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사(원효) 저술의 차제관계원효는 수많은 저술을 하였지만 그 저술의 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판비량론 하나 뿐이다. 원효의 저술의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찬술이 되 ... 기까 원효철학의 성격을 가장 잘 말해주는 연구저작으로는 「대승기신론소」를 들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대승기신론」는「금강경」「원각경」「능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의 근본경전인 사교과 ... 등 모든 면에서 불교문학사상 최대 걸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대승기신론」은 당시 인도에서 대립하고 있던 중관파와 유가파(유식파)의 양대 불교사상을 지향, 화합시켜「진과 속
사기(15) 보살계본지범요기(16) 영락본업경소(17) 중변분별론소(18) 해심밀경소서문(19) 판비량론(20) 증성가(21) 십문화쟁론2.일체무애 사상, 귀일심원 사상1)일체무애 ... 에 따라 인간사 만 가지가 얽힌 상태로 전개된 것을 본질적인 면에서 명쾌하게 해명한 경이다.(20)판비량론인명(因明)과 비량(比量)의 형식을 통하여 유식(唯識)의 교리를 판단한 저술 ... ①척판구중설화②금강삼매경소찬술연기설화③원효의 이적에 관한 설화④낙산2대성설화⑤사복불언설화-원효의 사상-1.원효의 저술1)저술과 현존(0) 금강삼매경론(1) 대승기신론소(2) 대승기신론별기(3) 이장의(4) 발심수행장
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는 유식의 심식설에 의하여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현실심의 분석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이 논리학인데 이에 대한 관심이 인명론·판비량론 ... 으로 가는 단계를 밝히고 있는 데서 매우 타당한 견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원효의 이러한 해석은 〈대승기신론〉 출현의 시기에 인도 불교사상계에서 중관파와 유가파가 서로 첨예 ... 하게 대립되고 있었던 사실에도 부응한다. 원효를 거의 그대로 답습한 법장은 이 점에 있어서는 견해를 달리하여 〈대승기신론〉을 여래장연기종(如來藏緣起宗)이라 판석했다. 원래 여래장사상
시킨 이유는 그 배경이 전혀 법상종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의 배경은 원효가 판비량론(判批量論)에서 전개한 이론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7 식과 8 식을 묶 ... 하면 ‘화쟁적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현장이 인도에서 신유식을 연구하고 돌아와서 재래의 진체 계통의 구유식을 비판했다. 현장은 유식사상과 나란히 대승불교철학의 양대 조류 ... 에 접근하여 법화경과 열반경 그리고 화엄경과 반야경 등의 사상을 합리적으로 유식사상과 조화하여 원측만의 일승적인 유식관을 정립하기에 이르렀다. 육족론(六足論)과 구사론(俱舍論) 등 모것이다.
는 스스로 소성거사(小性居士)라 칭하며 민중교화에 힘씀.?671행명사(行名寺)에서 [판비량론(判比量論)]을 저술함.여러 경전의 주석서를 쓰는 과정에서 오어사(吾魚寺) 혜공(惠空 ... 심한 병을 앓고 있는 왕비를 위해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였으며, 이를 황룡사에서 강의함. 강의가 끝난 뒤 "옛날 서까래 백개를 가려낼 때에는 비록 들지 못하였으나 이제 하나의 대
되었지만 그 대좌는 아직 이 절에 남아있다.원효는 문무왕 11년인 617년에는 行名寺에서 『判比量論』을 저술하였다. 이『판비량론』은 현재로서는 일부만 전해져 해석에 어려움이 있지만 원효 ... 을까 싶다.또한 원효는 문무왕대에 유명한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게 되는데 그 일화에 대해서는 『송고승전』에서 소상히 다루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大安에 관한 부분으로 용왕이 준
(韓泰東)박사(전 연세대 대 학원장)는 우리 문화가 세계사 속에서 세 차례의 극치(신라시대의 원효(元曉)의 판비량론(判比量論), 세종(世宗)의 훈민정음(訓民正音), 조선시대의 분청 ... 적으로 론 문양 자체가 면으로 구성된다.주문양과 종속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문양은 사실의 의미와 특성을 살리면서 대담하게 생략.변형하여 재구성한 것이고, 종속문은 이를 도식적으로 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