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희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산업디자인과 시각디자인전공■ 통사론/구문론(syntactics)사전적 의미로 본다면 통사론(syntaxe)은 '배열' 혹은 '정돈'의 뜻을 지니고 있 ... 지만, 현재까지 언급되고 있는 기호학적 차원에서의 '통사'는 완성 단계라기 보다는 계속적으로 연구발전의 과정에 놓여 있다고 말해야 정확할 것이다. 디자인과 회화의 영역 그리고 조형 ... 다.지금껏 통사론이란 분야는 통례적으로 문장을 구성하고 연구하는 언어학 계통만의 전유물로 여겨온 것이 사실이다. 수많은 언어학자와 철학자에 의해 문법적으로 발전체계를 거듭하고는 있
의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능력-철자법, 문법 및 수치 계산 능력-물체의 파손 여부를 간파하는 능력-실기(가정, 상업, 국어, 수학의 성적 수준)(5)공간 지각-미술, 기하, 제도 등 ... 한 차이점을 발견하는 능력-미술, 과학, 제도의 성적 수준 -미술 분야의 소질 정도-의상, 가구, 완구 모형의 디자인에 몰두하는 정도(7)운동 조절력-농구, 수영, 축구, 야구 ... 과 적경비원계산 능력, 언어 능력,기억력, 사무 지각(8)응용미술직-도안 및 관련직-미술적 배열직-대인 봉사직산업 디자이너, 복장 디자이너, 무대 장치가, 미용사, 이용사공간 지각
에서 더욱 발달하여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분리로 이어져 그러한 편견을 야기하였다. 이렇게 둘로 나누어진 까닭에 응용미술, 산업미술, 실용미술의 미적 중요성이 거의 무시 ... 제도를 여학교에도 새로이 도입하여 활용하였다. 이런 시도의 예로는 지리의 지형을 익히기 위한 지도의 활용, 칠판의 사용 등이 있었으며, 교사가 그림과 문법, 작문 학습에도 모니터 ... 던 사람'과학적' 접근과 더불어 미술을 직접 지도하였으며, 푸월처럼 그도 미술이 단지 장식적이기보다는 유용해야 한다는 견해를 지지하였다. 그래서 미니피에 의해 미술은 산업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