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절대적 무효사유는 침해를 받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다른 당사자도 조약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으며, 문제의 조약은 언제나 조약 전체가 무효로 되며, 피해국가의 사후의 명시적 동의 ... 또는 묵인으로 무효가 유효로 전환되지 않는다. 1국가대표에 대한 강박, 2국가에 대한 강박, 3강행규범위반은 절대적 무효사유에 해당한다.(2) 상대적 무효사유상대적 무효사유는 침해 ... 다. 판례는 사정변경의 원칙을 인정하나, 법적 안정성을 중시한 나머지 너무 엄격한 기준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2 요건ⅰ) 사정의 변화가 있을 것ⅱ) 근본적 변화일 것ⅲ
이 있다.(2) 채권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상대권이다.(3) 무체재산권(지적재산권)1 저작ㆍ발명 등의 정신적 창조물을 독점 ... 한 침해는 불법행위를 구성하고( 750), 지배권에는 지배상태에 대한 방해를 제거할 수 있는 효력이 있다.2. 청구권1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 즉, 작위 또는 부 ... 이 원칙의 구체적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개개의 판례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신의성실의 원칙은 당사자가 이를 원용하지 않더라도 법원이 이를 직권으로 판단할 수 있다(대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