었다. 과 책 끝에 이색(李穡)의 묘지명(墓地銘)도 실었다.저자는 고려 말의 시(詩) ·문(文) ·사(辭)의 대가였고 경사(經史)에도 두루 통달한 문호였으므로 이 책에 실린 역대 시문 ... )이 경상도안 렴사(慶尙道按廉使)로 있을 때인 1360년(공민왕 9) 저자의 《제왕운기(帝王韻記)》를 재간하면서 이 책도 함께 개판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저자의 잡저(雜著) 일부 ... 와 행록(行錄) 4권인데, 잡저 일부라 함은 저자의 저술이 많았으나 산일(散佚)되고, 만년의 저작인 등 14편만을 이르는 것이다.행록 4권 중의 3권은 시이며, 1권은 빈왕록병서(賓
은 金仁謙의 한글 가사체 日東壯遊歌 가 있고 한글 산문체인 張漢喆의 漂海錄 도 있다. 한문체로 된 것은 洪致中의 日本使行紀行文 과 趙 의 海 日記 등이 있다. 日東壯遊歌 는 김인겸 ... 이 영조 39년(1763) 8월에 일본통신사 上使 조엄의 서기로 수행했다가 1년만에 돌아와 그동안의 견문·경험·감상 등을 적은 기행가사이고, 표해록 은 저자가 제주도에서 영조 46년 ... 살아난 이야기를 상세하게 기록한 것이다. 일본사행기행문 은 홍치중이 숙종 45년(1719)에 통신사로 일본에 갔다가 돌아와 쓴 기행문이고, 해사일기 는 저자가 영조 39년(1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