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서해안을 통한 중국과의 교류로 중국 문물에 익숙.-도당유학생·선승들 역시 중국 문물을 이해하고 있었음.-특히 나말여초의 선종 전래와 확대, 그리고 그에 따른 좌선 수행 과정에서 심신 ... 변화.-자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자기를 제작할 줄 아는 사람의 출현, 그리고 자토·유약·가마시설 등의 제반 조건이 마련되어야 했음.-고려의 새로운 지배세력(6두품과 지방호족 ... 에 의해 다스려진 13세기 후반은 격동기-무신정권 붕괴, 삼별초의 항전, 원의 간섭하에 들어감.-원의 도자의 영향을 받기 시작함.-분청자기에 자리를 넘겨줌.2. 고려청자의 종류와 특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