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함에 있어 기호의 또 다른 유림인 임헌회(任憲晦)학파로부터는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즉 임헌화학파는 이항로학파와는 같은 노론이었지만 시국관을 달리하였다. 이항로학파 ... 는 개항을 국가존망의 위기상황으로 보고 유생도 분연히 일어나 시국에 대한 의사를 표명해야 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임헌회학파는 유생의 지위를 벗어나 시국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도리 ... 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이항로학파의 상소운동을 유생의 본분에 벗어난 행동이라 비판하였다. 임헌회학파는 당시 기호학계를 주도하고 있었고 정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와는 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