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이른다. 계곡의 윗쪽에 경사면을 깎아 수개의 단을 쌓은 좁은 대지에 위치하며 관음전과 요사채 1동, 화장실 1동이 있다.깬 돌을 허튼층으로 쌓은 기단위에 커다란 덤벙주춧돌을 놓 ... 사이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규모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지붕 기와집이다. 기본구조는 낮은 석조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배흘림으로 처리한 원기둥을 세웠다. 구조 ... 는 보물 1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부도는 태능이 입적한 1649년께 조성된 것으로 높이 1.58m의 전형적인 조선시대 화강암 석종형 부도이다. 몸돌은 범종과 같이 아래 위
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받아 지면에 전달시키는 기초석재 - 주춧돌초석은 막돌을 그대로 이용한 초석을 덤벙주초(막돌초석)로 되어있다. 초석의 상면이 울퉁불퉁해서 그랭이질(기둥 ... 을 말한다. 의인정사의 기단은 막돌 허튼층 쌓기로 되어있다.막돌 허튼층 쌓기 : 다듬지 않은 돌로 줄을 맞추지않고 기단을 쌓는 방법2. 초석(礎石) : 기단 위에 놓아 기둥을 받치 ... 이 놓일 자리의 초석 표면의 굴곡과 똑같이 기둥뿌리를 다듬는 일)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모양은 다듬지 않은 돌을 썼기 때문에 여러형태의 돌이 쓰였다.3.기둥(柱) : 상부
으며 일반적으로 격이 낮은 건물 에 주로 사용되었다. 외곽의 단에 따라 1단이면 외벌대, 2단이면 두벌대 등으로 불린다.6. 주춧돌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받아 기단부와 지반으로 전달 ... 하는 기초석재로 주춧돌이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 초석의 발생은 선사시대 수혈주거지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초석은 판축을 한 후 작은 돌들을 견고하게 마련하여 올리는데 초석 상면 ... 1. 지붕의 유형지붕은 건물의 제일 위에 설치하여 구조물을 가리고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지역과 기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우리 나라 지붕은 기와·이엉·돌·나무껍질 등
로 구성되는 기지나 기단에는 단층인 것과 상,하중층인 것의 두 가지가 있다.65. 덤벙주초(-柱礎)둥글넓적한 자연석을 다듬지 아니하고 놓은 주춧돌.66. 도리(桁, 梶)기둥과 기둥 ... .37. 기둥(柱)건축물의 간살을 표준하여 주춧돌 위에 세워서 보, 도리 등을 받치는 나무.기둥은 흔히 둥근 기둥이나 모기둥이 쓰이는데, 절의 건물에는 대부분圓柱가 쓰인다. 또한 기둥 ... 며, 토벽선 등과 접합하는 몸체이다.40. 기둥뿌리(柱脚)기둥이 주춧돌에 닿는 밑부분.41. 기와(蓋瓦, 디세)지붕을 이어 빗물이 흐르게 만든 제품인데, 차진 흙이나 시멘트를 구워 만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