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업지악(11곡)소무·독경·탁정·선위·신정·분웅·순응·총유·정세·혁정·영관헌가무무철변두응안지악진찬악등가퇴장송신례흥안지악진찬악헌가3. 범패(梵唄)범음(梵音)·어산(魚山)이라고도 한다 ... 를 이루고 있다. 삼한시대부터 하늘에 제사지내는 의식에 쓰인 음악, 삼국시대에 들어온 불교의식인 범패, 원구(하늘)·사직(땅)·종묘(이씨 왕가)·선농(곡식)·선잠(누에)·문성왕묘 ... .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하는 노래로 '범패'는 인도[梵]의 소리[唄]라는 뜻이다. 불교 이전의 브라만교에서 비롯되었다 하며, 한국에는 830년 당나라에서 돌아온 진감대사에 의하
부르는 노래를 의미하며 범음 또는 어산 이라고도 한다. 범패에 대해서는 경덕왕 19년(760년) 국선인 월명사가 자신은 향가는 알지만 범패는 부를 줄 모른다라고 말한 기록이 있 ... , 둥고, 요고, 횡적, 박판등 당악조와 당악기들이 이미 신라에 많이 쓰여오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함께 외래음악으로 불교음악인 범패가 들어온다. 범패란 불사에서 제를 올릴때 ... 다. 이 대화를 통해 신라사회에 적어도 8세기부터는 범패가 사찰을 중심으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른 기록으로는 진감선사의 대공탑비문에 범패 즉 어산의 오묘함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많다며 범패에 대하여 이렇게 적고 있다.
범패(梵唄)는 절에서 재를 올릴 때 부르는 불교 음악이다. 범패는 인도(梵)의 소리(唄)라는 뜻이며,이를 범음 또는 어산이라고도 한다. 범패는 리듬과 화성이 없는 단성 선율의 의식 적다. ... 과 정대업 중에서 축소 개작한 것이다. 이러한음악은 최근에 와서는 연주하는 일이 없으나, 1930년대까지도 이왕직 아악부 아악사의 교육과정으로 반드시 익히게 되어 있었다.4. 범패
진행 중에 범음(梵音)과 화청(和唱)등이 음악적 효과를 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불교 음악에 맞추어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을 추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는 삼현육각(三鉉六角 ... ), 호적, 취타 등의 각종 악기가 동원되어 같이 연주하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영산재에서 쓰이는 불교음악-범패(梵唄), 화청(和唱)-등은 한국의 전통적 민속음악인 가곡(歌曲 ... 바깥차비로 진행하면 같은 의식 절차로 진행하되 불, 보살의 위목을 바깥차비 소리 곧 범패 짓소리로 하고 태징, 북, 호적 등의 악기를 반주하며 바라춤과 나비춤을 추게 되어있