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김인존의 해동비록 은 구체적인 내용은 알수 없으나 당시까지의 비정통적 자료나 전승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후기의 동명왕편 이나 삼국유사 는 삼국사기의 반론이었다. 그러나 조선조 ... 설화의 보고라 일컬을 만하다. 그밖에 고려 전기에 박인량의 설화집 이 있었다고 하나 실전 되었고, 그 일문 10편이 , , , 등에서 보인다.2) 역사(歷史); 첫번째 의미 ... 이라는 이야기를 하지 않아, 마치 강감찬이 민간에서 태어난 영웅인 것처럼 묘사하고 있다. 큰 병이 덜어졌다는 대목은 적강 소설의 고정 모티프가 되는 것으로, 고려 설화에서는 찾
하고, 고전서사시는 다시 문헌서사시와 구비서사시로, 문헌서사시는 다시 한문서사시(동명왕편, 제왕운기)와 국문서사시(용비어천가)로, 구비서사시는 다시 판소리, 서사무가, 서사민요로 나눌 수 ... 으로 밀려났던 농악대 잡색놀이의 유형을 모티프를 기준으로 하여 양성놀음형, 군사놀음형, 양성투전놀음형, 양성군사놀음형, 투전군사놀음형 등 다섯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잡색
원형 : 조상 때부터 인류에게 끊임없이 반복하여 체험된 원초적인 경험들이 인간정신의 구조적 요소로 교착되어 일반화된 인간의 기본적 상징(이미지와 모티프)으로써 작품에서의 보편적인 ... 와 결합된다.-피는 처녀성의 상실, 여성의 월경과 관련되어 한편에선 금기로, 다른 한편에선 탄생을 암 시한다.-자연적 논리에 따르면 무서운 형벌을 의미한다.-피는 죽음, 탄생 ... 력서 에 대한 검토는 유익한 일이 될 것이다.「시조 동명성제의 성은 고씨요, 이름은 주몽이다. 이보다 전에 북부여왕 해루부가 아미 동부여로 피해 갔으며, 후에 부루가 세상을 떠나
과 의미, 한국학논집13, 계명대, 1986.천혜숙은 박혁거세, 동명왕 등의 신화와 비교, 고찰하여 아기장수 전설이 건국영웅담에 대한 버려진 영웅담임을 상술했고, {) 천혜숙, 위 ... 장수 설화이다. 아기장수 설화는 피지배계층이 지배 지배계층에 대해서 느끼는 갈등을 부모가 자식을 죽이는 모티프(motif)로 형상화 한 것으로 알려진 구비문학이다. 아기장수전설 ... 을 두려워하고, 결국 아이를 죽이기로 한다. 그리하여 아기장수는 맷돌에 눌려 죽고 어디에선가 용마가 나타나 울다 사라진다. 라는 내용이 아기장수 설화의 기본 스토리로서 전국에 300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