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⑤ 공모공동정범개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후의 조종자를 처벌할 수 있는 이론이 있다.2. 다음 중 未遂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原因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의 실행착수 ... 설명 중 틀린 것은?① 공법론은 넓게 보면 구성요건이론의 일부이다.② 이익설에 따르면 교사자도 자기의 이익을 위해 교사한 이상 정범으로 된다.③ Roxin에 따르면 自手犯의 정범 ... 를 범할 때 타인속에 국가기관은 포함되지 않는다.③ 행위공동설에서는 과실범의 공동정범도 인정한다.④ 승계적 공동정범일지라도 가담한 이후의 행위에 대해서만 책임을 진다고 보아야 한다
에게 고의나 과실의 존재가 필요치 않다고 보는 견해로서 업무주가 직접 위반행위를 하거나 배후에서 조종 내지 방조하는 경우가 많고 업무주도 정범 또는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 그러나 ...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의무주체의 처벌 근거에 대하여 일반적인 검토를 한 후 형법상 책임원칙에 입각하여 대상판결과 결정을 비판하고 분석하고자 한다.Ⅱ. 양벌규정에 의한 업무주처벌 ... 에 대한 이론적 고찰1.양벌규정의 의의 및 문제점오늘날 양벌규정을 통해 법인의 대표자를 포함한 업무주에게 자신의 행위가 아닌 종업원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은 분업의 발달로 인하
< 책임의 일반이론 >>I. 서설1. 책임의 의의책임이란 규범이 요구하는 합법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행동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을 결의하고 위법하게 행위하였다는 데 대하 ... 여, 구체적인 행위와 그 배후에 잠재되어 있는 행위자의 인격에 책임의 근거가 있다는 견해이다.5. 결론형사책임에 있어서 자유의사는 소질과 환경에 의한 충동을 억제하고 사회윤리적 규범 ... 될 경우에 명령자인 상관은 특수간접정범이 된다. 위법한 명령에 구속력이 없는 경우에는 부하의 행위는 범죄가 되고, 명령자인 상관은 그에 대한 특수교사?방조의 책임을 져야 한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