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으로 동원하여 동양의 갖가지 문물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 작업을 진행해왔는데, 그와 병행하여 수많은 소설가, 시인, 예술가 등 역시 동양에 대한 일종의 집단적 열병에 걸렸던 것이 ... 와 유불선의 전통사상으로부터 합리성의 동양적 원리들을 추출하여 동학을 성립시켰다. 동학은 평민 대중들을 지향한 종교사상의 형태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조선 민중들의 삶에 혁명적 변화 ... 처방을 제시하려 하였는데, 그 처방은 기성의 왕조 체제와 전통적 사고방식을 뛰어넘는 근대성과 합리성에의 지향을 드러내고 있으며 동학이 제시하고 있는 근대성의 이미지는 서구적 합리
된다고 본다. 조선조 문학에 있어서 시조작가는 윤고산, 가사작가는 정송강, 소설작가는 김만중이 이에 해당된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특히 한국 소설사에 있어서 조선조 초기에 최초로 소설 ... 을 쓴 김시습의 에 이어 임병양란을 계기로 군 담류소설과 이 나왔다지만 조선조 중기 숙종 조에 이르러 비로소 국제적인 차원에서 논의될 만한 대작 이 김만중에 의해 창작되었다는 것은 획 ... 의 무궁무진한 가치평가와 그 선양을 위하고, 서포 김만중의 문화적 실상과 위상, 그리고 고전소설의 전체적 진가를 올바로 발양하기 위해서, 상호 균형적이고 유기적인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다.
들에게 잘 전달해서가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의 예술가의 삶을 감동과 재미를 더해 표현해냈기 때문이다.『조선왕조실록』에 근거한 왕실 인물들의 사랑과 암투 이야기에 질린 시청자들은, 드라마 ... 역사를 소재로 한 문화 콘텐츠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리진(신경숙,2007)』이나 『미실(김별아,2005)』처럼 엄청난 판매고를 올리는 역사 소재 소설들이 점점 ... 하며, 대중들은 지나간 과거를 팩션을 통해 열린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위의 책, p.78이 논문에서는, 후자의 견해를 받아들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