였다. 학맥적으로는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낙향했던 온건개혁파와 세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며 절의를 지켰던 생육신 계통과 닿아 있었다.이들이 제기한 주장들은 크게 보아 정주학적 가치관과 정치 ... 서인은 1680년(숙종 6) 경신환국으로 남인을 몰아내고 재집권하자 노론과 소론으로 분립하게 되었다.이처럼 선조대 이후의 정국은 각 붕단간의 대립을 축으로 하여 전개
)의 아들로 태어나, 바야흐로 도시적 환경이 싹트던 서울과 고향을 오가며 생활하였다. 그는 노론 계열의 가문에 속했고, 12세부터 당시 락학(洛學)의 종장(宗長)이자 자신의 당고모부인 ... )·영천군수(榮川郡守) 등의 관직을 지냈다. 그는 이러한 가계(家系)와 학맥(學脈)·경험(經驗)을 바탕으로, 북학파의 실학사상을 특히 철학이론적 측면에서 대변하는 인물이 되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