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受け身形?を取られる - 다른 데에 정신을 뺏기다使役的他動形口をとがらせる - 입을 삐죽 내밀다, 토라지다否定形目もくれない - 거들떠보지도 않다「~た」形水を打ったヨウ - 물을 끼얹 ... 형 전용 쪽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이 점에서도 관용구의 固定度는 높다고 말할 수 있다.(2) 形容詞慣用句형용사 관용구는 따로 게재한 「常用慣用句」의 8%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명사
는 依存 名詞나 接續 副詞들은 띄어 쓴다.(가) '겸(兼)'은 한문 구조에서는 뒤의 '과장'을 目的語로 취하는 他動詞로 說明되는 것이지만, 국어에서는 管形語의 修飾을 받는 構造 ... 로도 使用되므로, 依存 名詞로 다루어지고 있다.· 국장 겸 과장· 장관 겸 부총리· 친구도 만날 겸 구경도 할 겸(나) 한문 구조에서는 '대(對)'가 뒤의 단어를 목적어로 취하는 他動詞
움직씨라고도 함.a : 본래부터 자동사인 것 (앉다, 눕다, 서다, 돌다, 남다...)b : 타동사가 자동사된 것 (보이다, 먹히다, 쫓기다, 들리다...)② 타동사(他動詞 ... 고 즐겁게 놀았다.5)동사동사는 사물의 움직임을 과정적으로 표시하는 품사이다. 동사에는 자동사, 타동사, 능격동사가 있다.① 자동사(自動詞) : 움직임이 주어에 미치는 동사를 뜻하며 제 ... 다...②지시형용사(指示形容詞) : 화자와 청자를 축으로 하여 성상형용사로 표현된 주체의 성질 이나 상태를 대용하는 성질을 가지는 형용사.a. 근칭, 중칭, 원칭의 의미예)이러하다, 그러
) 無形名(무형명)第三章 代名詞(대명사)人代名(인대명) 疑問代名(의문대명) 指示代名(지시대명)第四章 動詞(동사)自動(자동) 他動(타동) 同動(동동) 助動(조동)第五章 形容詞(형용사 ... )分別(분별) 層複(층복)第七章 接續詞(접속사)第八章 轉詞(전사)轉折(전절) 設想(설상) 反一筆(반일필) 進層(진층)第九章 歎詞(탄사)第十章 止詞(지사)頓讀(돈독) 斷定(단정 ... 을 상세한 예시 없이도 이해할 수 있다.동사는 모든 사물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 뒤 自動(자동) 他動(타동) 同動(동동) 助動(조동) 네 종류와 雙平(쌍평), 重疊(중첩
는 덕이 있다.)今上嶽陽樓(오늘 악양루에 오르다.)(2) 타동사(他動詞) :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仁者樂山(인자는 산을 좋아 한다.)投金於水(물에 금을 던지다.)2. 형용사(形容詞)(1 ... 를 원망하며 누구를 탓할 것인가.)3 동사(動詞)·형용사(形容詞)1. 동사(動詞)(1) 자동사(自動詞) :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동사月出(달이 뜨다.)鳥嗚(새가 울다.)君子有德(군자 ... 漁(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다.)山高水長(산은 높고 강은 길다.)良樂苦口利於病(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는 이롭다.)4 보조사(補助詞) : 서술어(동사, 형용사)에 의미를 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