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찬드라. 영화에서 찬드라를 6년 동안 타향에서 떠돌아 다니게 한 아주머니, 경찰관, 정신병원의 의사와 간호사, 상담사들은 한사코 우리나라 사람인 줄 알았다고만 말하며 이에 대한 ... 책임을 회피하려고만 한다. 여기서 굳이 가장 잘 못한 사람을 뽑으라면 경찰관을 뽑고 싶다. 아니, 찬드라에게 정신병이라는 병을 안겨 준 1등 공신은 경찰이라고 생각한다. 경찰 ... 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정신병이라는 딱지가 정신병을 낳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야기 중간에 경찰서 바로 앞에 찬드라를 찾는다는 전단지가 붙은 걸 보여주는 부분이 있다. 거기
들과 간호사들은 한국어와 네팔어를 섞는 찬드라를 여전히 정신이상자로 취급한다. 이 영화는 거의 모든 시점이 찬드라의 시점으로 되어있고 정신병원의 의사, 간호사, 경찰 등이 실제인물 ... 의 외모가 우리나라 사람과 별반 다를 게 없어 식당 주인은 그녀를 경찰에 신고한다. 경찰은 한국어와 알 수 없는 언어를 더듬는 찬드라를 정신병자로 여기고 그녀를 정신병원에 데리 ... 고 간다. 정신병원에서 찬드라를 진찰해본 의사들도 그녀가 새로운 환경에 놀라 흥분한 것을 정신병으로 여기고 찬드라는 결국 6년 4개월 동안 정신병원에 수감된다. 정신병원 안에서도 의사
찬드라가 중얼거리는 말은 흡사 정신이상자의 말로 들리기도 했기 때문이다. 즉, 나도 그들과 별 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주변 친구들의 의견과도 일치했는데, 이로 인해 타인 ... 간호사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그녀가 한국 사람이라고, 정신이상자라고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자기의 생각과 다른 것을 받아들이고자하는 여지 ... 들을 괴롭히는 것은 자신의 신체적?정신적 장애보다 사회에 의한 사회적 장애인 경우가 더 많다. 장애인들은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느끼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그것을 다르다고 규정짓
나요?> 경찰, 의사, 간호사, 파키스탄사람, 네팔사람 등이 있습니다.5. 찬드라 구릉이 정신병원에서 부녀보호소로 옮겨지게 된 까닭은 어디에 있나요?> 정신병원측에서, 찬드라가 자신 ... 습니다. 간호사는 병원의 다른 환자가 찬드라를 선미야라고 부르고, 찬드라는 선미야가 아니다 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것을 본 간호사가 마치, 정신나간 한국사람이 횡설수설하는 걸로 알 ... 아 버렸습니다. 이 상황에서 간호사는, 찬드라를 선미야라는 사람으로마치, 정신나간 한국사람으로 확정지어버리고, 네팔사람인 찬드라씨를 한국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간호
소의 직원, 공장의 한국인 노동자등 인물간의 인터뷰 모습이 다큐멘터리와 자연스럽게 연결이 된다. 찬드라 의 시점으로 90% 이상 촬영된 이 영화는 정신병원 의사, 간호사, 경찰 ... 조차 하지않고, ‘정신박약행려자’라 하며 정신병원에 넣어버린다. 찬드라의 행색이 초라했다는 이유, 그리고 외모가 한국사람 의 모습과 닮았으나 네팔인 이라고 주장한다는 이유, 그리고 말 ... 한다. 나도 찬드라를 6년 4개월 동안 정신병자로 봤을 그 사람들 중에 한 명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니 영화를 보면서 그들을 비난했던 나의 모습이 부끄럽기도 하고 약간의 공포
번째 경찰서에서 행려병자로 오인받아 정신병원과 부녀보호소등을 오가며 6년 4개월을 보내야만 했던 외국인노동자 네팔인 찬드라의 실제 사건을 통하여 사회의 무지, 편견, 무관심 ... 당하는 뻐꾸기 알들이 모여 있는 ‘뻐꾸기 둥지’는 속어로 정신병원을 뜻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을 진정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 ‘젠틀맨’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간호사는 실제로 이 병원 ... 부모의 사랑이 아니라 범죄라고 생각이 든다. 다섯번째는 새롭고 참신하였다. 잘생긴사람이 인권의 침해를 받는다는 건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여섯번째 찬드라 사건은 실제로 들
년 4개월의 시간을 한국의 정신병원에서 보내게 된다.영화는 마지막 찬드라와 직접 만나 인터뷰하는 장면을 제외하고 모두 찬드라의 시선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의 오리엔탈리즘을 조명 ... 개월을 정신병원에서 갇혀 지내야 했던 찬드라의 사례를 통해 영화는 우리에게 옥시덴탈리즘과 오리엔탈리즘의 폭력성과 우리 안의 서구중심주의를 고발한다. 서구화라는 목표와 그와 다른 ... 거나 말거나 찬드라의 경우는 실화라고 하기엔 너무나 충격적인 내용이다.서울의 한 섬유 공장에서 보조 재봉사로 일하는 네팔인 찬드라는 공장근처 가게에서 라면을 시켜 먹는다. 지갑을 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