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수 있다. 피고인의 방어권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1)防禦準備를 위한 權利현행 형사소송법은 공소장의 기재내용을 특정하고(제254조), 공소장변경에도 일정한 절차를 요하 ... 에 정한 법관에 의해 재판받을 권리를 가진다(헌법제27조1항). 형사소송법은 피고인의 지역관할위반의 신청권(제320조), 관할이전신청권(제15조), 관련사건의 병합심리신청권(제6조 ... 선임권(제30조)과 변호인선임의뢰권(제90조),접견교통권(제34조,제89조),국선변호인선정청구권(헌법제12조4항단서, 형소법 제33조5호), 중대한 사건의 경우 국선변호인의 조력
에 의하여야 한다(형사소송법제254조 1항)는 서면주의가 채용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본적으로 표시설이 타당하다. 그러나 공소제기는 검사의 의사표시이므로 누구를 피고인으로 하 ... 지 아니한 경우에는 외형상 피모용자 명의로 공소가 제기된 것으로 되어 있어 공소제기의 방식이 형사소송법제254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효라 할 것이므로 법원은 공소기각의 판결을 선고 ... 하는 것이 아니므로 형사소송법 제298조에 따른 공소장변경의 절차를 밟을 필요가 없고 법원의 허가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대판 1993. 1. 19. 선고 92도 2554).(2) 검사
254조 4항), 公訴狀變更節次를 반드시 경유하게 하여, 심판의 대상을 확정하도록 하고 있다.(2) 公訴狀一本主義형사소송법 제118조 2항에서 "공소장에는 법원에 예단이 생기게 할 수 ... 적 요소를 여전히 많이 유지하고 있다.(折衷的, 混血的 構造)2. 刑事訴訟法의 當事者主義的 要素(1) 審判範圍의 確定형사소송법은 公訴狀에 공소사실을 특정하여 기재하도록 하고(제 ... 여 법원이 절차를 개시하는 주의이다. 탄핵주의는 소추기관의종류에 따라서, 國家訴追主義, 被害者訴追主義, 公衆訴追主義로 나눌수 있다. 형사소송법은國家訴追主義에 의한 탄핵주의 소송구조
적 갖는 조서(민사소송법 제206조)가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면일 때에는, 그 판결서나 조서에 검인을 받아야 한다(동법 제3조 제2항)., 일정기간내에 중간취득자 앞으로의 이전등기 ... 법률에서 무효하고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같은 법이 적용되는 한도에서는 다툼의 여지가 할 것이다(동법 제4조).Ⅲ. 中間省略登記의 有效性1. 判例판례에 따르면 중간생략등기 ... 를 의무로서 강제하며, 이 의무를 위반한 때에는 엄벌에 처하고 있다(동법 제2조 제8조).(2) 問題點중간생략등기와 관련된 문제는 이미 이루어진 중간생략등기를 유효한 것으로 볼 것
)2.필요적 공동소송인의 추가(63조의 2 3항)3.무권대리인이 한 소송행위를추인 ; 법정대리인,임의대리인똑같다4.이송의 효과(36조1항)5.소취하시(240조)항소취하6.상소취하 ... 형소법.민소법 비교 대조표(수정판)-글동네제공{형사소송법민사소송법목적배분적 정의 실현평균적 정의 실현이념실체적 진실주의적법 절차,신속한 재판당사자처분권주의(×)적정,공평신속,경제 ... 에 관여→하급심의 종국판결+중간판결등중간적판결↔(아닌 것)1.최종변론 전의 변론,증거조사(수탁판사로서),준비 절차에만 관여선고에만 관여2.다른 법원의 촉탁에 의하여전심에 관여(37조5항
적것으로 하고(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제3조,제4조){1) 그리고 집행력있는 판결서 또는 판결과 같은 효력을 갖는 조서(민사소송법 제206조)가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면일 때에는, 그 ... 판결서나 조서에 검인을 받아야 한다(동법 제3조 제2항)., 일정기간내에 중간취득자 앞으로의 이전등기를 의무로서 강제하며, 이 의무를 위반한 때에는 엄벌에 처하고 있다(동법 제2조 ... 제8조).(2) 問題點중간생략등기와 관련된 문제는 이미 이루어진 중간생략등기를 유효한 것으로 볼 것인지 하는 점과 최종매수인이 최초매도인에게 이전등기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가 하
소급 입법’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나, 우리 형사소송법은 공소시효가 완성된 경우 ‘무죄판결’이 아니라 ‘면소판결’(법 제325조)을 하도록 규 정하고 있기에 ‘실체법설’로만 공소 ... 다”고 규정하여 히틀러가 집권한 때부터 연합의 점령통치가 확립된 기간까지 시효에 관한 독일 국내법의 적용을 배제하였다(동법 제2조제5항) 그러나 이 경우는 공소시효의 완전배제가 아니 ... (형소법 제254조), 소년보호사건의 심판개시결정이 있는 경우 시효정지(소년법 제47조) 등 우리의 경우와 똑같다다만 일본은 재정신청에 의한 시효정지제도를 두지 않고 있다.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