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기관에 한하지만 정보수집권과 관청의 정보제공의무가 주출판법에 의해 구현되어 있고, 그 밖에도 행정재판소법과 행정절차법 등에서도 제한된 범위 내에서 국민의 정보공개청구권을 보장 ... 할 수 있는 권리를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의 하나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정보공개의 원칙은 정보공개를 국가행위의 이념이며, 근거로써 인정하고 헌법적 국가기관의 행위에 관한 정보 ... 적인 정보공개청구권을 인정하는 독립법률이나 제도를 통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행정기관의 광범위한 재량에 위임되어 행해지고 있다. 다만, 헌법조문 전체의 흐름과 정신에 기초하여 비록
을 두지 아니한 법제6조는 헌법의 재산권보장, 정당보상원칙 등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면서 1997. 4. 1.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따라 이 사건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나 ... ,41535판결(공1993하,2283)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1999. 10. 21. 97헌바26 〔헌법불합치〕【도시계획법 제6조 위헌소원】 .... [판례집 11-2, 383~432]【판시 ... 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2) 憲法的 根據1 直接的 根據 : 헌법 제23조 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
에는 예비금이란 항목이 있다. 예비금은 예측할 수 없는 지출에 충당하기 위하여 국회법(제23조), 법원조직법(제 82조), 헌법재판소법(제 11조)의 근거 규정에 의해 예산항목에 계상 ... 국회계 예비비를 전입받아 이를 세입으로 하여 그 특별회계의 세출로 사용할 수 있다(예산회계법 제 39조 제 4항).예비비와는 별도로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의 소관별 지출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