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시리/만전춘별사(만전춘)/사모곡/쌍화점/서경별곡/이상곡/정석가/청산별곡시용향악보 : 상저가/유구곡위에 열거한 작품들 외에도 악지, 악고, 악공취재조, 목록, , 등 ... )'을 다룬 노래가 많다.* 자연으로부터의 소외와 한탄이 주조를 이룬 가운데 궁극적으로는 영원성과 초월을 추구한다.{) 김열규, 「서정적 맥락 속의 정월요」,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 ▶ 고려속요의 전반적 특징1. 고려속요의 개요고려시대에 불려졌던 노래는 크게 고려 초 균여대사(均如大師)의 사뇌가와 , 등 향가계 노래, 을 비롯한 경기체가, , 등의 속요
이전 시대의 많은 예술 작품이 사라졌고, 당시 사람들의 예술적 의지와 상상력도 억제되었다. 과거에 쓰여졌던 향가, 고려가요 중 지금에 와서는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을 만한 작품 ... 된 예술 작품을 폐기했고 그러한 예술 사조들을 박해했다. 또한 요즘에 들어서는 돈과 권력의 탐욕이 예술 작품과 전체 예술의 자율성을 파괴하고 있다. 이렇게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논의 ... 에 어긋나는 문학작품이나 그림, 노래 등은 금지되고 불태워졌다. 이교도적인 예술품들은 그 가치를 무시당하고 없애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종교와 예술의 갈등은 서양에서만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