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이식문학론=타율사관에 입각한 친일의 논리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이식문학론에 대해 객관적인 의미를 추구하는데 적지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p.182) 말하며, 이식문학 ... 밖에 없었음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를 임화는 '불행') 임화, 위의 책, 같은 쪽이라고까지 표현하며 안타까워한다.) 김윤식은 (『김윤식 선집①-문학사상사』, 솔, 1996, p ... 임화는 『조선신문학사론서설』, (1935), 『개설조선신문학사』(1939-40) 그리고 『신문학사의 방법론』(1940)등을 쓴 바 있을 정도로 문학사에 대해 관심이 많
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둘째, 대동아 공영권의 논리와 관련하여 전쟁의 정당성을 강변하고 청년들에게 국가와 천황을 위해 죽음을 불사할 것을 강요하는 작품도 매우 많다. 『친일문학선집 ... 적으로 극심해 지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대부분의 문인들, 특히 문학활동의 중심을 이루던 문인들은 친일의 성향을 띠기 시작했고, 원했든 원치 않았든 간에 '친일문학'이라는 한 ... 을 논하면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비록 전체적인 문학의 양상이 친일적인 색채가 강했다 하더라도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일제의 탄압과 억압이 우리민족의 내면세계에 미쳤을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