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등도 빼놓을 수 없다. 이는 제 1차적적 문현 자료들에서 볼 수 없는 많은 새로운 언어 사실들을 2차 자료에서 확인 할 수 있어 15세기 중세 국어의 자음음소 ... 체계를 규명하는데 제 1차적 문헌자료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띠기 때문이다.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언어 사실 이란 「訓民正音」이나, 「東國正韻」에서 보이고 있는 23초성 자모체계 ... 「訓民正音」과 「東國正韻」의 23초성 자모체계에서는 제외되었으나, 「龍飛御天歌」를 비롯한 중세 후기국어 이후 문헌에서는 독립음소로 출현한다든가 하는 언어 사실로 보아 중세 국어
학 연구사나. 국어학사 와 국어사 :1 국어학사(國語學史): 국어학 학문의 발달사2 국어사(國語史): 국어 라는 언어의 진화사다. 국어학사의 개념에 대한 여러 견해:1 김석득 ... 의 역사가 국어학사이다.3 강신항(1983:15): 언어학으로서의 국어학의 연구사2. 국어학사의 연구 대상가. 국어학사의 기술 범위에 관한 문제:1 대상을 넓게 잡는 태도: 국어학 ... 문자의 보급과 실천을 위해서 諺文聽 설치3 한문과 언문의 쓰임의 관계ㄱ 중국어: 言語 → 중국글: 漢文, 眞書ㄴ 우리말: 方言, 俚語, 俗語, 諺語 → 우리글: 諺文, 諺書
는'으로 표기하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의 언어에 이런 동화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었다. 15세기 문헌에 있어서의 '걷너-, 건너, 딪니-, 딪니-'의 공존은 이런 동화가 당시에 존재 ... 는 解例 合字解에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힝爲土낚爲釣 잎딪爲西時之類"라 하였다. 사이시옷을 제외하면 문헌에 나타나는 종성 합용병서는 'ㄳ, ㅧ, ㄺ, ㄶ,ㄼ,ㅭ'뿐이다.5. 合字훈민
는 으로 표기하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의 언어에 이런 동화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었다. 15세기 문헌에 있어서의 걷너-, 건너, 딪니-, 딪니- 의 공존은 이런 동화가 당시에 존재 ... 는 解例 合字解에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힝爲土낚爲釣 잎딪爲西時之類 라 하였다. 사이시옷을 제외하면 문헌에 나타나는 종성 합용병서는 ㄳ, ㅧ, ㄺ, ㄶ,ㄼ,ㅭ 뿐이다.5. 合字훈민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