가능하다.PCN과 GSM 모두 단문 수신 기능(SMS)과 SMS를 응용한 OTA, CBC(Cell Broadcasting), 데이타 전송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타 서비스 기능등을 지원한다.GSM에서는 Frequency Hopping 방식이 사용되므로 도청이 매우 어렵고 사업자는 각 가입자별로 보안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GSM의 음성 압축 기술 특성상 Round Trip Delay가 존재하는데 약 100ms정도의 지연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연 현상은 사용자가 인지할 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 크게 말할수록 지연이 많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약 200ms) 또한 TDMA의 특성상 Multipath에 의한 Phase Cancellation은 Fading을 발생시키고 Signal Power를 낮춤으로 해서 신호 품질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②CDMACDMA는 간섭에 강하고 도청이 불가능하다는 특성으로 인하여 원래 군용 통신에서 사용되었다. CDMA에서 각 가입자는 주파수나 시간에 의해 구분되지 않고 고유한 Code에 의해 구분이 되며 모든 가입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CDMA에서 코드는 단말기와 기지국이 서로 알고 있는 것이며 Pseudo Random Code Sequence라 한다.1993년 TIA에 의해 승인된 CDMA는 IS-95 규격을 따르며 각 반송파는 1.25MHz의 대역을 가진다. CDMA는 대역 확산 방식을 사용하는데 원래의 신호보다 훨씬 넓은 대역으로 정보를 확산시켜 전송한다. 즉 9600bps의 신호가 1.25Mbps로 확산되는 것이며 이때 확산이란 원신호에 또 다른 디지탈 코드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신단에서는 1.25Mbps로 확산된 신호에 다시 송신단에서 적용하였던 똑같은 디지탈 코드를 적용하여 9600bps의 원신호로 복구하게 되는 것이다. 신호를 넓은 대역으로 확산하므로 확산된 이후에는 단지 Noise Floor 처럼 보일 뿐이며 확산시에 적용한 디지탈 코드를 모르면 복조가 불가능 하므로 도청이 어렵다.한 네트웍내의 기지국들은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주어진 시간에 서로 다른 코드의 일부분을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은 PN Code의 Time Offset Version을 전송하며 이 Time Offset이 상호 독립적이기 위해서 기지국은 모두 동기화된다. 동기화에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가 사용되며 위성에서 기준 시간, 위도, 경도등의 정보를 받는다. CDMA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AMPS에 비해 8~10배, GSM에 비해 4~5배의 용량을 가진다.- 음성 품질이 높다.- 모든 셀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주파수 계획이 용이하다.- 보안성이 높다.- 주파수 대역 이용 효율이 높다.③기타 디지탈 이동 통신 방식1) CT2 : CT2는 Codless Telephone 2nd Generation의 약자이며 가정용 무선 전화용으로 개발되었다. 기지국에서 반경 300m 정도까지 통화가 가능하며 핸드오프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즉 셀룰라 이동 통신과는 달리 기지국 가까이에 있어야만 통화가 되며 최초에 통화를 설정한 기지국의 반경을 벗어나면 통화는 절단되는 것이다. CT2는 옥외형 이동 통신용이라기 보다는 빌딩내 사무실용으로 적합하다. CT2는 1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디지탈 음성 코딩을 사용하므로 보안성이 높고 음성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2) DECT : DECT는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s의 약자이고 CT2보다 서비스에 유연성이 많다. CT2가 40개의 반송파에 반송파당 1개의 음성 채널로 총 40개의 음성 채널을 갖는데 비해 DECT는 10개의 반송파에 반송파당 12개의 채널을 가지므로 총 120개의 음성 채널을 가진다.3) PHS : PHS는 Personal Handyphone System의 약자로 일본에서 개발되어 동남아 지역으로 보급된 시스템이다.길을 걷다 흔히 볼 수 있는 둥그렇고, 네모지게 철판으로 만들어진 통신 맨홀(약 1.5Km마다 1개씩)안에는 중계기(Repeter)가 들어 있다. 중계기의 역할은 찌그러진 신호를 원래의 깨끗한 신호로 복원해서 다음 구간으로 계속 보내주는 것이다. 우리가 서울에서 부산으로 장거리 전화를 해도 바로 옆에서 통화를 하듯 깨끗한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되는 것도 이 중계기의 덕분이다.
    리포트 | 4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4.05.17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