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제공한 무기로 무장하였다.1921년 만주에 설치된 친일 단체 보민회(保民會)를 토벌하여 해체시켰으며, 일본 거류민회를 습격하여 1922년까지 유하현ㆍ해룡현 등의 친일 기관들을 완전 ... 한 다음해부터 2년간 지속된 대흉작과 지방색에 의한 윤치국(尹致國) 학생 피살 사건, 마적에 의한 중견간부 윤기섭 등 납치 사건 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실망한 이시영은 봉천으로, 이다.
?반국민당의 쏘비에뜨혁명으로 이끄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만주성위로서는 일본군에게 전면 점령되어 장군?장교?마적이나 농민이 자연발생적인 항일저항전을 전개하고 있는 상황 ... 이를 토벌하고자 김인욱 소좌의 지휘하에 함흥의 74연대를 출동시켰다. 이 부대는 항일연군이 장백산 간삼봉으로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간삼봉으로 이동하였으나 매복 공격을 당해 김.
당 및 3부 통합운동6(3)조선혁명군 및 한국독립군의 활동73 일본제국주의의 독립운동 탄압(1). 간도파출소와 재만 일본 영사관8(2) 마적과 일본육군의 간도출병9(3) 친일기관조직 ... 휘하의 북로군정서 독립군과 홍범도장군의 부대원 3,000여명은 독립군을 토벌하기 위해서 편성된 일본군 동지대 5,000여명과의 전투에서 3,000여명을 살상(일본측 자료 812명
토벌에 미온적 태도→ 일본은 이런 중국의 태도를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독립군 탄압 위해 계획을 세우 고 첫 단계로 '혼춘사건' 조작.→ 중국 마적을 매수하여 1920년 10월 혼춘 ... 를 이동하기로 결정. 1920년 10월 독립군단은 백두산으로 향하는 길목인 화 룡현으로 집결하는, 첩보로 파악한 일본군이 토벌에 나섬.→ 김좌진 부대의 백운평 전투에서 시작되어 청산리
겨울 눈보라가 몰아치는 백두산 밀림 속에서 항일유격대와 일제 토벌대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다. 이날 승리를 거둔 김대장은 공작원 '철호'를 조선으로 파병한다(1장). 한편 조선땅 ... 는 용감무쌍하면서도 정이 깊고 포용력 있는 유능한 지도자이다. 굶주림에 시달리던 유격대원이 마을에서 소를 끌고 오자 "동무들!/우리 빨찌산들이 어느때부터 마적이 되었는가?/어느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