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려내자리?보니 들어와 자리를 보니脚烏伊四是良羅 가?리네히로섀라 다리게 넷이고나二?隱吾下於叱古 (아으) 둘흔내해어니와 둘은 내해엇고二?隱誰支下焉古 둘흔뉘해어니오 둘은 뉘해인고本矣吾下 ... ), 루리(累利)온조 : 온조(溫祚), 은조(恩祖)[지명]신라 : 신라(新羅), 기라(期羅), 기로(期盧), 서벌(徐伐), 서나벌(徐那伐), 서라벌(徐羅伐)가야 : 가야(伽倻 ... Ⅰ. 서론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우리말에 대해 알고자 한다면 우리말이 기록되어 있는 문헌자료에 의존해야 한다. 그런데 과거의 우리말을 글자의 기록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
, 則苟爲同 心, 何必富貴然後可共乎? 乃賣金釧, 買得田宅 奴婢 牛馬 器物, 資用完具. 初, 買馬, 公主語溫 達曰: 愼勿買市人馬, 須擇國馬病瘦而見放者, 而後換之. 溫達如其言. 公主養飼甚 ... .공주가 나와 걸어서 산 아래에 이르러 온달이 느릅나무 껍질을 지고 오는 것을 보고 더불어 품은 것들을 말하니, 온달이 성을 내며 이는 어린 여자의 행동할 바가 아니다. 반드시 사람 ... 이 아니라 여우, 귀신일 것이다. 내 곁으로 오지 말라! 하며 돌아보지도 않고 갔다.·公主獨歸, 宿柴門下, 明朝更入, 與母子備言之. 溫達依違{) 依違 : 태도가 분명치 않음,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