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처럼 우리말의 고유미를 발견하고 이를 대담하게 활용한 작가도 드물다. 이 때문에 그의 문학적 효과는 말 할 것도 없고, 독자로 하여금 친근감을 갖게 했는데 김만중이 송강의 무학을 높이 ... 에 대한 작가론 및 작품론적 고찰은 수많은 논고가 있었다. 그의 문학에 대한 소개는 1936년 이병기의 (진단학보권 4∼7)가 처음이다. 그러나 한시에 대한 연구사적 선행 논고
1. 면앙정가(免仰亭歌)작품 정리연대 중종 19년(1524년)작가 송순(松荀)형식 양반 가사. 서정가사. 은일(隱逸) 가사형태 4음보(3.4 또는 4.4 조)구성 3단 구성(서사 ... 성{서사(序詞)제월봉과 면앙정의 형세본사(本詞)1면앙정에서의 조망(眺望)본사(本詞)2면앙정의 사시 가경(四時佳景)결사(結詞)임금의 은혜에 감사이해와 감상면앙정가는 작가 자신의 은일 ... 생활을 노래한 것으로 자연에서 얻어지는 흥취를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노래하고 있다.이 작품은 작가가 늦게까지 벼슬을 하다가 만년에 귀향하여 향리(鄕里)인 전남 담양의 제월봉
을 뜻한 조짐이기도 하다. 따라서 보다 대중적인 등 노래책의 편찬이 일반화되었다.그러나 한문학에 심취된 사조는 순수한 국문학적 기풍을 곤두세울 뛰어난 작가가 나타나지 않아 창작 ... 보다도 취미생활에 지나지 못했다. 따라서 윤선도의 가 새로운 가도를 닦아 그 방면의 백미를 차지했고, 김만중의 소설이 두드러졌을 따름이다.그러자 문학이 점차 언문일치 로 기울어, 주제
의 지식인이며 자유분방한 사상가였던 김만중(1637-1692)에게로 계승되었다. 이 두 인물의 과 은 모두 17세기에 창작된 소설들이다. 따라서 17세기는 국문소설의 발흥기라고 말 ... 을 쓴 진보적 작가이며 시인이다. 허균의 자는 단보, 호는 교산 또는 성소이며 별호는 일월거사이다. 그는 1569년 서울의 이름난 양반문인가정에서 태어났다. 허균은 12세에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