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물 등을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서 파악하고 확인하는데 중점을 둔다.8. 학교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 김흥로, 2001.02, 수원대 교육대학원.p.19-24(1) 현황 ... , 변형하기 위해 올바를 방향으로 기능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개념화 할 수 있다.학교평가는 학업 성취 평가의 전통적인 교육평가의 개념에서 나아가 교육 활동의 모든 것을 총체 ... 는 외부에서 주어진 학교평가 지표나 문서에 의해 단위 학교가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시도하여 이를 토대로 자체평가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로 규정되기도 한다(김경성, 1997: 유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