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8일 세상을 떠났다. '고종기'에 의하면 장중하고 향기로운 진정한 선비였던 퇴계의 임종모습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초사흘날 이질로 설사를 하시다. 마침 매화의 화분 ... 고, 수양론의 실천방 법을 정밀하게 규명함으로써, 조선시대 성리학의 기본 틀을 정립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1) 이일원론 (理一原論)퇴계는 처음 이기이원론에서 출발하여 이일원 ... 된다.2) 인 식 론 (認 識 論)퇴계는 理의 인식을 성찰과 체험으로 가능하다 하였다. 그러므로 「존양체찰(存養體察)은 오가(吾家)의 종지(宗旨)라」하여 존양 혹은 존성함에 있어서 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