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양주별산대놀이-【“양주별산대놀이”의 정의】*서울과 중부지방에 전승되어온 산대놀이의 한 분파.종류 : 산대놀이지정번호 : 중요무형문화재 제2호지정연도 : 1964년 ... 었다.【양주별산대놀이의 역사와 배경】양주 별산대(楊洲別山臺)놀이는 서울 중심의 경기지방에서 연희되어 온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분파로서, 본산대(本山臺)라고하는 녹번(碌磻 ... ), 아현(阿峴)등지의 것과 대동소이한 것으로 보인다.원래 이 산대놀이는 중국의 사신을 영접할 때도 연희되었으며, 나례도감(儺禮都監) 후에 산대도감(山臺都監)에서 관장한 궁중 행사
되었다고 한다)를 초청하여 산대놀이를 하였는데, 그들은 지방 순연이나 기타 일로 약속을 어기는 일이 한두 번이 아니어서 불편을 느낀 나머지 양주골에서 신명이 과한 자들끼리(주로 관아 ... (황해도 지방의 가면극, 봉산탈춤, 강령탈춤, 해주탈춤 등이 널리 알려져 있음)만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이들 해서탈춤이 널리 알려진 후에는 가면극 일반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쓰이 ... 게 되었다.가면극은 지방이나 전승집단에 따라 산대놀이, 탈춤, 탈놀이, 별신굿놀이, 덧보기 등 여러 가지의 전래하는 명칭이 있는데 이들을 통틀어서 학술적으로 지칭할 때는 가면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