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종?이문구?방영웅?신상웅?남정현 - 첫 출발의 계기(새로운 세대)③김정한 - 서민층의 편에 서서 비인간적인 현실상황에 대한 강렬한 저항 표출④남정현 - 현실비판문학의 최정점 ... , 「분지」⑤홍성원 - 군대생활을 기반으로 이데올로기에 접근, 「빙점지대」「D데이의 병촌」3.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한 접근①도시소시민의 삶과의 관련성* 이호철 - 「소시민」* 전광용
과 참여문학의 도정-김우종, 안남일5. 다중(多重)성의 문학-서기원, 정호웅6. 험로를 가로지른 문학의 도정-남정현, 강진호7. 4.19 세대의 문학이 걸어온 길-김병익, 김동식8 ... 고 965년 「분지」발표 직후 북한의 잡지에 전재되고, 그것이 빌미가 되어 빨갱이로 몰리게 되었다. 이것 역시 「분지」를 쓰게 한 배후 세력은 어디까지나 우리 '현실'이었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