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개인의 대응----------------------------------------《박하사탕》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차 례 -1. 서론2. 파괴의 원인 : 살상의 경험, 광주의 트라우마3. 파괴의 과정 : 무의식적 죄의식과 자기 징벌의 욕망4...
이 희곡은 총 3막 7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집안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할아버지는 동학, 아들은 3.1운동, 손자는 사회주의라는 시류에 휩쓸리면서 겪게 되는 가족의 이야기다. 이러한 이야기의 전개는 할머니가 외손자에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전개된..
연극사나 세계희곡사 또는 동양연극사나 동양희곡사의 맥락에서 우리의 고전연극이나 고전희곡에 접근하는 시야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고전희곡론이나 고전희곡사가 현대희곡론이나 현대희곡사 ... 해야 하는 현재까지도 현대극 분야에서 유민영의 『한국현대희곡사』(홍성사, 1982)와 서연호의 『한국근대희곡사』(고려대학교출판부, 1994)가 나온 데 반해서 『고전희곡사 ... 』나 『고전희곡론』이 전무한 실정이다.따라서 근?현대희곡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고전희곡의 개념을 정립하여,) 고전극 연구가 민속극 연구의 차원을 넘어서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